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을 매개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0450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정서지능에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인천에 소재하는 2개교의 남자·여자 고등학생 총624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부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지능, 주관적 행복감을 측정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와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이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에서 학업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주관적 행복감으로 가는 경로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해 학업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실질적 지원의 필요성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정서지능에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인천에 소재하는 2개교의 남자·여자 고등학생 총624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부모-자녀 의사소통, 정서지능, 주관적 행복감을 측정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와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이 순차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에서 학업스트레스가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주관적 행복감으로 가는 경로를 통해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해 학업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실질적 지원의 필요성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이 요구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의 정리 7
      • 가. 주관적 행복감 7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6
      • 3. 용어의 정리 7
      • 가. 주관적 행복감 7
      • 나. 학업스트레스 7
      • 다. 부모-자녀 의사소통 8
      • 라. 정서지능 8
      • Ⅱ. 이론적 배경
      • 1. 주관적 행복감 10
      • 가. 주관적 행복감의 개념 10
      • 나. 주관적 행복감의 구성요소 13
      • 다. 주관적 행복감 관련 선행연구 16
      • 2. 학업스트레스 21
      • 가. 학업스트레스의 개념 21
      • 나. 학업스트레스의 구성요소 25
      • 다. 학업스트레스 관련 선행연구 26
      • 3. 부모-자녀 의사소통 30
      • 가.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개념 30
      • 나.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유형 33
      • 다. 부모-자녀 의사소통 관련 선행연구 37
      • 4. 정서지능 41
      • 가. 정서지능의 개념 41
      • 나. 정서지능의 모형 및 구성요소 45
      • 다. 정서지능 관련 선행연구 51
      • 5. 변인들 간의 관계 56
      • 가.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56
      • 나. 학업스트레스와 부모-자녀 의사소통,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57
      • 다. 학업스트레스와 정서지능, 정서지능과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59
      • 라.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정서지능 간의 관계 62
      • Ⅲ. 연구방법
      • 1. 연구모형 64
      • 2. 연구대상 65
      • 3. 측정도구 65
      • 가. 측정도구의 구성 65
      • 나. 주관적 행복감 척도 67
      • 다. 학업스트레스 척도 68
      • 라.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70
      • 마. 정서지능 척도 71
      • 5. 자료의 분석방법 72
      • Ⅳ. 연구결과
      •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74
      •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76
      • 3. 상관분석 78
      • 4.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 매개효과 83
      • 5.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86
      • 6.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 정서지능의 순차적 매개효과 89
      • Ⅴ. 논의
      • 1. 요약 및 논의 95
      • 2. 결론 및 제언 100
      • 참고문헌 104
      • 부록 132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Gardner , H., "Frames of mind", 1983

      2 이윤주, 정종진, 이수연, 김춘경, 최웅용, "상담학사전", 2016. 01. 15, 2016

      3 Satir , V., "The new people making", 1972

      4 Satir , V., "The new people making", 1988

      5 Santrock , J. W., "Adolescence ( 6th Ed. )", 1996

      6 Goleman . D., "`` Emotional alchemy ''", 37 ( 2 ), 1995

      7 박아청, "성격발달심리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006

      8 Goleman , D.,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1998

      9 문용린,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글이랑, 1997

      10 권세원, 이애현, 송인한, "청소년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3(2), 39-72, 2012

      1 Gardner , H., "Frames of mind", 1983

      2 이윤주, 정종진, 이수연, 김춘경, 최웅용, "상담학사전", 2016. 01. 15, 2016

      3 Satir , V., "The new people making", 1972

      4 Satir , V., "The new people making", 1988

      5 Santrock , J. W., "Adolescence ( 6th Ed. )", 1996

      6 Goleman . D., "`` Emotional alchemy ''", 37 ( 2 ), 1995

      7 박아청, "성격발달심리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006

      8 Goleman , D., "Working with emotional intelligence", 1998

      9 문용린, "EQ가 높으면 성공이 보인다.", 서울: 글이랑, 1997

      10 권세원, 이애현, 송인한, "청소년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3(2), 39-72, 2012

      11 Beaubien , C. O,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Style", 1970

      12 Compton , W. C., "An introduction to positive psychology", 2005

      13 곽윤정, 이강주, 문용린, "정서지능 연구의 동향과 전망", 서울대학 교 교육연구소, 1998

      14 김신영, 백혜정, "한국청소년행복지수 개발연구", 한국사회학회, 42(6), 140-173, 2008

      15 Szalai , S., "The quality of life : Comparative studies", Vol . 20, 1980

      16 Hammen , C., "Interpersonal stress and depression in women", 74 ( 1 ) , 49-5, 2003

      17 김태은, "정서지능과 관련변인들의 인과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03

      18 허영선, "청소년이 지각한 행복감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 박병기, 박선미,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 구, 26(2), 563-585, 2012

      20 정현희, "아동의 정서지능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0(7), 25-39, 2002

      21 강영하, "초등학생의 학교 행복감 구성요인 탐색", 초등상담연구, 11(2), 219-235, 2012

      22 Goleman , D., "Emotional intelligence :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1995

      23 Jang MS , Moon HJ, "Ecological variables on children 's emotional intelligence", 44 ( 4 ) , 11-21, 2006

      24 박용식,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25 Diener , E.,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 Progress and opportunities", 31 ( 2 ) , 103-157, 1994

      26 Bar-On , R., "The Emotional Quotient Inventory ( EQ-i ) : Technical manual", 1997

      27 여숙현, "청소년 정서지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8 박경애, 조은경, 정원식, 박재황, 박성수, "청소년상담문제 연구보고서 청소년의 행복도", 정민사. 서울, 1997

      29 Bandura ,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30 김경준,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 연구IV: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2014

      31 송정화, "다층모형을 적용한 학생 행복의 설명요인 탐색", 전북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2011

      32 문혁준, 장미선, "아동의 정서지능에 관련된 생태학적 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4), 11-21, 2006

      33 허승연,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34 Kline ,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2nd ed. )", 2005

      35 이덕남, 조공민,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연구, 22(4), 57-74, 2014

      36 서민원, 황정규, "개인 대학교육이 학생의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고등교육연구, 8(1), 151-179, 1996

      37 도종수,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복지연구, 13(4), 21-45, 2011

      38 김경미, 이신영, 염유식, 성연찬, "한국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2018 :중 고등학생",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8

      39 최유리,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족 건강성과 자아효능감의 관계", 전 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0 김경미, 이승원, 염유식, "한국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2016 : 중 고등학생",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6

      41 Veenhoven , R., "Questions on happiness : classical topics , modern answers , blind spots", 1991

      42 하문선, "대학생의 성격 5요인, 정서지능과 우울, 공격성의 관계",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7), 197-222, 2017

      43 김응자, 유경진,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중학생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한국부모교육학회 부모교육연구, 16(2), 53-65, 2019

      44 박경미, 우남희, "유아기 아동의 문제해결능력과 정서적 안정과의 관 계", 아동학회지, 18(2), 267-282, 1997

      45 문용린, "인성교육을 위한 정서지능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 대학교 사범대학 사대논집, 59, 39-98, 1999

      46 김경미, 한민, 최인철, 이훈진, 류승아, 김범준, "한국 청소년들의 행복: 타연령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9(5), 217-235, 2012

      47 김시온, "가족건강성, 정서지능이 청소년의 효의식에 미치는 영향",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48 이경희,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49 김현준,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사회지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50 정이나,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1 이수진, "청소년의 일상생활과 행복: 빈곤과 비빈곤 청소년의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52 Thomas , E. J, "Marital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 Analysis , assessment , and change", 1977

      53 노정화,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4 김정문, "애착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동적 사고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5(6), 197-224, 2008

      55 Brody , L.,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development : A review of theories and research", 53 , 102-149 ., 1985

      56 한태영, "청소년의 학교장면 스트레스: 성격 및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2(2), 177-197, 2005

      57 엄인숙, "청소년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과의 관계연구", 복지행정논총, 22(2), 51-70, 2012

      58 이조원,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가치소비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40(1), 81-108, 2019

      59 서정희,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 2017(12), 149-150, 2017

      60 서경현, 이경순,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비교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15(2), 327-343, 2010

      61 황혜정,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과 정서 행동 문제와의 관계에 대한 연 구", 초등교육연구, 13(1), 51-69, 1999

      62 김연화,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 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63 채경숙,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에서 공감의 매 개효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64 김명소, 임지영,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 구성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 과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 8(1), 83-97, 2003

      65 인치현, "아동의 성격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문제행동에 미치 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66 구재선,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 토착심 리학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67 유혜경,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경로모 형 분석",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68 김현태, "고교야구선수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합리적 진로의사결 정의 관계",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69 조미소, "정서지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 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70 김청송,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 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5(4), 177-197, 2018

      71 Ryff , C. D., "Happiness is everything , or is it ?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7 ( 6 ) , 1069-1081, 1989

      72 박진우, 허민숙, "NARS 현안분석 ‘아동 청소년의 정신건강 현황, 지원 제도 및 개선방향", 국회입법조사처, 제200호, 4-5, 2021

      73 Gordon . T., "P. E. T (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 : The tested new way to raise responsible children", 1975

      74 강지현, 최인재, 모상현, 김혜인, 김윤희,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 조사결과 자료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75 박민정, "청소년의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행 복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76 김균희, 성은모,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연구, 24(4), 177-202, 2013

      77 도종수, 성준모, "청소년활동 경험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 청소년복지학회", 청소년복지연구, 15(2), 145-173, 2013

      78 Berstein , B . B., "Class , codes and control ( Vol . 1 . ) : Theoretical studies toward to sociology of language", 1971

      79 김이슬, 홍혜영,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주관적 행 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3(1), 53-75, 2016

      80 유문숙, 이은숙, 유미애, "청소년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정서지능 과 대인관계능력간의 관계", 한국모자보건학회, 16(2), 252-262, 2012

      81 김서현, 임혜림, 김예솔,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 간 관계에 서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10), 339-368, 2013

      82 곽수란, 이경호, "아동ㆍ청소년의 학업성적과 자존감이 우울감과 행복 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26(12), 177-199, 2019

      83 유진영, 지경자, "보건계열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대인관계 및 심리적 행복감에 관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1(10), 653-660, 2013

      84 엄창섭, "초등학생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주관적 행복감 의 관계 연구",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85 김태성,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서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86 김삼곤, "중학생의 지각된 정서지능과 자기상(Self Image)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7 민하영, "청소년 비행정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가족의 응집 및 적응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13(1), 112-124, 1992

      88 고영남,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 (53), 27-52, 2014

      89 우채영, "청소년의 부정적 인간관계, 스트레스, 우울과 자살생각 간 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90 손창숙, 이주미, 이명숙,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학업스트레스, 학습동기 및 정서조절의 구조적 관계", 교사교육연구, 54(1), 74-85, 2015

      91 강태완, 장해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 능감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학회, 13(2), 104-130, 2005

      92 Im , E. M., "The change of youths ’ stress and depression and the long-term effects of stress on the depression", 16 ( 3 ) , 99-121 ., 2009

      93 박상미, 박응임, "부모애착과 그릿(grit)이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가정과삶의질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2019(5), 188-188, 2019

      94 황현주,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친구관계 및 행복감과의 관계", 성산효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95 Fredrickson , B. L., "The role of positive emotion in positive psychology : The broaden-and-build theory opositive emotions", 56 ( 3 ) , 218-226 ., 2001

      96 남경완, 임승현, 남인수, "고등학생이 지각한 여가 기능이 여가만족도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18(1), 251-263, 2009

      97 김진아,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 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3), 359-377, 2015

      98 이미영,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 감의 매개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 문화포럼, 64, 115-135, 2020

      99 김재엽, 장건호, 성신명,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 족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1, 187-218, 2016

      100 김태수, "한국 청소년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과 해결방안을 위한 기독 교상담학적 접근",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지, 8(8), 127-146, 2007

      101 Hayes , A. F., "Introduction to mediation , moderation ,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 A Regression-Based Approach", 2013

      102 유지안,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자아분화, 자기효능감이 주관적 행 복감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03 윤수정, "차(茶)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자기효 능감에 미치는 효과",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04 오미향, 천성문, "중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분석과 그 감 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15, 63-96, 1994

      105 김종권,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사 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06 박정숙,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회 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07 김의철, 박현미, 박영신, "학교유형과 학업성취가 정서적 지원, 자기효 능감, 신뢰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미래청소년학회, 4(1), 1-18, 2007

      108 김의철, 박영신, "한국사회와 교육적 성취(II): 한국 청소년의 학업성취 에 대한 심리적 토대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63-109, 2008

      109 최선윤, "부모갈등, 부모-자녀 의사소통, 청소년의 사회불안 및 우울 간의 관계 구조 분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10 김현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매개효과 검증", 한국청소년학회, 21(3). 409-437, 2014

      111 김진, 홍정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 리욕구 충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6(2), 163-187, 2018

      112 반영석,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자아 탄력성의 매개효과", 초등교육학회, 25(1), 73-99, 2018

      113 유민상,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생태체계 이론의 적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14 김후경,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 과 자기상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115 조은정, "아동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청소년문화포럼 , 37, 104-127, 2014

      116 박찬부, 진현숙, "정서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우울, 정서지 능,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대한문학치료연구, 2(1), 101-122, 2011

      117 김진주, "청소년의 스트레스, 부모-자녀 의사소통, 우울 및 자살행 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18 강철우, "태권도 전공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에 따른 학업태도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19 장영희, "초등학생 부모의 자아개념, 부모역량, 의사소통이 부모-자 녀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20 서재욱, 정윤태,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한국청소년학회, 21(8), 265-292, 2014

      121 강명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22 이봉건, 임경빈, "학교스트레스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분노표현양식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0(1), 701-710, 2020

      123 라형규, "시설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 관계의 구조모형 연구 : 영성의 조절효과 분석",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124 강태선, "청소년의 일상생활스트레스와 행복감 관계연구 : 사회적지지 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125 이다경,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공격성의 관계: 자아탄력 성과 우울의 중다매개효과",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26 윤기봉, "부-자녀 및 모-자녀 의사소통과 친구관계의 질이 중 고등학 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27 유영아,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 가족탄력성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비교", 한국웰니스학회, 13(3), 305-319, 2018

      128 김현지, 이영환,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신뢰감 이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8(1). 103-119, 2001

      129 김정민, 이유리, "청소년의 부모-자녀의사소통, 정서지능 및 부모화경 험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3), 13-26, 2010

      130 서정아, "사회자본과 사회지출이 청소년의 주관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 향 : OECD 16개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31 송영명, "특목고 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이 학 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3), 647-669, 2011

      132 피길연, "학교체육활동 참가 청소년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행복 감 및 학교생활만족의 관계",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33 김신영, 장경림,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수준과 정서 지능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발달지원연구, 6(2), 155-166, 2017

      134 김진호, 황세영, 최창욱, 이민희, 유민상, "아동 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 제협약 이행연구: 한국 아동 청소년 인권실태 2018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135 이상숙, "아동의 내 외향적 성격 특성, 부모-자녀 의사소통 수준과 심리적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36 김동원, "중학생을 위한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학업스 트레스와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37 김희순, 최지혜, 박소미, 박미정, "청소년의 자살충동 경험 유무에 따른 자아존중감, 지각된 삶의 만족, 우울 및 공격성 비교", 한국간호과학 회, 17(4), 264-271, 2011

      138 전은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조절능력, 정서지 능, 대인관계역량의 구조적 관계", 부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39 김현주,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기본 심리적 욕구 척도 개발을 통 한 청소년 안녕감 설명 변인 연구", 충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140 장의정, "중학생의 학교환경 요인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학업성 취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21

      141 민동옥, 성한기,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의사소통의 조절효과", 놀이치료연구, 25(1), 77-88, 2021

      142 장석진, 허혜영, "특성화고등학생의 성격강점과 주관적 행복 간 관계에 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 1115-1131, 2020

      143 이명순, "아동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 능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144 Neal , L. K.,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 s propensity to forgive , parent ’ s propensity to forgive and parenting practices", 2005

      145 서경현,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 및 행복감 간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3(11), 137-157, 2016

      146 최헌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자기결정성동기, 정서지능, 자기조절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47 박병선, 배성우,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이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학교급별 비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 년복지연구, 14(3), 215-238, 2012

      148 정은선, "부모의 양육태도가 주관적 행복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 향 : 강인성과 완벽주의의 매개역할",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149 이희숙,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고등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정 서지능과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13

      150 송성자, "한국 부부간의 의사소통 유형과 가족문제에 관한 연구 : 의사소통 가족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숭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85

      151 김태선, 도현심, "부-자녀 및 모-자녀 의사소통이 남녀 청소년의 행복 감에 미치는 영향 : 신체상의 매개적 역할", 한국청소년학회, 24(10),107-138, 2017

      152 권순재, "생활체육참여자의 신체적 자기지각과 자기관리가 운동몰 입 및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2

      153 고미숙, "저소득 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 향 : 스트레스 대처 적응모델의 적용",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54 김동원, 정경미, "중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 격려의 매개효과. 한국교육치료학회", 교육치료연구, 11(1), 73-91, 2019

      155 서현주, 최형아, "중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에서 부/모, 또래, 교사 관계의 조절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 소, 30(2), 51-78, 2017

      156 Rohner , R. P., "Handbook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 Storss ; Centre for the Study of Parental Acceptance and Rejection", 1991

      157 조정대, "사립유치원 원장의 감성적 리더십, 유치원 교사의 정서지 능,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 간의 관계",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158 정현태, "고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관계, 담임교사의 의사소통, 자아 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 간의 구조관계", 경상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7

      159 김태희,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우울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15

      160 강덕환, 안권순, "명향란 청소년들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 치는 영향: 희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6 (6), 275-296, 2019

      161 이영자, 장영애, "청소년의 행복감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또래관계, 학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 경학회, 13(4), 147-156, 2015

      162 김욱진, 홍서준, 김진웅,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게임 과몰입에 미치 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40(3), 429-458, 2020

      163 이향종,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 략, 낙관성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 위논문, 2016

      164 김행수,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개별성-관계성의 매개효과",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65 권재훈, "성격과 사회적 관계망이 한국노인의 행복도와 주관적 안녕 감에 미치는 영향 : 노인 행복모델의 탐색", 예명대학원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9

      166 최은정, "대학생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유능성의 관계에 서 자아존중감과 정서지능의 이중매개효과", 경기대학교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2020

      167 홍성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의사소통이 사이버폭력가해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피해경험의 매개효과", 한국범죄학, 10(3), 147-177, 2016

      168 김선희,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격강점 및 자아존중감의 경향 과 각각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16

      169 최봉암, "여자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방 과 후 무용활동 참여에 따른 조절효과 검증", 한국무용연구, 33(3), 393-416, 2015

      170 김우호, 서보준,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국융합학회지, 8(7), 283-293, 2017

      171 최은희,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심리상태의 매개효과와 양육태도의 조절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72 신서희,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분노표현방식의 관계 : 인지 적 정서조절전략 및 부모의 심리적 통제의 역할", 아주대학교대학 원 박사학위논문, 2019

      173 여이주, "박은준 미용관련 유학생의 정서지능이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피부과학연구원",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 지, 18(3), 423-436, 2020

      174 박은실,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175 이은정, "후기청소년의 정서지능이 미래성공기대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서울벤처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76 박영숙, "학교생활 스트레스, 부모와의 갈등, 친구와의 갈등이 청소년 의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성차를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17(4), 389-398, 2009

      177 정택용,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및 학교생활적응 관 계에서 또래애착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16

      178 정정자, "청소년의 심리적 가정환경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성, 자아탄력성,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순복음대학원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179 박재연,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학교폭력,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 친구, 가족, 교사의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3(2), 263-289, 2017

      180 이점형, "정서지능, 학급풍토 및 사회적 지지가 교우관계 질에 미치 는 영향 :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81 최희순, "중 고등학생들의 신체활동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82 Eniola , M. S.,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regulation strategies on remediation of aggressive behaviours in adolescent with visual impairment", 1 ( 1 ) , 71-77 ., 2007

      183 김서연,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학교 및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84 홍정원,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감소와 학교생활적응 향상을 위한 정서지능 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평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85 모상현, 이중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탐색: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가족관계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홀리 스틱교육연구」,16(3), 23-40, 2012

      186 안원철,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 향: 우울의 매개효과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서울시 립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187 선혜연, 오정희,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 업적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초등학생과 중학생 중심으로", 아시 아교육연구, 14(1), 197-212, 2013

      188 고재량,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정신건강, 스마트폰중독, 자살생 각의 관계 연구 : 자아탄력성과 가정건강성의 조절효과", 서울벤 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89 명향란,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희망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자기분화의 조절효과", 한서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90 김미경, 김양희, "황사라 정익중 고등학생의 성적이 학업스트레스에 미 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청소 년복지연구, 14(4), 165-187, 2012

      191 황미혜, "후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스마트폰과 의존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서울벤 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1

      192 강원덕,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 진로준 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강남대학 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93 정은선, "교사-학생 의사소통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정서와 자기결정성 학습동기를 매개로", 울산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94 박재연, 정익중,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문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개인수준의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 국아동복지학회, 32, 69-97, 2010

      195 조윤희, "청소년이 지각한 모(母)의 감독 및 심리적 통제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매개효과", 한 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196 이은정, "부모기대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교사-학생관계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과 정서조절의 중다매개효과", 전 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97 김경희, "실용음악전공 학생들의 스트레스 지각정도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198 조연수, "어머니와 남녀 청소년 자녀가 지각한 모-자녀 의사소통, 갈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 자기-상대방효과를 중심으 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1

      199 김선아, "남녀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학교생활적응과 행복감의 관계성 연구: 매개관계를 중심으로", 한국 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9), 161-169, 2020

      200 한호순, "청소년의 기질특성과 심리적 가정환경이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또래관계기술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01 박소연, 이홍직,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 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을 중 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21(2), 73-84, 2013

      202 김민, 조성연, 김혜원, "부모와 초등학생이 지각한 공부압력, 성공압력과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 및 사회인구학적 변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13(1), 47-67, 2011

      203 김아영, 차정은, "강한아, 임경민, 전현아, 조혜령 학업능력 집단별 학 업스트레스와 학업적 자기조절효능감 간의 관계: 학업동기유형의 매개효과", 교육심리연구, 26(2), 543-562, 2012

      204 선혜연, 오정희,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관련 변인 연구 : 성별 및 학교급,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상담학연구, 14(3), 1981-1994, 2013

      205 공정석, 최수찬, 이근영,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의사소통과 학업스트 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감의 매개효과와 성 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5). 83-107, 2011

      206 김선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 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와 교사 만족도의 조 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207 신순옥, "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부모 갈등이 자녀 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208 서보준,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 부모양육태도, 부 모-자녀간의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 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209 김설희, 노충래, "중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업성적이 심리적 안녕 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우울불안에 대한 개인요인 및 사 회적 지지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9, 39-68,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