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은 일차적으로 가족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면서 친구관계 속에서 대인관계 및 사회적 능력을 배우게 된다. 하지만 이 속에서 여러 가지 갈등상황에 직면하게 되고, 이러한 갈등을 효율...
아동은 일차적으로 가족과 관계를 맺고, 성장하면서 친구관계 속에서 대인관계 및 사회적 능력을 배우게 된다. 하지만 이 속에서 여러 가지 갈등상황에 직면하게 되고, 이러한 갈등을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것은 아동의 적응과 발달에 있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갈등상황에서 좀 더 효율적인 대처능력을 키우고 적절한 관계형성과 사회적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차적인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계와 대인관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아동의 적응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해결전략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갈등해결전략에 중재적 요인이 될 수 있는 정서조절능력을 긍정적으로 성장·발전시켜 아동의 효율적인 갈등해결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 치료적 개입의 기초가 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개인변인(성별, 형제순위, 부모학력, 월평균 가계수입)에 따른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위계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강서구, 양천구에 위치한 2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5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Moos(1981)와 그의 동료들이 제작한 Family Environment Scale(FES)척도를 김소야자(1982)가 번안하고 다시 가족관계 문항을 김도연(199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정서조절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문용린(1996)이 제작한 청소년용 정서지능검사의 5개의 하위영역 중 정서조절 영역을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은해, 고은주, 오원정(2000)의 청소년용 갈등해결전략척도를 배선영(2000)이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적절하도록 문항 내용을 수정하고 본 연구자가 일부 문항을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의 목적인 아동의 개인변인(성별, 형제순위, 부모학력, 월평균 가계수입)에 따른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위계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 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개인변인(성별, 형제순위, 부모학력, 월평균 가계수입)에 따른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는 차이를 보면, 갈등해결전략에서 가장 효율적인 절충 및 협력전략은 남아보다 여아가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아는 지배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월평균 가계수입이 많을수록 절충 및 협력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결속은 갈등해결에 있어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절충 및 협력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또한 가족관계의 하위 요인 중 표현은 절충 및 협력전략에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갈등은 지배전략에서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정서조절능력 중 타인조절능력이 지배전략에 미치는 영향력만 유의미하지 않았고, 정서조절능력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모두에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각각의 하위 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조절능력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중 회피와 지배전략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타인조절능력은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 중 절충 및 협력과 양보전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한 가족관계 및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이 친구 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가족관계를 제거하고 정서조절능력은 갈등해결전략에 독립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갈등상황을 가장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절충 및 협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