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건설시장은 발주처로부터 일반건설업체가 공사를 수주하여 각 전문분야별로 별도의 전문건설업체를 선정하여 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입찰과 수의계약을 통해 전문건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751717
서울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 건설관리학과 건설경영학전공 , 2021. 2
2021
한국어
서울
v, 43 p. : 삽도 ; 26 cm.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지도교수: 김주형
참고문헌: p. 38-39
I804:11062-00000011517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건설시장은 발주처로부터 일반건설업체가 공사를 수주하여 각 전문분야별로 별도의 전문건설업체를 선정하여 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입찰과 수의계약을 통해 전문건설...
국내건설시장은 발주처로부터 일반건설업체가 공사를 수주하여 각 전문분야별로 별도의 전문건설업체를 선정하여 공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입찰과 수의계약을 통해 전문건설업체를 선정하고 있다.
공사도중 예상하지 못한 설계상 오류, 공사물량의 증감, 계획의 변경 등으로 설계내용을 수정함에 따라 많은 설계변경이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문건설업체의 계약금액 및 공사기간을 조정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서는 전문건설업체 선정방식(입찰, 수의계약)에 따라, 공사비 및 공사기간에 변동을 미치는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전문건설업체 선정전 리스크 분석을 통해 최적의 전문건설업체 선정 방식 및 사전 검토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A건설회사 토목분야의 10개년(2010년 ~ 2019년) 실제 전문건설업체 선정 데이터 3,321건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각 선정방식별로 그래프를 통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여, 선정방식에 따른 공사기간 및 비용분석, 각 하도급 공종별 공사기간 및 비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건설업체 선정시 그 공사의 금액, 공기, 세부공종 등을 고려하여 선정방식을 결정한다면, 비용이나 공기적인 측면에서 좀 더 유리하게 전문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