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조대 『국조속오례의보』․『국조상례보편』의 편찬 배경과 편찬자들 = Gukjo Sok-O’rye’eui-bo and Gukjo Sang’rye Bopyeon, why they were compiled during King Yeongjo’s reign, and who compiled th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55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조오례의』 편찬(1474, 성종 5) 이후, 270년이 지난 1744년(영조 20)에 후속편에 해당하는 『국조속오례의』의 편찬이 이루어졌다. 『속오례의』에서 표명한 편찬 의의는 ‘오랜 시간을 경과...

      『국조오례의』 편찬(1474, 성종 5) 이후, 270년이 지난 1744년(영조 20)에 후속편에 해당하는 『국조속오례의』의 편찬이 이루어졌다. 『속오례의』에서 표명한 편찬 의의는 ‘오랜 시간을 경과하는 동안 예가 퇴이하여 시대에 맞지 않아서’라고 하였지만, 본고에서는 단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의례 개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지 않았다. 이미 『속오례의』 편찬 의의를 국가의례의 재정비가 아니라, 정치적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므로 『속오례의』에서 왕세자와 왕세손의 길례․가례를 보완한 『국조속오례의보』(1751년, 영조 27)와 흉례를 보완한 『국조상례보편』(1752년, 영조 28/1758년, 영조 34) 역시, 『속오례의』의 보완서로만 보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영조시대에 의례서가 새롭게 편찬된 이유를 밝히기 위해 『속오례의』의 편찬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그 보완서에 해당하는 『속오례의보』․『상례보편』의 편찬 배경과 편찬자들, 그리고 의례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속오례의』가 완성되고 7년 만에 나온 『속오례의보』와 『상례보편』은 그 편찬 시기가 노론이 1740년(영조 16) 경신처분을 통해서 출사의 명분을 회복하고 영조의 왕위 정통성 시비가 끝난 지 10여년 정도가 지난 시점이었다. 그리고 이때는 영조가 왕세자에게 대리청정을 맡긴 지(1749년, 영조 25) 얼마 지나지 않은 무렵이었으며, 1755년(영조 31)은 소론 일파가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일으킨 역모 사건, 즉 乙亥獄事를 계기로 영조가 『闡義昭鑑』을 지어 집권의리를 천명한 해였다.
      이와 같은 정치적 상황이 의례서의 편찬 배경이 된 데는 다음과 같은 영조의 입장이 고려되었다. 『속오례의보』와 『상례보편』의 편찬이 이루어진 시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부왕 숙종이 국가 재건사업을 벌이고, 이를 이어받은 영조가 계술사업을 마무리한 이후였다. 이제 정통성 시비에서 벗어난 영조가 국왕으로서 정치적 의지와 포부를 가지고 자신이 주도하는 국가정책을 펼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렇게 시행된 영조의 탕평정책 가운데, 의례서 편찬이 포함되었다. 요컨대, 영조가 부왕의 사업을 완결 지은 다음, 자신의 집권 기반이었던 노론에 근원을 둔 탕평지지자들을 편찬 구성원으로 하여 펴낸 의례서가 『속오례의보』와 『상례보편』이었다. 그리고 의례서의 편찬에 참여한 구성원들은 노·소론 연합정권을 운영하고자 했던 영조의 탕평정치 아래 전개된 국가 정책의 책임자이며 실무자들이기도 했다. 이들의 당색이 편찬자들의 구성과도 무관하지 않다는 것은 의례서를 단순한 의례 정비 차원에서 이루어진 문화적 산물로만 평가할 수 없는 이유이다. 본고에서는 편찬 배경과 편찬자들에 대한 정보를, 『속오례의』와 『속오례의보』·『상례보편』이 수정·보완 때문이 아니라 정치적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의례서임을 밝히는 출발점으로 삼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萬家譜, "한국학자료센터"

      2 이근호, "조선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민속원 2016

      3 양웅열, "조선의 왕비가문" 역사문화 2014

      4 "조선왕조실록"

      5 鄭萬祚,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집문당 2003

      6 이욱,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喪葬禮-애통․존숭․기억의 의례화" 민속원 2017

      7 박례경, "조선시대 國葬에서 朝祖儀 설행 논의와 결과" 31 : 2007

      8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9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10 鄭萬祚, "영조의 국가정책과 정치이념" 한국학 중앙연구원 2012

      1 萬家譜, "한국학자료센터"

      2 이근호, "조선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민속원 2016

      3 양웅열, "조선의 왕비가문" 역사문화 2014

      4 "조선왕조실록"

      5 鄭萬祚, "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집문당 2003

      6 이욱, "조선시대 국왕의 죽음과 喪葬禮-애통․존숭․기억의 의례화" 민속원 2017

      7 박례경, "조선시대 國葬에서 朝祖儀 설행 논의와 결과" 31 : 2007

      8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9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10 鄭萬祚, "영조의 국가정책과 정치이념" 한국학 중앙연구원 2012

      11 이영춘, "영조의 국가정책과 정치이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12 鄭萬祚, "영조와 영조시대" 한국학중앙 연구원 장서각 왕실문화강좌 2016

      13 지두환, "영조대왕과 친인척 (1)" 역사문화 2009

      14 이근호, "영조대 탕평파의 국정운영론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2

      15 朴秀貞, "영조대 『國朝續五禮儀』 편찬과 정치적 성격" 한국학대학원 2017

      16 박수정, "영조대 『國朝續五禮儀』 편찬 과정과 편찬자들" 조선시대사학회 (82) : 257-284, 2017

      17 "승정원일기"

      18 鄭萬祚, "농암 유수원 연구" 실시학사 2014

      19 鄭萬祚, "澹窩 洪啓禧의 정치적 生涯" 10 : 2003

      20 정만조, "朝鮮後期 延安李氏 三陟公派의 근거지 확산과 坡州정착" 한국학연구소 35 : 107-148, 2011

      21 "國朝喪禮補編" 규장각 1758

      22 "國朝喪禮補編" 규장각 1-4, 1752

      23 "國朝五禮通編" 규장각․장서각․이화여대도서관

      24 朴定子, "國朝五禮儀와 그 續補編" 8 : 1974

      25 김문식,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의 자료적 특징" 한국문화연구원 12 : 65-106, 2007

      26 안유경,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와 그 속보(續補)편의 편찬과정 및 내용" 유교문화연구소 1 (1): 63-96, 2010

      27 "『國朝續五禮儀』․『國朝續五禮儀補』" 景文社 197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연구소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2 0.75 1.856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