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HepG2 인체 간암 세포에서 식물성 플라보노이드인 7,8-Dihydroxyflavone에 의한 세포사멸 유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749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7,8-DHF은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 플라보노이드의 항암 활성과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8-DHF의 새로운 항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7,8-DHF가HepG2 인간 간암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7,8-DHF에 의한 HepG2 세포의 생존 억제는 괴사가 아닌 caspase 의존성 세포사멸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7,8-DHF처리에 의한 사멸 수용체 및 Bcl-2 계열 단백질의 발현 변화와 caspase cascade의 활성 증가로 입증하였다. 또한 7,8-DHF 처리로 인해 MitoTracker Red 형광 강도가 약화되었고,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손실되었으며, ATP 함량 감소와 함께 세포질로 cytochrome c 방출이 증가하여 7,8-DHF의 항암 활성이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7,8-DHF에 의해 유발된 HepG2 세포의 세포사멸에는 세포 내 신호 전달계 중에서 ERK 및 AMPK의 활성화 및 PI3K/Akt의 불활성화는 HepG2 세포에서7,8-DHF에 의한 세포독성 유도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7,8-DHF의 항암 활성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기전을 제공하고 향후 동물실험을 통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번역하기

      7,8-DHF은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 플라보노이드의 항...

      7,8-DHF은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 다양한 종류의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 플라보노이드의 항암 활성과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7,8-DHF의 새로운 항암 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7,8-DHF가HepG2 인간 간암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7,8-DHF에 의한 HepG2 세포의 생존 억제는 괴사가 아닌 caspase 의존성 세포사멸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7,8-DHF처리에 의한 사멸 수용체 및 Bcl-2 계열 단백질의 발현 변화와 caspase cascade의 활성 증가로 입증하였다. 또한 7,8-DHF 처리로 인해 MitoTracker Red 형광 강도가 약화되었고, 미토콘드리아 막전위가 손실되었으며, ATP 함량 감소와 함께 세포질로 cytochrome c 방출이 증가하여 7,8-DHF의 항암 활성이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7,8-DHF에 의해 유발된 HepG2 세포의 세포사멸에는 세포 내 신호 전달계 중에서 ERK 및 AMPK의 활성화 및 PI3K/Akt의 불활성화는 HepG2 세포에서7,8-DHF에 의한 세포독성 유도에 기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7,8-DHF의 항암 활성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기전을 제공하고 향후 동물실험을 통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7,8-Dihydroxyflavone (7,8-DHF) is a type of flavonoid, a natural polyphenol compound found in various plants, which has been reported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various types of cancer cells.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the molecular biological mechanisms related to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is flavonoid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7,8-DHF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to identify the new anticancer mechanism of 7,8-DHF.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hibition of HepG2 cell survival by 7,8-DHF was related to caspase-dependent apoptosis, not necrosis. This phenomenon was evidenced by the changes in death receptors and Bcl-2 family proteins and increased activity of the caspase cascade by 7,8-DHF treatment. In addition, the 7,8-DHF treatment resulted in weakened MitoTracker Red fluorescence intensity,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creased ATP content, and increased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the cytoplasm, indicating that impaired mitochondrial function was involved in 7,8-DHF-induced apoptosis of HepG2 cells. Moreover, among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the activation of extracellular-regulated kinase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the inactivation of phosphoinositide 3-kinase/Akt contributed to the induction of cytotoxicity by 7,8-DHF in HepG2 cells. These results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anticancer activity mechanism of 7,8-DHF and will be of great value as basic data through future animal experiments.
      번역하기

      7,8-Dihydroxyflavone (7,8-DHF) is a type of flavonoid, a natural polyphenol compound found in various plants, which has been reported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various types of cancer cells.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the molecular biologica...

      7,8-Dihydroxyflavone (7,8-DHF) is a type of flavonoid, a natural polyphenol compound found in various plants, which has been reported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various types of cancer cells.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the molecular biological mechanisms related to the anticancer activity of this flavonoid is still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7,8-DHF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to identify the new anticancer mechanism of 7,8-DHF.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hibition of HepG2 cell survival by 7,8-DHF was related to caspase-dependent apoptosis, not necrosis. This phenomenon was evidenced by the changes in death receptors and Bcl-2 family proteins and increased activity of the caspase cascade by 7,8-DHF treatment. In addition, the 7,8-DHF treatment resulted in weakened MitoTracker Red fluorescence intensity,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creased ATP content, and increased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the cytoplasm, indicating that impaired mitochondrial function was involved in 7,8-DHF-induced apoptosis of HepG2 cells. Moreover, among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the activation of extracellular-regulated kinase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nd the inactivation of phosphoinositide 3-kinase/Akt contributed to the induction of cytotoxicity by 7,8-DHF in HepG2 cells. These results provide new insight into the anticancer activity mechanism of 7,8-DHF and will be of great value as basic data through future animal experimen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