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 시간관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152586
아산 :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학위논문(박사) -- 호서대학교 대학원 , 인재개발학과 교육학전공 , 2022.2
2022
한국어
378 판사항(23)
충청남도
viii, 193 p. : 삽화, 표 ; 26 cm
부록: 설문지
지도교수: 송선희
호서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150-181
I804:44018-2000006032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 시간관리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지연은 인구학적 변수(성, 나이,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지연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완벽주의가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다섯째, 시간관리 성향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중국 호남 문리대 대학생 10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완벽주의 척도는 높은 기준, 질서, 차이성 3개의 하위요인으로 총 22문항, 시간관리 성향은 시간적 가치감, 시간 모니터링, 시간적 효능감 3개의 하위요인 44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학습능력, 학습행동 2개의 하위요인으로 22문항, 학업지연 척도는 보고서 작성, 시험공부, 매주 읽기 과제, 학교행정처리, 교수 면담 5개의 하위 요인으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자료는 SPSS 26.0와 SMART PLS3.0, AMOS 25.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시간관리 성향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연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았다. 완벽주의는 대학 3학년이 가장 높았고 1학년은 가장 낮았다. 시간관리 성향 중 시간적 가치감과 시간 모니터링에서 대학 4학년생이 가장 높았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2, 3학년 점수가 가장 낮았다. 학업 지연은 대학 2학년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연에서 예체능 및 이공계열은 인문이나 자연계열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적응적 완벽주의(r=-.199~-.328, p<.001), 시간관리 성향(r=-.005~-.121, p<.01) 학업적 자기효능감(r=-.196~-.354, p<.001)과 학업지연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r=.074~.098, p<.01), 시간관리 성향(r=.080~.248, p<.01)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r=.213~.335, p<.01)이 나타났고,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r=-.089~-.098, p<.01), 시간관리 성향(r=-.081~-.169, p<.01)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적응적 완벽주의(높은 기준, 질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영향(β=.59, p<.001)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지연에는 부적으로 영향(β=-.66,p<.001)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차이성)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부적으로 영향(β=-.65,p<.01)을 주며, 학업지연에는 정적으로 영향(β=.70, p<.01)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성향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영향(β=.71, p<.001)을 미쳤고, 시간관리 성향(β=-.62, p<.05), 학업적 자기효능감(β=-.68, p<.001)은 학업지연에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적 완벽주의의 하위요인(높은 기준, 질서)에서도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부적응적 완벽주의(차이성)가 학업지연에 대한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성향과 하위요인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하위요인들은 부분 매개효과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성향과 하위요인(시간 모니터링, 시간적 효능감)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학습행위에서는 완전 매개효과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연에 대해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대학생의 학업지연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탐색해 보았다.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특성과 시간관리 수준에 맞춰 학업적 자기효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함으로써 부정적 완벽주의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 지연 행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교육 장면이나 상담 장면에서 지속적으로 응용되는 기법과 프로그램 개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