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04위 형식 신중도 고찰-日燮 作 表忠寺 大光殿 신중도를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Painting of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 with the Focus on the Painting of the Guardian Deities in the Main Hall of Pyochungsa Temple by Ilseo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6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concerns a research study that was carried out on the Painting of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most outstanding of them all, the painting of the guardian deities kept in the main hall of Pyochungsa Temple.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are the deities that became widely established in Korea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period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a book on Buddhist ceremonies. According to this book,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are divided into the 3 hierarchical groups of Geumgangbu, Cheonbu and Onghobu. However, prior to the production of the Painting of the Guardian Deities in the Main Hall of Pyochungsa Temple, paintings of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kept inside Buddhist buildings as objects of worship rarely featured all 104 deities; in fact, only four such paintings contained all 104 deities. In other words, when creating paintings of the guardian deities, artists tended to avoid painting all 104 of them because the prodigious number of deities naturally led to production difficulties. Furthermore, the four deity paintings that did include all 104 Buddhist deities (i.e. the ones that preceded the Painting of the Guardian Deities in the Main Hall of Pyochungsa Temple) did not adhere to the proper hierarchical system of the 104 Guardian Deities presented in the book on Buddhist ceremonies. This tendency to disregard the proper ordering of the deities becomes more pronounced in paintings that came later on, as many artists were inclined to simply fill up the paintings with indistinguishable warrior-like figures in order to represent the deities. However, Ilseop’s painting of the deities kept at Pyochungsa Temple went against the grain as he faithfully recreated the proper hierarchical order of the 104 guardian deities, and created either different-looking variations of the same deity or completely different looking deities. As such, his painting is the most accurate portrayal of the hierarchy. In particular, he included a Chinese Ucchusma icon in the center of his painting, a feature never before included in a Korean Buddhist deity painting, thu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viewer to the king of the 104 guardian deities. Also, in creating onghobu icons like chugasin, chohwesin, chuseongsin, chuhwasin, and chupoongsin, Ilseop managed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con as described in the book on Buddhist ceremoni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worshippers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nature of the deity they were gazing at.
      번역하기

      This paper concerns a research study that was carried out on the Painting of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most outstanding of them all, the painting of the guardian deities kept in the main hall of Pyochungsa Te...

      This paper concerns a research study that was carried out on the Painting of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most outstanding of them all, the painting of the guardian deities kept in the main hall of Pyochungsa Temple.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are the deities that became widely established in Korea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period following the publication of a book on Buddhist ceremonies. According to this book,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are divided into the 3 hierarchical groups of Geumgangbu, Cheonbu and Onghobu. However, prior to the production of the Painting of the Guardian Deities in the Main Hall of Pyochungsa Temple, paintings of the 104 Buddhist guardian deities kept inside Buddhist buildings as objects of worship rarely featured all 104 deities; in fact, only four such paintings contained all 104 deities. In other words, when creating paintings of the guardian deities, artists tended to avoid painting all 104 of them because the prodigious number of deities naturally led to production difficulties. Furthermore, the four deity paintings that did include all 104 Buddhist deities (i.e. the ones that preceded the Painting of the Guardian Deities in the Main Hall of Pyochungsa Temple) did not adhere to the proper hierarchical system of the 104 Guardian Deities presented in the book on Buddhist ceremonies. This tendency to disregard the proper ordering of the deities becomes more pronounced in paintings that came later on, as many artists were inclined to simply fill up the paintings with indistinguishable warrior-like figures in order to represent the deities. However, Ilseop’s painting of the deities kept at Pyochungsa Temple went against the grain as he faithfully recreated the proper hierarchical order of the 104 guardian deities, and created either different-looking variations of the same deity or completely different looking deities. As such, his painting is the most accurate portrayal of the hierarchy. In particular, he included a Chinese Ucchusma icon in the center of his painting, a feature never before included in a Korean Buddhist deity painting, thus attracting the attention of the viewer to the king of the 104 guardian deities. Also, in creating onghobu icons like chugasin, chohwesin, chuseongsin, chuhwasin, and chupoongsin, Ilseop managed to vis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con as described in the book on Buddhist ceremoni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worshippers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nature of the deity they were gazing a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104위 형식 신중도와 그 가운데 가장 작품성이 뛰어난 표충사 대광전 <신중도>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104位 신중은 조선 후기 의식집을 통해 정비된 한국 고유의 신중 체계이다. 의식집에 의하면 104위 신중은 金剛部, 天部, 擁護部 등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신중 의례의 대상으로 佛殿에 봉안되는 신중도는 표충사본 이전까지 104위 신중을 모두 표현한 작품이 4작품에 불과했다. 즉 104위 형식의 신중도는 구현해야 하는 도상이 많아 제작의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신중도를 제작할 때 선호하지 않은 형식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표충사본 이전에 제작된 4작품의 104위 형식 신중도는 시기가 내려갈수록 의식집에서 설명하고 있는 104위 신중의 구성체계에서 벗어나고 불분명한 將帥形 도상으로 신중의 숫자만 채우려는 의지가 강했다. 그런데 일섭의 표충사본은 이와 같은 흐름을 역행하여 신중 의례의 구성 체계에 부합하게 화면을 구성하였고, 다양한 도상을 차용 혹은 창출하여 한국의 신중도 가운데 104위 신중신앙을 가장 충실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특히 한국의 신중도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중국 예적금강 도상을 차용하여 화면 중앙에 부각시켰는데 이와 같은 이국적인 예적금강 도상은 예배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104위 신중의 주존인 예적금강상으로 시선을 집중하게 만들었다. 또한 옹호부의 主稼神, 草卉神, 主城神, 主火神, 主風神 등의 도상들을 창출하였는데 의식집에서 설명하고 있는 각 신들의 성격을 시각화하여 예배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그 신의 성격을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104위 형식 신중도와 그 가운데 가장 작품성이 뛰어난 표충사 대광전 <신중도>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104位 신중은 조선 후기 의식집을 통해 정비된 한국 고유의 신중...

      이 논문은 104위 형식 신중도와 그 가운데 가장 작품성이 뛰어난 표충사 대광전 <신중도>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연구이다.
      104位 신중은 조선 후기 의식집을 통해 정비된 한국 고유의 신중 체계이다. 의식집에 의하면 104위 신중은 金剛部, 天部, 擁護部 등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신중 의례의 대상으로 佛殿에 봉안되는 신중도는 표충사본 이전까지 104위 신중을 모두 표현한 작품이 4작품에 불과했다. 즉 104위 형식의 신중도는 구현해야 하는 도상이 많아 제작의 어려움이 크기 때문에 신중도를 제작할 때 선호하지 않은 형식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표충사본 이전에 제작된 4작품의 104위 형식 신중도는 시기가 내려갈수록 의식집에서 설명하고 있는 104위 신중의 구성체계에서 벗어나고 불분명한 將帥形 도상으로 신중의 숫자만 채우려는 의지가 강했다. 그런데 일섭의 표충사본은 이와 같은 흐름을 역행하여 신중 의례의 구성 체계에 부합하게 화면을 구성하였고, 다양한 도상을 차용 혹은 창출하여 한국의 신중도 가운데 104위 신중신앙을 가장 충실하게 표현한 작품으로 제작되었다. 특히 한국의 신중도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없는 중국 예적금강 도상을 차용하여 화면 중앙에 부각시켰는데 이와 같은 이국적인 예적금강 도상은 예배자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104위 신중의 주존인 예적금강상으로 시선을 집중하게 만들었다. 또한 옹호부의 主稼神, 草卉神, 主城神, 主火神, 主風神 등의 도상들을 창출하였는데 의식집에서 설명하고 있는 각 신들의 성격을 시각화하여 예배자로 하여금 직관적으로 그 신의 성격을 알아볼 수 있게 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은미, "화승 김일섭의 불화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87-810, 2006

      2 "한국의 불화 1권-40권" 성보문화재연구소 1996

      3 박세민,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4집" 보경문화사 1993

      4 서영대, "한국과 중국의 城隍信仰 비교" 중국사학회 12 : 2001

      5 안신, "한국 신종교의 창조성과 중층성에 대한 연구-수운교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한국신종교학회 28 (28): 79-108, 2013

      6 최 엽, "한국 근대기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최엽, "한국 근대기 불화에 미친 외래 종교와 미술의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17) : 71-95, 2015

      8 최엽, "한국 근대기 佛畵의 대중 포교적 성격" 한국미술사학회 281 (281): 203-228, 2014

      9 김현중, "조선시대 신중도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2018

      10 김현중, "조선 후기 穢跡金剛 도상의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79280 (279280): 239-266, 2013

      1 신은미, "화승 김일섭의 불화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787-810, 2006

      2 "한국의 불화 1권-40권" 성보문화재연구소 1996

      3 박세민,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 4집" 보경문화사 1993

      4 서영대, "한국과 중국의 城隍信仰 비교" 중국사학회 12 : 2001

      5 안신, "한국 신종교의 창조성과 중층성에 대한 연구-수운교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한국신종교학회 28 (28): 79-108, 2013

      6 최 엽, "한국 근대기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7 최엽, "한국 근대기 불화에 미친 외래 종교와 미술의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17) : 71-95, 2015

      8 최엽, "한국 근대기 佛畵의 대중 포교적 성격" 한국미술사학회 281 (281): 203-228, 2014

      9 김현중, "조선시대 신중도 연구" 동국대학교대학원 2018

      10 김현중, "조선 후기 穢跡金剛 도상의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79280 (279280): 239-266, 2013

      11 김현중, "예적금강 도상의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12 최엽, "여수 흥국사 제존집회도 도상 연구" 동국대학교박물관 25 : 2014

      13 수운교교리연구원, "수운교진리" 수운교출판부 1999

      14 "보응당 문성 작품집" 성보문화재연구원 2010

      15 통도사성보박물관, "보응·일섭·우일 작품선집-조선불교미술의 맥을 이은 金魚들" 천일문화사 2006

      16 국립공주박물관, "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2

      17 박혜원, "마곡사 근대불화를 만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2

      18 최종성, "동학의 테오프락시-초기동학 및 후기동학의 사상과 의례" 민속원 2009

      19 김소의, "금호당 약효의 불화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20 김영희, "금용 일섭(1900-1975)의 불상과 예술관-개인양식 성립기를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9 : 2010

      21 최엽, "근현대 畵僧 일섭 佛畵의 신도상과 표현기법- 송광사성보박물관 소장 <제존집회도>와 <치성광여래도>를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회 (22) : 31-56, 2017

      22 최엽, "근대기 불교계와 佛畵의 제작" 동악미술사학회 (13) : 269-295, 2012

      23 일섭, "金魚 金蓉日燮의 年譜" 송광사성보박물관 2016

      24 安震湖, "釋門儀範" 卍商會 1935

      25 鳳停寺, "請文" 국립중앙도서관 1769

      26 吳承恩, "繪圖增像西遊記" 煥文書局 1893

      27 羅貫中, "繪圖三國演義"

      28 박지현, "玉皇 및 閻羅 신앙의 형성과 이야기의 역할" 한국중국어문학회 39 : 103-122, 2003

      29 김진무, "楊文會의 佛學思想과 金陵刻經處" 불교문화연구원 (46) : 161-182, 2007

      30 "楊仁山全集" 黃山書社 2000

      31 김보형, "朝鮮 後期 104위 神衆圖 考察" 동악미술사학회 7 : 2006

      32 "密跡力士大權神王經偈頌"

      33 吳承恩, "增像全圖加批西遊記" 上海共和書局 1919

      34 亘璇, "作法龜鑑"

      35 翁连溪, "中國佛敎版畵全集 59" 中国书店出版社 2014

      36 "80卷本 『大方廣佛華嚴經』"

      37 김현중, "19세기 경기지역 신중도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17) : 45-69,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Dongak Art History -> Association of Dongak Art Histor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71 0.80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