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도불교에 있어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 문제의 전개  :  불교 이전부터 「구사론」까지 = Development of the notion of personal identity in Indian Buddh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08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불교에 있어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에 대한 연구는 초기 불교에서 말하는 ‘존재의 세 가지 특징'인 무상·고·무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성립될 수 없다. 불교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이�...

      불교에 있어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에 대한 연구는 초기 불교에서 말하는 ‘존재의 세 가지 특징'인 무상·고·무아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성립될 수 없다. 불교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이들 세 가지 특징은 서로 모순 없이 연계되어 있는 듯이 보이지만, 개인이나 사물의 동일성과 관련하여 무상설은 두 가지 모순적 사실에 대한 해명이 전제되어야 한다. 요컨대 실재성이 부정된 존재, 지속성이 결여된 존재에 대한 논의가 성립될 수 있을까? 무아와 무상이라는 기본 테제 위에 성립해야 하는 인간 개인의 정체성과 지속성에 대한 문제는 아비달마불교시대에 이르러 전면적으로 부상한다. 아비달마불교의 대표적 부파 가운데 하나인 설일체유부(Sarv stiv da)는 이 세상을 유지하는 존재요소로서의 다르마(dharma)를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명하려 하였다. 그들은 인과법과 ‘쁘랍띠(pr pti, 得)’라는 달마를 활용하여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을 설명하려 하였다. 바수반두는 구사론 에서 설일체유부의 주장에 만족하지 않았다. 바수반두는 종자(b ja, 種子)와 ‘특별한 상속전변(sa tatipari mavi e a)’ 이론을 소개하며 연속되는 시간 속에서 개인의 정체성과 자기동일성을 해명하려 했지만, ‘찰나설’에 관해서는 설일체유부의 ‘쁘랍띠’이론 보다 진전된 해명을 내놓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구사론 에서 보이는 설일체유부의 철학적 딜레마를 직시하고 자신의 학설을 내놓았으나, 이후에 ‘종자’는 독립된 실체가 아닌, 단지 이름(praj apti )일 뿐이므로, 마음과 동일한 것도 다른 것도 아니라는 야쇼미트라(稱友)의 비판을 받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on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in Buddhism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Existence: impermanence, unsatisfactoriness, and insubstantiality. With a cursory speculation on them, it seems t...

      The study on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in Buddhism cannot be established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the Three Characteristics of Existence: impermanence, unsatisfactoriness, and insubstantiality. With a cursory speculation on them, it seems that they do not raise any problem or contradiction. However, in relation to the reality of the identical aspect of a person or a thing, an advocate of the doctrine of impermanency could not be free from the pressure to explain the two contradictory realities - the reality which has no substantiality and the reality which has no durability - in a satisfying manner. The full-scale investigation on identity and continuity took place in Abhidharma Buddhism when dharmas were meticulously analysed. Concerning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Sarv stiv dins also thought of and worked out the notion of personal identity with their own interpretation of the theory of causality and the theory of pr pti (attainment). Vasubandhu, who seemingly belonged to the Sarv stiv da school in the later period of Abhidharma Buddhism, was not satisfied with the theories of Sarv stiv da. Vasubandhu provided his own version of seed (b ja) theory, that is sa tatipari mavi e a (specific transformation of the continuum). b ja and sa tatipari mavi e a are meant for the explanation of an identical being in temporal sequence. It seems, however, that the seed theory is not effective as the theory of pr pti is when it is related to the momentariness. Vasubandhu saw the dilemma of Sarvastivada philosophy and gave his own solution. But, as Ya omitra criticized, a seed is neither identical with, nor different from the mind, because seed is not a separate dravya (real entity) but only a praj apti dharma (design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Introduction
      • 1. The speculation on person in the Vedic period
      • 2. The speculation on person in the Upani adic period
      • Ⅱ. The speculation on person in Early Buddhism
      • Ⅲ.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in Abhidharmako abh ya
      • Ⅰ. Introduction
      • 1. The speculation on person in the Vedic period
      • 2. The speculation on person in the Upani adic period
      • Ⅱ. The speculation on person in Early Buddhism
      • Ⅲ. The problem of personal identity in Abhidharmako abh ya
      • 1. Momentariness and identity of person in Abhidharma Buddhism.
      • 2. Identity of person in Pudgalavini caya
      • Ⅳ. Conclu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