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청년의 우울이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075887
서울 :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학위논문(박사) -- 고려대학교 대학원 , 보건학협동과정 보건정책및병원관리학 전공 , 2024. 8
2024
한국어
서울
x, 91 p ; 26 cm
지도교수: 윤석준
I804:11009-00000028797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청년의 우울이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청년의 우울이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 지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경제적 요인이 우울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13차(2018년) ~ 17차(2022년) 한국복지패널조사’를 사용하고, 청년 총 913명의 5개년 자료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삶의 만족도와 우울의 변화를 확인하고, 청년의 초기 사회경제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와 우울 증상의 초기값과 우울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후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초기 사회경제적 요인이 우울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첫째,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청년의 삶의 만족도는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고 우울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청년의 우울 증상은 초기값에 따라 변화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초기 우울 증상이 높은 청년은 완만하게 우울 증상이 증가했으며 초기 우울 증상이 낮은 청년은 가파르게 우울 증상이 증가했다. 셋째, 청년의 초기 가족관계 만족도, 여가생활 만족도, 사회적 신뢰가 우울의 변화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년의 초기 사회경제적 요인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우울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년의 초기 사회경제적 요인이 삶의 만족도를 높여 우울 증가 경향을 약화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청년의 우울 변화에 사회경제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의 우울 예방 및 정신건강 증진 정책 수립 시 사회경제적 요인과 삶의 만족도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는 근거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examine changes in young adults’ depression over time and to identify socioeconomic factors that affect these changes. Additio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ffect...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examine changes in young adults’ depression over time and to identify socioeconomic factors that affect these changes. Additio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changes in depression.
Method: This study used the ‘13th (2018) ~ 17th (2022) Korean Welfare Panel Survey’ and selected five-year data from a total of 913 young adults. First,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over time were confirmed through the latent growth model, and the impact of young adults’ early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initial values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he rate of change of depression was confirmed. Afterwards, through bootstrapping,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was confirmed in the impact of early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depression.
Results: First, young adults’ life satisfaction tended to be maintained over time, and depression tended to increase overall. Second, the degree of change in young adults’ depressive symptoms differed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initial value. In other words, young adults with high initial depressive symptoms had a gradual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and young adults with low initial depressive symptoms had a steep increase in depressive symptoms. Third, young adults’ satisfaction with early family relationships, satisfaction with leisure life, and social trus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gree of change in depression. Fourth, the initial values of young adults’ socioeconomic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depression through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initial value of young adults’ socioeconomic factors increase life satisfaction and weakened the tendency for depression to increase.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changes in depression in young adults,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These findings provide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ocioeconomic 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when developing policies to prevent depression and promote mental health in young adul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