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혁신 아이디어 실천과정을 행위자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위자들은 왜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44830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20
학위논문(박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도시행정학과 , 2020
2020
한국어
359.072 판사항(6)
352.16 판사항(23)
서울
v, 201 p. ; 26 cm
지도교수: 이태화
권말부록: 심층면접 질문지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혁신 아이디어 실천과정을 행위자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위자들은 왜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
본 연구는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혁신 아이디어 실천과정을 행위자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행위자들은 왜 이러한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는가?’, 둘째, ‘에너지 전환을 위하여 행위자들은 어떠한 사회혁신 아이디어를 선택하여 실천하는가?’, 셋째, ‘행위자들은 아이디어를 실천하면서 어떠한 문제에 직면하며, 어떻게 대응하는가?’, 넷째,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혁신 아이디어 실천이 만들어 내는 결과는 무엇인가?’이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에너지 전환 활동을 하고 있는 민간기업, 비영리단체, 협동조합, 마을공동체, 공공 사업단의 행위자들에게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귀납적으로 추론하였다.
먼저 개방코딩을 통하여 23개의 상위범주, 56개의 하위범주, 228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축코딩에서는 패러다임 모형을 활용하여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혁신 아이디어 실천과정’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택코딩에서는 중심현상을 발견하고, 중심현상을 기준으로 도출한 범주들을 연결시키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중심현상은 ‘관계 확장을 통한 새로운 관행의 지속적 재생산’으로 정의하였다. 즉, 행위자들이 에너지 전환을 위하여 사회혁신 아이디어를 실천하는 행위는 결과적으로 관계를 확장시키면서 새로운 관행을 지속적으로 재생산하는 행위로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중심현상으로 보고 도출한 범주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행위자들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에너지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이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행위자들은 에너지 관련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지식을 축적한다. 한편 사회 전반적으로 에너지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변화하려는 모습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새로운 에너지 전환 정책의 수립, 재생에너지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가, 환경 운동의 증가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행위자들을 문제 상황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게 만드는 계가가 된다. 이 뿐만 아니라 행위자들은 기존의 사회 운동만으로는 에너지 전환을 달성할 수 없다고 느끼면서, 새로운 방법을 고민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행위자들은 사회혁신 아이디어를 실천하는데, 행위자들이 가장 먼저 하는 것은 본 연구의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에너지 전환을 위한 사회혁신 아이디어 선택하기’이다. 그리고 행위자들은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상황에서 ‘구체적인 목적’, ‘아이디어 유형’, ‘아이디어 특징’을 고민한다. 먼저 모든 조직은 공통적으로 인간 행복, 지구의 지속가능성, 새로운 문화정착·역량강화·의식형성과 같은 사회적 목적을 추구한다. 그리고 비영리단체를 제외한 나머지 조직들은 기술을 직접 사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실용적 목적도 함께 고민하며, 민간기업과 에너지 협동조합은 경제적 목적도 추구한다.
사회혁신 아이디어 유형은 에너지 문제를 이해하는 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다. 사회에 중점을 두고 에너지 문제를 이해하는 행위자는 변혁적 방법을 통해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인식전환형’과 ‘체제전환형’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기술에 중점을 두고 에너지 문제를 이해하는 행위자들은 기술 개발 또는 기술 적용을 통해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기술개발형’과 ‘기술적용형’ 아이디어를 선택한다. 그런데 마을공동체, 에너지 협동조합, 사업단의 행위자들은 ‘인식전환형’과 ‘기술적용형’ 아이디어를 동시에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왜냐하면 이들 조직의 행위자들은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변혁적 방법뿐만 아니라 생활 속에서 기술의 사용 및 적용을 통한 실천의 필요성도 강하게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천을 중시하는 행위자들에게 있어서 사회혁신 아이디의 특징은 매우 중요하며, 이에 따라 높은 실천가능성, 낮은 진입장벽, 효과성, 효율성 등을 중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행위자들은 이렇게 사회혁신 아이디어를 선택하고 실천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행위자들은 ‘행정과의 갈등’, ‘아이디어이 적용이 어려운 환경’, ‘열악한 조직운영’과 같이 아이디어 실천을 방해하는 문제 상황에 직면한다. 그리고 ‘외부조직과 협력’, ‘설득’, ‘저항’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하며 해법을 모색한다. 그러나 때로는 문제 상황이 극복되지 못하고 아이디어를 포기하는 모습을 보인다. 특히 행위자들에게 있어서 행정과의 갈등은 좀처럼 해결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나타났다. 한편, 아이디어 실천을 방해하는 문제 상황뿐만 아니라 이를 완화시키는 상황으로 공공의 적극적인 지원 및 관심이 나타났다. 즉, 이러한 환경적 요소들은 행위자들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며 실천을 할 수 있게 만드는 긍정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행정은 문제를 발생시키는 주체이자 완화시키는 주체로서 인식될 수 있는데, 따라서 행정이 어떠한 태도를 보여주는가에 따라 사회혁신 아이디어의 실천은 촉진될 수 있다.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행위자들은 거시적 변화와 미시적 변화를 관찰한다. 우선 거시적 변화란 ‘아이디어 외부확산’, ‘사회적 인식 및 역량의 변화’, ‘재생에너지 사용의 양적 증가’를 말한다. 그런데 ‘아이디어 외부확산’이란 단순히 아이디어가 외부로 이전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 문제에 대하여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관계의 지속적 형성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적 인식 및 역량 변화’와 ‘재생에너지 사용의 양적 증가’는 에너지 전환을 위한 시민의식뿐만 아니라 실천역량 강화라는 새로운 관행을 지속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미시적 변화란 행위자의 지식과 역량이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때로는 육체적, 심리적으로 지치기도 하는데, 이러한 부정적인 결과를 경험하는 행위자들은 ‘열악한 조직운영’이라는 문제 상황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를 목격하는 과정 속에서도 행위자들은 만족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과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에너지 전환을 위하여 새로운 관행 및 관계를 형성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social innovation ideas for energy conversion from the perspective of agents. Its specific goals were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y did agents decide to participate in this ac...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social innovation ideas for energy conversion from the perspective of agents. Its specific goals were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y did agents decide to participate in this activity; second, Which social innovation ideas do they choose and use for energy conversion?; third, How do they react to the problems they face when implementing an idea?; and fourth, What are the outcomes from the application of social innovation ideas for energy conversion? In an effor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study conducted an interview with agents at private corporations, not-for-profit organizations, cooperatives, village communities, and public enterprise organizations engaging in energy conversion activities. Based on collected data, inductive inferences were made based on a grounded theory.
First, open coding identified 23 categories, 56 sub-categories, and 228 concepts. Then, axial coding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social innovation ideas for energy conversion with a paradigm model. Lastly, selective coding discovered core categories and connected the categories that had been identified around them. A core category was defined as continuous reproduction of new practices through relation expansion. That is, the agents' acts of using social innovation ideas for energy conversion were to expand relations; thus, they continuously reproduce new practices. Based on this core category, the study took the identified categories into complete consideration and had the following interpretations:
The agents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energy issues faced by modern society, and in this process, they continue to participate in energy-related activities and accumulate knowledge. People were trying to recognize the severity of the energy issues to change it across the society. Some instances include new policies for energy conversion, a growing social demand for renewable energy, and an increase of environmental movements. These changes created opportunities for agents to make active interventions into problematic situations. Furthermore, they contemplated over new methods, realizing the old social movements would not be enough to achieve energy conversion.
By going through this process, the agents practiced social innovation ideas. The first thing they did was select a social innovation idea for energy conversion, which was a phenomenon covered in this study. They also contemplated over specific goals, types of ideas, and characteristics of ideas in situations of selecting ideas. All organizations are in pursuit of common social goals such as people's happiness, sustainability of the Earth, settlement of new culture, reinforcement of new cultural capabilities, and formation of new cultural consciousness. All organizations, except for the not-for-profit ones, have contemplated over practical goals as well, making direct use of technology. Private corporations and cooperatives are in pursuit of economic benefits as well.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social innovation ideas according to the way energy issues were understood. The agents who were trying to understand energy issues with a focus on society attempted to fulfill their social goals in transformative methods, thus choosing ideas of changing perceptions and changing systems. Those who tried to understand energy issues with a focus on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attempted to fulfill social goals through the development or application of technology, thus choosing ideas of developing technology or applying technology. The agents at village communities, energy cooperatives, and enterprise organizations chose ideas of both changing perceptions and applying technology as they felt a strong need for implementation by using and applying technology in life as well as transformative methods to fulfill their social goals. Since they placed importance on such practices, they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novation ideas were very important, thus putting an emphasis on high possibilities of practice, low entry barrier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The agents chose and practiced social innovation ideas, but most of them faced problematic situations that hindered their use of ideas such as conflicts with administration, environments where the application of ideas were difficult, and poor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y took advantage of various ways such as collaboration with external organizations, persuasion and resistance to make reactions and find solutions. Sometimes, however, they would fail to overcome problematic situations and give up on their ideas. The agents found conflicts with administration especially difficult to resolve. Active public support and interest worked to mitigate problematic situations, interrupting the practice of ideas. That is, these environmental elements served as positive elements for the agents to keep resolving issues and practicing ideas. From this perspective, administration can be perceived as the subject to cause and also mitigate a problem, which means that the attitude of the administration can facilitate the practice of a social innovation idea.
In the process of continuing to resolve problems, the agents observed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hanges. Macroscopic changes include the external spread of ideas, changes to social awareness and competence, and a quantitative increase of renewable energy use. External spread of ideas does not simply mean the transfer of ideas to the outside. It can be understood as the continuous formation of relations to make joint reactions to energy issues. Changes to social awareness and competence and quantitative increase of renewable energy use can be understood as the continuous formation of a new practice called the reinforcement of practical capabilities as well as civic awareness for energy conversion. Microscopic changes refer to the growth of agents' knowledge and competence. Agents sometimes get tired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When they experienced such negative outcomes, they faced a problematic situation of poor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agents were not satisfied even in the process of witnessing such changes. They formed new practices and relations for energy conversion, continuing to repeat the process mentioned above.
목차 (Table of Contents)
1 김병권, "사회혁신", 서울연구원, 2017
2 진희선, "가치를 만드는 사람들", 인사이트브리즈, 2019
3 안소영, 조상미, 정지연, 전종설, "사회혁신이란 무엇인가?", 한 국사회복지교육, 45, 83-109, 2019
4 이태화, "파리협정과 도시에너지 전환", 공간과 사회, 48-78, 2016
5 김지은, "Strauss 와 Corbin 근거이론의 변화",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5), 505-514, 2019
6 김기국, 정성철, 장진규, "연구개발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과학 기술정책연구원, 1994
7 김태영, 박민진, "소셜벤처의 사회혁신 역할 분석", 사회적기업 연구, 11(3), 3-30, 2018
8 조희연, 홍일표, "개혁적 싱크탱크와 시민사회운동", 창작과비 평, 32(1), 108-122, 2004
9 권용덕, 허종구, 안점판, 김덕주, "농촌형 에너지자립마을 추진 방안", 정책포커스, 1-72, 2012
10 임성진, "태양의 도시 프라이부르크의 에너지 전환", 사회과학논총, 27(1), 179-198, 2011
1 김병권, "사회혁신", 서울연구원, 2017
2 진희선, "가치를 만드는 사람들", 인사이트브리즈, 2019
3 안소영, 조상미, 정지연, 전종설, "사회혁신이란 무엇인가?", 한 국사회복지교육, 45, 83-109, 2019
4 이태화, "파리협정과 도시에너지 전환", 공간과 사회, 48-78, 2016
5 김지은, "Strauss 와 Corbin 근거이론의 변화",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9(5), 505-514, 2019
6 김기국, 정성철, 장진규, "연구개발투자의 경제효과 분석", 과학 기술정책연구원, 1994
7 김태영, 박민진, "소셜벤처의 사회혁신 역할 분석", 사회적기업 연구, 11(3), 3-30, 2018
8 조희연, 홍일표, "개혁적 싱크탱크와 시민사회운동", 창작과비 평, 32(1), 108-122, 2004
9 권용덕, 허종구, 안점판, 김덕주, "농촌형 에너지자립마을 추진 방안", 정책포커스, 1-72, 2012
10 임성진, "태양의 도시 프라이부르크의 에너지 전환", 사회과학논총, 27(1), 179-198, 2011
11 김병권, "대안적 사회변화 전략으로써 ‘사회혁신,’", 새사연 발 간 보고서, 2013
12 최병두, "“대구의 도시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자립”", 한국경제지리 학회지, 16(4), 647-669, 2013
13 미우라 히로키, "사회혁신 담론에서 행위자 개념에 관한 고찰", 한 국정치학회보, 47(5), 341-366, 2013
14 박관희, "서대문구, 에너지자립마을 자치구 최다 지정", 인더스트리 뉴스, 2018
15 정서화, "사회혁신의 이론적 고찰: 개념의 유형화와 함의", 기술혁 신학회지, 20(4), 888-914, 2017
16 이창우, "전환도시 운동의 세계적 확산, 서울정책아카이브", 세계 와 도시 8호, 35~40, 2015
17 박종일, "서대문구 홍은1동 호박골 에너지자립마을된 사연?", 아시아경제, 2018
18 김혜지, 이단비, 오광석, 박지원, "에너지자립마을을 위한 주민 참여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10-1813, 2016
19 노경란, 주성재, "서울 성동구와 은평구의 사회혁신클러스터 형성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2(2), 214-235, 2019
20 김왕동, 장영배, 송위진, 박미영, "사회적 도전과제 해결을 위 한 출연 (연) 의 역할과 과제", 정책연구, 1-266, 2014
21 최승국, "에너지전환과 자립마을 상상하기, 에너지전환 마을학교", 은평구, 2014
22 고재경, 주정현, "유럽 에너지자립마을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특징 연구", 환경정책, 22(2), 101-135, 2014
23 오단이, 전예지, 원도연, "지역 사회적경제 생태계 실상과 고 찰: 동작구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7(3), 1-26, 2017
24 송위진,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사회혁신정책’: 개념과 방 향", Working Paper, 1-17, 2010
25 여형범, 오혜정, "충남 에너지자립마을 추진방안 - 리빙랩 접근 을 중심으로 -", 충남연구원, 2016
26 원작연, "마을 17곳 모여 협동조합 결성 지원없이 자립, 에너지도 자립", 서울앤, 2019
27 정병걸, "이론과 실천으로서의 전환: 네덜란드의 전환이론과 전환 정책", 과학기술학연구, 15(1), 109-143, 2015
28 이유진, "전환도시 서울과 에너지 자립마을 만들기, 서울정책아카 이브", 세계와 도시 8호, 41~46, 2015
29 이현옥, 한상일, "학습지역과 사회혁신: 개념화와 척도화 그리 고 인과관계 분석", 정부학연구, 22(1), 113-140, 2016
30 이승원, "‘불안의 극복’,‘시스템 전환’,‘회복력 강화’로서 의 사회혁신", 사회혁신포커스, 14호, 2016
31 이정필, 한재각, "“영국 에너지전환에서의 공동체에너지와 에너지시티 즌십의 함의”", 환경사회학연구 ECO, 18(1), 73-112, 2014
32 송석휘, "지방정부 사회혁신에 대한 평가와 과제: 서울시 사회혁 신을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52, 153-189, 2015
33 김현우, 조보영, 안병일, "서울시 에너지전환을 위한 도시형 적정 기술의 가능성과 활용방안 연구",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2015
34 김상민, 이소영, "[연구보고서 2018-12]: 사회혁신을 위한 참여적 지역 거버넌스 체계 구축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기본연 구과제, 2018, 1-279, 2018
35 이승철, 조문영, "한국 ‘사회혁신’의 지형도: 새로운 통치합 리성과 거버넌스 공간의 등장", 경제와사회, 268-312, 2018
36 황바람, "농촌 공동체 협업활동의 사회연결망분석-충남 홍성군 홍동 지역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23(2), 9-17, 2017
37 송철호, "[친환경 소셜벤처-‘이노마드’] "손 안에 수력발전기, 누구나 쉽게 전기 생산"", 환경경제신문 그린포스트 코리아, 2019
38 김병권, "사회혁신과 마을: 서울시 사례에서 본 커뮤니티 기반 사 회혁신의 진화 가능성", IDI 도시연구, (15), 7-29, 2019
39 한우신, "전기료 걱정 몰라요, 태양광 있으니깐, 동아일보, 기후변화 청년모임 홈페이지", 2020년 6월 11일 접속, https://www.bigwave4cc.org/, 2018
40 이유진, 진상현, "에너지자립마을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 정부 주민 주도형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9(3), 153-176, 2015
41 송원근, "[원불교시민사회네트워크 기고] 앞당겨진 지구종말시계, 환경 위 한 행동을 실천하자", 원불교 신문, 2020
42 권향원, 윤영근, 박중훈, "사회혁신 (social innovation) 기반 마련을 위한 중앙 및 지방정부의 역할과 지원모델 연구", 기본연구 과제, 2018, 4806-5147, 2018
43 정무권, "위험사회론과 사회적 위험의 역동성: 사회적 위험의 거 시적 연구를 위한 비판적 검토",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3(2), 195-224, 2012
44 이윤혜, "에너지 자립마을의 협력네트워크 활성화 요인-서울시 성대골을 중심으로 (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환경대학 원), 2015
45 박진희, "“시민참여와 재생가능에너지 정책의 새로운 철학: 독일 에너 지전환 정책 사례를 토대로”", 환경철학, 16, 159-188, 2013
46 김은지, "‘사회혁신’, 변화를 ‘제작’하는 사회운동의 등장: 희망제작소와 서울혁신파크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6(2), 379-429, 2018
47 이명훈, 이유리, "사회적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효과에 따른 지 역사회 영향 분석: 성수동 소셜벤처 밸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 발학회지, 29(2), 161-187, 2017
48 박종문, 윤순진,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 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공간과 사 회, 55, 79-138, 2016
49 김원국, "마을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에너지 전환의 꿈 [공동체 에너지 전환] ⑦ 태양과바람에너지협동조합", 프레시안, 2020
50 윤순진, "“지속가능한 발전과 21세기 에너지 정책: 에너지체제 전환의 필요성과 에너지정책의 바람직한 전환방향”", 한국행정학보, 36(3), 147-166, 2002
51 박진희, "재난 위험 사회의 위험 관리 전략의 새로운 모색 -회복탄력성 (Resilience)과 시민성(Citizenship) 향상을 중심으로", 환 경철학, 19, 91-118, 2015
52 이유진, "에너지전환을 위한 주민주도 에너지자립마을의 틈새전 략-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을 중심으로 (Doctoral dissertation",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16
53 최근희, 최승국, "“에너지전환을 위한 에너지협동조합 활성화 방안: 수 도권 소재 시민참여형 태양광발전 협동조합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1(3), 65-84, 2018
54 심혜영, 윤순진, "“에너지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시민햇빛발전협 동조합의 가능성과 제도적 한계 –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51, 140-178, 2015
55 박종문, 이성재, 윤순진, "“공동체에너지 개념을 통해서 본 에너지협동 조합의 설립과정과 역할: 서울시 소재 에너지협동조합 운영 사례를 중 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8(4), 67-96,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