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기 불화와 화승 금용 일섭의 불화 = Buddhist paintings of the modern period of Korea and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monk-painter Geumyong Ilseo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6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moder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urmoil and upheavals as the country opened up to the outside world at the end of the Joseon era, and then proclaimed itself an empire, before being annexed by the Japanese empire. The new cultures and ideas that flowed into the country had a huge influence on many sectors of society. Buddhist paintings were no exception to the rule, even though the world of religious art in general was very conservative. The sketching and expression techniques employed in Buddhist paintings underwent various changes during this period, diverging from past traditions.
      The monk-painter Kim Ilseop, one of the leading Buddhist artists of the modern period, produced distinct works of art that reflected the trends of the turbulent era he lived in. He was born in 1900, just three years after Joseon had been renamed as the Great Korean Empire. He grew u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n the 1920s began to forge a career as a painter, remaining active until the 1970s. His talent was recognized early on and he was able to work as a monk-painter as a young man. His talents were such that he was commissioned in 1938 to create a Buddhist painting for Daeungjeon Hall (main hall) of Taegosa Temple on Chongbonsan(Headquarters of Head Temples). An examination of his works will reveal certain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 his preliminary sketches differed from those of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period. Second, he used the chiaroscuro technique to create a realistic three-dimensional effect. Third, the composition of his paintings resembled that of Western religious paintings, and he made heavy use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such as dessin techniques. Kim engaged in artistic endeavors on many fronts; he painted religious pictures related with other faiths, constructed stages for Buddhist plays, and did the ‘dancheong’ painting work of traditional buildings. His wide-ranging interests and activities and his personal work ethic, in combination with his talents, fueled his prolific output of Buddhist paintings, some of which have come to symbolize Korea’s modern era.
      번역하기

      The Korean moder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urmoil and upheavals as the country opened up to the outside world at the end of the Joseon era, and then proclaimed itself an empire, before being annexed by the Japanese empire. The new cultures and ide...

      The Korean modern period was characterized by turmoil and upheavals as the country opened up to the outside world at the end of the Joseon era, and then proclaimed itself an empire, before being annexed by the Japanese empire. The new cultures and ideas that flowed into the country had a huge influence on many sectors of society. Buddhist paintings were no exception to the rule, even though the world of religious art in general was very conservative. The sketching and expression techniques employed in Buddhist paintings underwent various changes during this period, diverging from past traditions.
      The monk-painter Kim Ilseop, one of the leading Buddhist artists of the modern period, produced distinct works of art that reflected the trends of the turbulent era he lived in. He was born in 1900, just three years after Joseon had been renamed as the Great Korean Empire. He grew up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n the 1920s began to forge a career as a painter, remaining active until the 1970s. His talent was recognized early on and he was able to work as a monk-painter as a young man. His talents were such that he was commissioned in 1938 to create a Buddhist painting for Daeungjeon Hall (main hall) of Taegosa Temple on Chongbonsan(Headquarters of Head Temples). An examination of his works will reveal certain distinct characteristics. First, his preliminary sketches differed from those of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s of the Joseon period. Second, he used the chiaroscuro technique to create a realistic three-dimensional effect. Third, the composition of his paintings resembled that of Western religious paintings, and he made heavy use of western painting techniques such as dessin techniques. Kim engaged in artistic endeavors on many fronts; he painted religious pictures related with other faiths, constructed stages for Buddhist plays, and did the ‘dancheong’ painting work of traditional buildings. His wide-ranging interests and activities and his personal work ethic, in combination with his talents, fueled his prolific output of Buddhist paintings, some of which have come to symbolize Korea’s modern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근대기는 개항과 더불어 조선 말에서 대한제국으로, 그리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격변의 시기였다. 이 시기를 통해 유입된 새로운 문물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보수성이 강한 종교화였던 불화도 예외는 아니어서 밑그림과 표현기법에 있어 이전 시기와는 차별성을 보이는 불화들이 제작되었다.
      이런 가운데 화승 김일섭은 근현대기의 대표적인 불화승으로 격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부응해 특징적인 불화들을 제작하였다. 일섭은 대한제국기인 1900년에 태어나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1920년대 전반 화업의 길에 들어서 1970년대까지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일섭은 일찍부터 재능을 발휘하며 수화승으로 활동하였고, 1938년에는 총본산 태고사 대웅전의 불화 제작을 맡을 정도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현전하는 일섭의 불화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전통적인 조선시대의 불화들과 차별성을 가지는 밑그림이 눈에 띠며, 명암법을 통한 입체감의 구현과 사실적 표현, 서양 성화를 연상시키는 구도와 데생 등 능숙한 서양화법을 두드러지게 사용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의 활동영역은 불화 외에도 타 종교의 종교화 제작, 불교 연극무대 제작, 건물의 단청을 비롯해 매우 넓고 다양했다. 그의 재능에 다양한 관심과 활동, 노력이 더해져 근현대를 대표하는 수많은 불화를 제작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한국 근대기는 개항과 더불어 조선 말에서 대한제국으로, 그리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격변의 시기였다. 이 시기를 통해 유입된 새로운 문물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보수성이...

      한국 근대기는 개항과 더불어 조선 말에서 대한제국으로, 그리고 일제강점기를 거치는 격변의 시기였다. 이 시기를 통해 유입된 새로운 문물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보수성이 강한 종교화였던 불화도 예외는 아니어서 밑그림과 표현기법에 있어 이전 시기와는 차별성을 보이는 불화들이 제작되었다.
      이런 가운데 화승 김일섭은 근현대기의 대표적인 불화승으로 격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부응해 특징적인 불화들을 제작하였다. 일섭은 대한제국기인 1900년에 태어나 일제강점기를 겪으면서 1920년대 전반 화업의 길에 들어서 1970년대까지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일섭은 일찍부터 재능을 발휘하며 수화승으로 활동하였고, 1938년에는 총본산 태고사 대웅전의 불화 제작을 맡을 정도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 현전하는 일섭의 불화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전통적인 조선시대의 불화들과 차별성을 가지는 밑그림이 눈에 띠며, 명암법을 통한 입체감의 구현과 사실적 표현, 서양 성화를 연상시키는 구도와 데생 등 능숙한 서양화법을 두드러지게 사용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의 활동영역은 불화 외에도 타 종교의 종교화 제작, 불교 연극무대 제작, 건물의 단청을 비롯해 매우 넓고 다양했다. 그의 재능에 다양한 관심과 활동, 노력이 더해져 근현대를 대표하는 수많은 불화를 제작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은미, "화승 김일섭의 불화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87-810, 2006

      2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주)시공사 2009

      3 최엽, "한국 근대기 불화에 미친 외래 종교와 미술의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17) : 71-95, 2015

      4 최엽, "한국 근대기 佛畵의 대중 포교적 성격" 한국미술사학회 281 (281): 203-228, 2014

      5 최엽, "한국 근대 불교 진영" 불교미술사학회 6 : 2008

      6 Andre Eckardt, "에카르트의 朝鮮美術史" 열화당 2003

      7 石鼎, "보응·일섭·우일 작품선집 - 조선불교미술의 맥을 이은 金魚들" 성보문화재연구원 2006

      8 김승희, "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2

      9 최엽, "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2

      10 石鼎, "대학박물관의 탱화(Ⅰ)-동국대" 성보문화재연구원 18 : 1999

      1 신은미, "화승 김일섭의 불화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87-810, 2006

      2 홍선표, "한국근대미술사" (주)시공사 2009

      3 최엽, "한국 근대기 불화에 미친 외래 종교와 미술의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17) : 71-95, 2015

      4 최엽, "한국 근대기 佛畵의 대중 포교적 성격" 한국미술사학회 281 (281): 203-228, 2014

      5 최엽, "한국 근대 불교 진영" 불교미술사학회 6 : 2008

      6 Andre Eckardt, "에카르트의 朝鮮美術史" 열화당 2003

      7 石鼎, "보응·일섭·우일 작품선집 - 조선불교미술의 맥을 이은 金魚들" 성보문화재연구원 2006

      8 김승희, "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2

      9 최엽, "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2

      10 石鼎, "대학박물관의 탱화(Ⅰ)-동국대" 성보문화재연구원 18 : 1999

      11 김정희, "금호당 약효와 남방화소 계룡산파-조선후기 화승연구(3)"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11-752, 2006

      12 국립광주박물관, "금용 일섭(1900-1975) - 근대 부처를 만들다"

      13 최엽, "근현대 畵僧 일섭 佛畵의 신도상과 표현기법- 송광사성보박물관 소장 <제존집회도>와 <치성광여래도>를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회 (22) : 31-56, 2017

      14 고성주, "근대 정화 작가 연구 : 김일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5 古鏡, "金魚 金蓉日燮의 年譜" 송광사성보박물관 2016

      16 김영희, "金蓉 日燮(1900-1975)의 後期 佛像 硏究" 불교미술사학회 14 : 139-178, 2012

      17 김영희, "金蓉 日燮(1900-1975)의 佛像과 藝術觀 - 個人樣式 成立期를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9 : 2010

      18 태화산인, "近代의 숨은 高德" (53) : 1972

      19 "近代日本画の步み展"

      20 예용해, "人間文化財" 語文閣 1963

      21 범하, "『韓國의 佛畵』 조사 回顧와 앞으로의 과제" 불교미술사학회 6 : 2008

      22 "http://www.britishmuseum.org/research/collection_onlin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Dongak Art History -> Association of Dongak Art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1 0.80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