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정가격은 제한된 예산의 효율적 집행과 더불어 시설물 조달과정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다. 즉 예정가격은 시설물공사의 계약 공기를 준수하며, 안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925943
아산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학위논문(석사)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정보통신공학전공 , 2012. 8
2012
한국어
621.3 판사항(22)
충청남도
xiv, 219 p. : 삽도 ; 26
지도교수: 이순흠
양면인쇄임
참고문헌: p. 217-2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예정가격은 제한된 예산의 효율적 집행과 더불어 시설물 조달과정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다. 즉 예정가격은 시설물공사의 계약 공기를 준수하며, 안전...
예정가격은 제한된 예산의 효율적 집행과 더불어 시설물 조달과정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이다. 즉 예정가격은 시설물공사의 계약 공기를 준수하며, 안전하게 조달하기 위해 필요한 적정공사비를 가늠하는 기준이며, 시공자 입찰금액의 상한선이다.
만약 산출된 예정가격과 실제 투입되는 공사원가사이에 지나친 괴리가 발생한다면 요구품질·공기·안전은 위협받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설계변경시 계약금액 조정의 기준이 되기에 합리적이고 적정한 예정가격의 산정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는 과거 수행공사로부터 축적된 재료비·노무비·경비를 포함한 단가에 적정보정을 거친 실적단가를 기초로 하여 미래의 공사비를 예측하는 것으로, 실적단가를 산정하고 보정하기 위한 기준 및 절차가 얼마나 합리적이고 체계적인지가 실적공사비의 신뢰성과 정확도를 결정하게 된다.
즉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는 공사비의 투명성과 적정공사비 확보를 위한 기준이며 예정가격 산정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특히 정보통신 분야에서는 실적공사비 적산제도의 기본이 되는 실적단가 산정에 관한 연구가 전무함에 따라 정보통신공사의 신뢰성 있는 공종별 실적단가 산정 및 축적에 대한 기본적인 절차와 기준을 본 연구에서 제시 해보고자 한다.
또한 실적단가는 연간 상반기 하반기로 나누어 2번 발표됨에 따라 매달 발생되는 물가변동(재료비, 노무비)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며 이를 공사비지수를 개발하여 해결해보고자 한다.
정보통신공사를 대표하는 지수로서 정보통신 시설공사의 특성이 적절하게 반영된 공사비지수 개발을 위한 기본적인 절차와 기준 역시 본 연구에서 제시 해보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