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후기 연행사의 중국 명산 유람 양상과 특징 = The appearance and characteristic of excursion of Chinese celebrated mountains by Yeon-Hang-Sa in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255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연행록 22종을 대상으로 연행사의 중국 명산유람 양상과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책문(柵門)을 통과해 북경에 이르기까지 연행 노정 부근에 위치한 명산으로...

      이 글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연행록 22종을 대상으로 연행사의 중국 명산유람 양상과 그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책문(柵門)을 통과해 북경에 이르기까지 연행 노정 부근에 위치한 명산으로 연행사가 주목하고 유람한 산은 책문 근처의 봉황산, 안산(鞍山) 인근의 천산, 광녕(廣寧) 부근의 의무려산, 산해관(山海關)에 위치한 각산, 영평부(永平府) 난하(난河) 가의 수양산, 그리고 계주(계州) 북쪽에 있는 반산의 6산이다. 연행록 소재 이들 명산의 유람기는 ① 봉황산(鳳凰山): 안시성 성터와 고토(故土) 의식, ② 천산(千山) : 유람의 8가지 어려움과 김창업의 유기, ③ 의무려산(醫巫閭山) : 화이(華夷)의 경계와 감로암의 주지승 수행(秀行), ④ 각산(角山) : 만리장성과 발해를 조망하는 풍광, ⑤수양산(首陽山) : 충절의 공간과 고사리 고사, ⑥ 반산(盤山) : 송수석(松水石)의 삼승(三勝)과 원굉도의 「유반산기(遊盤山記)」로 그 특징을 정리할 수 있다. 연행사의 중국 명산 방문 양상은 그 층위를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안시성(安市城), 이제묘(夷齊廟), 망해정(望海亭), 북진묘(北鎭廟)와 같은 유적이나 경관을 지닌 봉황산, 수양산, 각산, 의무려산이고, 다른 하나는 천산이나 반산처럼 이정귀(李廷龜), 원굉도(袁宏道) 등의 유산기에 많은 영향을 받아 유산(遊山)의 체험을 중시한 경우이다. 유산의 체험을 중시한 경우 이정귀의 「삼산유기(三山遊記)」, 원굉도의 「유반산기」와 같은 산수유기가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독립된 산수유기 형식으로 전승되지는 않았지만 김창업의 연행일기 내의 유산 기록도 후대 연행사에게 널리 읽히면서 참조가 되었다. 연행사는 요동 지방에 있는 봉황산, 천산, 의무려산을 유람하는 경우 이곳이 고구려의 강역임을 상기하고 고구려 관련 유적이나 양만춘, 설인귀, 연개소문 등의 설화에 대해 관심을 지녔다. 연행사의 중국 명산 유람은 연행의 실상을 이해하고, 한중 문화교류의 현장을 검토함에 있어 상당한 의의를 지닌다. 연행록 외에 조선 후기 문인의 문집에는 연행로 부근의 명산을 유람하고 남긴 유기(遊記)가 상당수 수록되어 있다. 향후 본고에서 다루지 않은 여타 연행록 및 문집의 관련 기록을 보완하여 연구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bout the aspect and feature of excursion of Chinese famous mountains regarding the types of 22 Yeon-Hang-Rok which are representative in late Joseon dynasty. The mountains that Yeon-Hang-Sa had noticed and had a tour are Bong-Hwang-San ...

      This paper is about the aspect and feature of excursion of Chinese famous mountains regarding the types of 22 Yeon-Hang-Rok which are representative in late Joseon dynasty. The mountains that Yeon-Hang-Sa had noticed and had a tour are Bong-Hwang-San near Chaek-Moon(柵門), Cheon-San around An-San(鞍山), E-Moo-Ryeo-San in Gwang-Neyong(廣寧), Gak-San in San-Hae-Gwan(山海關), Soo-Yang-San in Nan-Ha(란河), Yeong-Pyeong-Boo(永平府), and Ban-San in Nothern Gye-Ju(계州). These excursions in Yeon-Hang-Rok can be classified in this way : ① Bong-Hwang-San(鳳凰山) : the area of an ancient castle of An-Si-Sung(安市城) and the sense of native land, ② Cheon-San(千山) : the eight difficulties of excursion and dereliction of Kim-Chang-Eup (金昌業), ③ E-Moo-Ryeo-San(醫巫閭山) : the guard for barbarian and asceticism of monk of Gam-Ro-Am(甘露庵), ④ Gak-San(角山) : scenery of the Great Wall and Bal-Hae(渤海), ⑤ Soo-Yang-San(首陽山) : the space of loyalty and sacrifice of bracken, and ⑥ Ban-San(盤山) : the three of extraordinary sightseeing of Song(松)-Soo(水)-Suck(石) and 「Yoo-Ban-San-Ki(遊盤山記)」of Won-Gang-Do(袁宏道). It can be divided in two ways regarding the appearance of excursion of Yeon-Hang-Sa. First, Bong-Hwang-San, Soo-Yang-San, Gak-San, and E-Moo-Ryeo-San have remains or landscape, such as An-Si-Sung(安市城), Lee-Hae-Myo(夷齊廟), Mang-Hae-Jung(望海亭), and Book-Jin-Myo(北鎭廟). Second, it tends to put emphasis on the experience of a mountain excursion. In this sense, San-Soo-Yoo-Gi, such as 「Sam-San-Yoo-Gi(三山遊記)」of Lee-Jeong-Gui(李 廷龜) and 「Yoo-Ban-San-Ki(遊盤山記)」of Won-Gang-Do, have a significant role at that time, and 「Yeon-Hang-Il-Gi」of Kim-Chang Eup were referred by the late of Yeon-Hang-Sa. When Yeon-Hang-Sa did a sightseeing in Bong-Hwang-San, Cheon-San, and E-Moo-Ryeo-San around the area of Yo-Dong(遼東), they were interested in remains which related with Goguryeo and had attention of folk story, such as Yang-Man-Choon(楊萬春), Seol-In-Gui(薛仁貴), and Yeon-Gae-So-Moon(淵蓋蘇文). This excursion has a significant meaning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Yeon-Hang and in terms of cultural interaction between China and Korea. Many records about the excursion of celebrated mountains in China have also remained in the literatures that were writte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besides Yeon-Hang-Rok. It is necessary to research Yeon-Hang-Rok that have not been studied and other literatures as wel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아리, "老稼齋燕行日記의 글쓰기 방식-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5, 2000

      2 李廷龜, "한국문집총간 69~70" 민족문화추진회, 1988

      3 李德懋, "한국문집총간" 민족문화추진회 : 257 ~ 259, 1988

      4 권석환, "중국 전통 游記의 핵심 시기 문제 -晩明시기 유람문화와 유기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49) : 41 ~ 68, 2012

      5 김태준, "중국 내 연행노정고" 동양학 (35) : 3 ~ 3, 2004

      6 김태준, "조선의 지식인과 함께 문명의 연행길을 가다" 푸른역사, 2005

      7 신익철, "조선 후기 연행사의 盤山 유람과 원굉도의 「遊盤山記」" 漢文敎育硏究 (42) : 117 ~ 146, 2014

      8 李器之,李義鳳, "연행록선집보유 上"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9 "바이두 편, 百度百科, <鳳凰山 >"

      10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1 김아리, "老稼齋燕行日記의 글쓰기 방식-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5, 2000

      2 李廷龜, "한국문집총간 69~70" 민족문화추진회, 1988

      3 李德懋, "한국문집총간" 민족문화추진회 : 257 ~ 259, 1988

      4 권석환, "중국 전통 游記의 핵심 시기 문제 -晩明시기 유람문화와 유기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49) : 41 ~ 68, 2012

      5 김태준, "중국 내 연행노정고" 동양학 (35) : 3 ~ 3, 2004

      6 김태준, "조선의 지식인과 함께 문명의 연행길을 가다" 푸른역사, 2005

      7 신익철, "조선 후기 연행사의 盤山 유람과 원굉도의 「遊盤山記」" 漢文敎育硏究 (42) : 117 ~ 146, 2014

      8 李器之,李義鳳, "연행록선집보유 上"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8

      9 "바이두 편, 百度百科, <鳳凰山 >"

      10 한국학중앙연구원, "민족문화대백과사전"

      11 소재영, "그 고난과 깨달음의 길" 박이정, 2004

      12 李海應, "국역 연행록선집 8" 민족문화추진회, 1982

      13 李岬, "국역 연행록선집 6" 민족문화추진회, 1982

      14 李宜顯, "국역 연행록선집 5" 민족문화추진회, 1982

      15 金昌業, "국역 연행록선집 4" 민족문화추진회, 1982

      16 崔德中,李㴭, "국역 연행록선집 3" 민족문화추진회, 1982

      17 權挾, "국역 연행록선집 2" 민족문화추진회, 1982

      18 金景善, "국역 연행록선집 10~11" 민족문화추진회, 1982

      19 朴趾源, "국역 연하일기" 민족문화추진회, 1985

      20 洪良浩, "耳谿集" 민족문화추진회, 2000

      21 洪大容, "湛軒書" 민족문화추진회, 1939

      22 "正祖實錄"

      23 洪敬謨, "冠巖存藁"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4 김현미, "18세기 연행록의 전개와 특성" 혜안,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