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역자치단체의 필수업무종사자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연구 = A Study on Ordinances for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Essential Workers in Regional Local Gover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693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필수업무종사자법」을 근거로 제정된 전국 13개 광역자치단체의 조례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는 첫째, 조례명칭에서는 필수업무, 필수업무종사자, 필수노동자 세 가지 용어가 사용되었고, 대체적으로 상위법과 동일하게 필수업무 및 필수업무종사자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용어 정의에서 제주는 필수업무종사자 범위를 상위법보다 좁게 규정하였다. 필수업무종사자들이근로기준법상 근로자 개념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개정할필요가 있다. 셋째, 제주를 제외한 12개 광역 자치단체가 지원위원회를 따로 설치하였다. 또한 상위법에서 규율한 대로 13개 중 10 개 광역자치단체가 지방자치단체장을 위원장으로 규정하였으나 부산과 경기는 이 규정을 따르지 않고 있어서 개정이 필요하다. 넷째, 지원위원회 구성에서 노동자 대표를 포함하는 규정을 명시하지 않은 곳도 조사되었다. 노동자 대표의 참여를 명시적으로 규율하여 위원회의 민주적 정당성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필수업무종사자법」을 근거로 제정된 전국 13개 광역자치단체의 조례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는 첫째, 조례명칭에서는 필수업무, 필수업무종사자, 필수노동자 세 가지 용어...

      이 연구는 「필수업무종사자법」을 근거로 제정된 전국 13개 광역자치단체의 조례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는 첫째, 조례명칭에서는 필수업무, 필수업무종사자, 필수노동자 세 가지 용어가 사용되었고, 대체적으로 상위법과 동일하게 필수업무 및 필수업무종사자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둘째, 용어 정의에서 제주는 필수업무종사자 범위를 상위법보다 좁게 규정하였다. 필수업무종사자들이근로기준법상 근로자 개념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개정할필요가 있다. 셋째, 제주를 제외한 12개 광역 자치단체가 지원위원회를 따로 설치하였다. 또한 상위법에서 규율한 대로 13개 중 10 개 광역자치단체가 지방자치단체장을 위원장으로 규정하였으나 부산과 경기는 이 규정을 따르지 않고 있어서 개정이 필요하다. 넷째, 지원위원회 구성에서 노동자 대표를 포함하는 규정을 명시하지 않은 곳도 조사되었다. 노동자 대표의 참여를 명시적으로 규율하여 위원회의 민주적 정당성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민주, "허울뿐인 필수 노동자, 아이돌보미" 151 : 67-69, 2021

      2 이승윤 ; 김은지 ; 박고은, "한국 사회안전망 밖의 하청노동자: 울산지역 조선업 하청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111-143, 2017

      3 신수정, "필수유지업무제도의 쟁점에 대한 제언"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3) : 31-62, 2018

      4 문무기, "필수유지업무제도의 운영상 문제점과 법․제도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62 (62): 265-300, 2021

      5 박고은 ; 김규혜, "필수노동자의 일터 위험은 재난 시기에 어떻게 확대 (재)생산되는가: 코로나19와 성동구 돌봄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83-124, 2021

      6 신수정, "필수노동자에 대한 법적 보호 방안" 한국사회법학회 (44) : 25-52, 2021

      7 권오성, "필수노동자 보호를 위한 입법공청회 자료집"

      8 이상희, "필수노동자 보호를 위한 입법공청회 자료집"

      9 양현, "필수공익사업장 노동조합 단체행동권 확대의 기나긴 노정 ― 철도노조 파업과 그 법적 쟁점들을 중심으로 ―" 공익인권법센터 (28) : 97-154, 2022

      10 정명현, "필수공익사업의 쟁의행위 제한의 문제점 및 보상조치" 법제처 688 : 193-230, 2020

      1 배민주, "허울뿐인 필수 노동자, 아이돌보미" 151 : 67-69, 2021

      2 이승윤 ; 김은지 ; 박고은, "한국 사회안전망 밖의 하청노동자: 울산지역 조선업 하청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4 (44): 111-143, 2017

      3 신수정, "필수유지업무제도의 쟁점에 대한 제언"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3) : 31-62, 2018

      4 문무기, "필수유지업무제도의 운영상 문제점과 법․제도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62 (62): 265-300, 2021

      5 박고은 ; 김규혜, "필수노동자의 일터 위험은 재난 시기에 어떻게 확대 (재)생산되는가: 코로나19와 성동구 돌봄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71) : 83-124, 2021

      6 신수정, "필수노동자에 대한 법적 보호 방안" 한국사회법학회 (44) : 25-52, 2021

      7 권오성, "필수노동자 보호를 위한 입법공청회 자료집"

      8 이상희, "필수노동자 보호를 위한 입법공청회 자료집"

      9 양현, "필수공익사업장 노동조합 단체행동권 확대의 기나긴 노정 ― 철도노조 파업과 그 법적 쟁점들을 중심으로 ―" 공익인권법센터 (28) : 97-154, 2022

      10 정명현, "필수공익사업의 쟁의행위 제한의 문제점 및 보상조치" 법제처 688 : 193-230, 2020

      11 이다혜, "코로나19와 노동법의 과제 : 포스트 코로나 시대, 정의롭고 안전한 노동을 위한 법제도적 방향" 법과사회이론학회 (66) : 71-109, 2021

      12 김희강 ; 박선경, "코로나19, 돌봄부정의, 돌봄포용국가" 한국행정학회 55 (55): 55-80, 2021

      13 신진욱 ; 박선경, "코로나19 재난 상황의 필수노동자 지원 정책을 누가 지지하는가?: 보건의료, 돌봄, 청소, 배달노동자에 대한 시민인식 패널조사 데이터 분석" 정부학연구소 28 (28): 123-154, 2022

      14 고용노동부, "코로나19 사회의 필수노동자 안전 및 보호 강화 대책"

      15 석재은, "코로나19 국면에서 재조명된 장기요양 돌봄노동자의 취약성과 사회적 과제" 한국사회복지학회 72 (72): 125-149, 2020

      16 안수영, "지방자치단체 필수노동자 정책사례 연구" 충남여성정책개발원 2021

      17 서울시의회, "서울특별시 필수노동자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일부개정조례안(의안번호 제3111호) 검토보고 회의록"

      18 CDC, "Interim List of Categories of Essential Workers Mapped to Standardized Industry Codes and Titles"

      19 CISA, "Identifying Critical Infrastructure During COVID-19"

      20 OECD, "COVID-19 and key workers: What role do migrants play in your reg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