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the “Smart Education Propulsion Strategy” in 2011. The “Smart Education Propulsion Strategy” contained an annual propulsion pl...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93433
2013
Korean
370
KCI등재
학술저널
109-130(22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the “Smart Education Propulsion Strategy” in 2011. The “Smart Education Propulsion Strategy” contained an annual propulsion pl...
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al ICT Strategie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the “Smart Education Propulsion Strategy” in 2011. The “Smart Education Propulsion Strategy” contained an annual propulsion plan for the invention and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in the classroom starting in 2015. However, it is undesirable to adopt digital textbooks in every primary, secondary, high school when considering educational philosophy, learner development, school finances, and textbook effectiveness, since the goal of education is to nurture well-rounded people and form social capital.
A survey on the adoption of digital textbooks was implemented and 27,000 primary, secondary, and high school teachers respond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special-purpose an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ere most in favor of adopting digital textbooks, followed by general high school, middle school, upper-grade and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subject, teachers supported adopting digital textbooks for English, social studies, and science; however, teachers opposed adopting digital textbooks for Korean, ethics, mathematics, and physical education.
In summary, adopting digital textbooks is required to develop the vector of civilization and the diversification of textbooks. However, the procedur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different grade levels and subjects.
국문 초록 (Abstract)
2011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에 따라 2015년부터 학교 현장에 본격적으로 디지털교과서를 개발․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발표...
2011년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와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에 따라 2015년부터 학교 현장에 본격적으로 디지털교과서를 개발․적용하기 위한 연차별 추진 계획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전인 육성과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초중등교육의 모든 학교급, 모든 교과목에서 단기간에 디지털교과서가 적용되는 것은 교육철학, 학습자 발달, 교육재정, 교육효과 등을 고려할 때 문제의 소지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초․중등교사를 대상으로 디지털교과서 도입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 약 27,000여 명의 의견을 종합하였다. 그 결과 학년군별로는 특성화고나 특목고, 일반고, 중학교, 초등 고학년, 초등 중학년, 초등 저학년 순으로 교과서의 디지털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교과별로는 영어, 사회, 과학 교과서의 디지털화는 적극 찬성하는 반면 국어, 도덕, 수학, 체육 교과서의 디지털화에는 반대하는 편이었다.
요컨대, 교과서의 다양화 측면에서 디지털교과서가 요구되지만 학교급별, 교과목별 순차적인 도입이 효과적임을 제안할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EBS, "학교란 무엇인가" 중앙books 2011
2 Katz, R. N.,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의 고등교육의 역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3 이수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문제행동성향과의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을 이용한 성별간 다집단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37-257, 2008
4 손경원, "청소년 일탈행동 예방을 위한 사회정서학습의 특징과 교육적 함의" 한국윤리교육학회 19 (19): 169-200, 2009
5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6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2012
7 변호승,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35-663, 2011
8 홍후조, "디지털교과서의 미래상으로서 “교과서포털” 연구: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의 검인정 교과서 출판사의 역할 탐구" (주) 미래엔 부설 교과서연구소 2011
9 변호승,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10 변호승,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 EBS, "학교란 무엇인가" 중앙books 2011
2 Katz, R. N.,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의 고등교육의 역할"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3 이수진,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문제행동성향과의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을 이용한 성별간 다집단 분석"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37-257, 2008
4 손경원, "청소년 일탈행동 예방을 위한 사회정서학습의 특징과 교육적 함의" 한국윤리교육학회 19 (19): 169-200, 2009
5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6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기술(CT) 심층 리포트" 2012
7 변호승, "디지털교과서의 연구동향과 학업성취도 효과성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방법학회 23 (23): 635-663, 2011
8 홍후조, "디지털교과서의 미래상으로서 “교과서포털” 연구: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의 검인정 교과서 출판사의 역할 탐구" (주) 미래엔 부설 교과서연구소 2011
9 변호승,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0
10 변호승,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1 홍후조, "디지털교과서 상용화에 앞서 대답할 교육적 질문" 66 : 72-78, 2011
12 교육인적자원부,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13 임철일, "디지털교과서 2. 0 모형 및 개발 방법(과학과)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14 Katz, R. N., "The Tower, the Cloud, and Posterity. Educause"
15 교육과학기술부, "2011 교육정보화 백서" 2011
16 노경희, "2010년도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대학 모바일러닝에서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만족도와 관련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기부 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다문화시민성 함양 과정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5-11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한국교육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25 | 2.25 | 2.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7 | 1.68 | 2.643 | 0.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