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은미, "화승 김일섭의 불화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87-810, 2006
2 "한국의 불화 1권-40권" 성보문화재연구소 1996
3 박세민,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4집" 보경문화사 1993
4 서영대, "한국과 중국의 城隍信仰 비교" 중국사학회 12 : 2001
5 안신, "한국 신종교의 창조성과 중층성에 대한 연구-수운교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한국신종교학회 28 (28): 79-108, 2013
6 최 엽, "한국 근대기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최엽, "한국 근대기 불화에 미친 외래 종교와 미술의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17) : 71-95, 2015
8 최엽, "한국 근대기 佛畵의 대중 포교적 성격" 한국미술사학회 281 (281): 203-228, 2014
9 김현중, "조선시대 신중도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2018
10 김현중, "조선 후기 穢跡金剛 도상의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79280 (279280): 239-266, 2013
1 신은미, "화승 김일섭의 불화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87-810, 2006
2 "한국의 불화 1권-40권" 성보문화재연구소 1996
3 박세민,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4집" 보경문화사 1993
4 서영대, "한국과 중국의 城隍信仰 비교" 중국사학회 12 : 2001
5 안신, "한국 신종교의 창조성과 중층성에 대한 연구-수운교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한국신종교학회 28 (28): 79-108, 2013
6 최 엽, "한국 근대기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최엽, "한국 근대기 불화에 미친 외래 종교와 미술의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17) : 71-95, 2015
8 최엽, "한국 근대기 佛畵의 대중 포교적 성격" 한국미술사학회 281 (281): 203-228, 2014
9 김현중, "조선시대 신중도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2018
10 김현중, "조선 후기 穢跡金剛 도상의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79280 (279280): 239-266, 2013
11 김현중, "예적금강 도상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12 최엽, "여수 흥국사 제존집회도 도상 연구" 동국대학교박물관 25 : 2014
13 수운교교리연구원, "수운교진리" 수운교출판부 1999
14 "보응당 문성 작품집" 성보문화재연구원 2010
15 통도사성보박물관, "보응·일섭·우일 작품선집-조선불교미술의 맥을 이은 金魚들" 천일문화사 2006
16 국립공주박물관, "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2
17 박혜원, "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2
18 최종성, "동학의 테오프락시-초기동학 및 후기동학의 사상과 의례" 민속원 2009
19 김소의, "금호당 약효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20 김영희, "금용 일섭(1900-1975)의 불상과 예술관-개인양식 성립기를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9 : 2010
21 최엽, "근현대 畵僧 일섭 佛畵의 신도상과 표현기법- 송광사성보박물관 소장 <제존집회도>와 <치성광여래도>를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회 (22) : 31-56, 2017
22 최엽, "근대기 불교계와 佛畵의 제작" 동악미술사학회 (13) : 269-295, 2012
23 일섭, "金魚 金蓉日燮의 年譜" 송광사성보박물관 2016
24 安震湖, "釋門儀範" 卍商會 1935
25 鳳停寺, "請文" 국립중앙도서관 1769
26 吳承恩, "繪圖增像西遊記" 煥文書局 1893
27 羅貫中, "繪圖三國演義"
28 박지현, "玉皇 및 閻羅 신앙의 형성과 이야기의 역할" 한국중국어문학회 39 : 103-122, 2003
29 김진무, "楊文會의 佛學思想과 金陵刻經處" 불교문화연구원 (46) : 161-182, 2007
30 "楊仁山全集" 黃山書社 2000
31 김보형, "朝鮮 後期 104위 神衆圖 考察" 동악미술사학회 7 : 2006
32 "密跡力士大權神王經偈頌"
33 吳承恩, "增像全圖加批西遊記" 上海共和書局 1919
34 亘璇, "作法龜鑑"
35 翁连溪, "中國佛敎版畵全集 59" 中国书店出版社 2014
36 "80卷本 『大方廣佛華嚴經』"
37 김현중, "19세기 경기지역 신중도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17) : 45-69,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