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Capillary electrophoresis를 이용한 가지(Solanum melongena LINNAEUS)의 질소 및 자외선 처리에 따른 Trigonelline의 함량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6639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체의 중요 생리활성물질인 trigonelline의 함량을 늘리기 위해 가지에 UV-B, 질소비료, 셀레늄을 처리하고 그 함량변화를 모세관 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으로 분석하여 유리아미노산과의 상관을 조사하였다.
      1.모세관 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은 trigonelline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석하고 분석비용이 절감되는 방법임이 밝혀졌다.
      2.가지의 trigonelline 함량은 잎 > 줄기 > 과피 순으로 높았다.
      3.질소비료(NH_(4)^(+): NO_(3)^(-) = 7 : 1)를 40kgN/ha 처리할 때 가지의 생육이 우수하고 trigonelline의 함량도 높았으며, 4ppm의 셀레늄(Se)을 동반 시비할 때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가지 잎의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강한 UV-B에 노출시키고 적절한 시비조건을 병행하는 것이 trigonelline의 함량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최대 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5.자외선 및 비료처리에 의한 가지의 trigonelline 함량의 최대치는 잎이 2.39%(건물중)이고 과피는 0.43%(건물중) 이였다.
      6.질소처리에서 trigonelline 함량은 유리 glutamic acid, isoleusine, tryptophane과 정의 상관이 있으며, 자외선처리에서는 유리아미노산과 상관이 존재하지 않았다.
      번역하기

      인체의 중요 생리활성물질인 trigonelline의 함량을 늘리기 위해 가지에 UV-B, 질소비료, 셀레늄을 처리하고 그 함량변화를 모세관 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으로 분석하여 유리아미노산과의...

      인체의 중요 생리활성물질인 trigonelline의 함량을 늘리기 위해 가지에 UV-B, 질소비료, 셀레늄을 처리하고 그 함량변화를 모세관 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으로 분석하여 유리아미노산과의 상관을 조사하였다.
      1.모세관 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은 trigonelline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분석하고 분석비용이 절감되는 방법임이 밝혀졌다.
      2.가지의 trigonelline 함량은 잎 > 줄기 > 과피 순으로 높았다.
      3.질소비료(NH_(4)^(+): NO_(3)^(-) = 7 : 1)를 40kgN/ha 처리할 때 가지의 생육이 우수하고 trigonelline의 함량도 높았으며, 4ppm의 셀레늄(Se)을 동반 시비할 때 상승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가지 잎의 조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강한 UV-B에 노출시키고 적절한 시비조건을 병행하는 것이 trigonelline의 함량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최대 수율을 얻기 위해서는 수확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5.자외선 및 비료처리에 의한 가지의 trigonelline 함량의 최대치는 잎이 2.39%(건물중)이고 과피는 0.43%(건물중) 이였다.
      6.질소처리에서 trigonelline 함량은 유리 glutamic acid, isoleusine, tryptophane과 정의 상관이 있으며, 자외선처리에서는 유리아미노산과 상관이 존재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increase biologically active trigonelline content,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was exposed to supplementary ultraviolet-B radiation and treated with nitrogen fertilizer. Trigonelline levels in leaves and fruits were determined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vestigated between trigonelline and free amino acid content.
      1. Capillary electrophoresis is rapid, easy and cost effectiv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rigonelline in eggplant.
      2. The content of trigonelline in eggplant was high in the order of leaf, stem, and crust of the fruit.
      3. When nitrogen fertilizer was treated by 40kgN/ha (NH_(4)^(+): NO_(3)^(-)= 7 : 1), growth of eggplant was much greater and trigonelline content was higher then the others. It's expected synergy effect by adding 4ppm selenium to nitrogen fertilizer.
      4. To walk abreast highest-dose UV-B exposure and proper nitrogen fertilizer in the range of free damage in leaf tissue, to find harvest time for the most yield is need to make the most trigonelline content.
      5. In the treatment of UV-B, nitrogen fertilizer, highest value of trigonelline content was 2.39% (dry weight) for leaves, 0.43%(dry weight) for fruit.
      6. There's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rigonelline content and free gluconic acid, isoleusine, tryptophane in nitrogen fertilizer treated group and no correlation in UV-B exposed group.
      번역하기

      In order to increase biologically active trigonelline content,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was exposed to supplementary ultraviolet-B radiation and treated with nitrogen fertilizer. Trigonelline levels in leaves and fruits were determined by capil...

      In order to increase biologically active trigonelline content, eggplant (Solanum melongena L.) was exposed to supplementary ultraviolet-B radiation and treated with nitrogen fertilizer. Trigonelline levels in leaves and fruits were determined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vestigated between trigonelline and free amino acid content.
      1. Capillary electrophoresis is rapid, easy and cost effective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trigonelline in eggplant.
      2. The content of trigonelline in eggplant was high in the order of leaf, stem, and crust of the fruit.
      3. When nitrogen fertilizer was treated by 40kgN/ha (NH_(4)^(+): NO_(3)^(-)= 7 : 1), growth of eggplant was much greater and trigonelline content was higher then the others. It's expected synergy effect by adding 4ppm selenium to nitrogen fertilizer.
      4. To walk abreast highest-dose UV-B exposure and proper nitrogen fertilizer in the range of free damage in leaf tissue, to find harvest time for the most yield is need to make the most trigonelline content.
      5. In the treatment of UV-B, nitrogen fertilizer, highest value of trigonelline content was 2.39% (dry weight) for leaves, 0.43%(dry weight) for fruit.
      6. There's positiv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rigonelline content and free gluconic acid, isoleusine, tryptophane in nitrogen fertilizer treated group and no correlation in UV-B exposed grou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ⅳ
      • List of Tables = ⅵ
      • List of Figures = ⅶ
      • Abbreviations = ⅸ
      • Abstracts = ⅹ
      • 목차 = ⅳ
      • List of Tables = ⅵ
      • List of Figures = ⅶ
      • Abbreviations = ⅸ
      • Abstracts = ⅹ
      • Ⅰ. 서론 = 1
      • Ⅱ. 재료 및 방법 = 6
      • 1. 식물재배 = 6
      • 가) 공시재료 = 6
      • 나) 질소비료 시비 및 selenium 처리 = 6
      • 다) 자외선(UV-B) 처리 = 8
      • 2. 모세관 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 분석 = 11
      • 가) 분석 기기 및 장치 = 11
      • 나) 시약 = 12
      • 다) 실험방법 = 13
      • (1) 표준용액 및 반응용액의 제조 = 13
      • (2) 시료 전처리 = 14
      • (3) 몸세관 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의 분석조건 = 19
      • (4) 표준 검량 곡선의 작성 = 21
      • (5) 분석의 정확도 = 21
      • 3. 유리아미노산 분석 = 22
      • Ⅲ. 결과 및 고찰 = 25
      • 1. 기기 검량 조건 = 25
      • 가) 검량곡선 및 검출한계 = 25
      • 나) 분석의 정확도 = 28
      • 다) 식물체의 electropherogram = 29
      • 라) 유리아미노산의 크로마토그램 = 30
      • 2. 식물체의 부위별 함량 = 32
      • 3. 비료 처리 효과 = 34
      • 가) 가지의 생육 상태 = 34
      • 나) 시간별 trigonelline의 함량 = 37
      • 다)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 40
      • 4. 자외선(UV-B) 처리 효과 = 42
      • 가) 생육상태 = 42
      • 나) 시간별 trigonelline 함량의 변화 = 43
      • 다)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 47
      • 5. 상관 계수 = 50
      • 가) 질소 시험구 = 50
      • 나) 자외선(UV-B) 처리구 = 52
      • Ⅳ. 개요 = 55
      • Ⅴ. 참고문헌 =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