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지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154-161, 2015
2 박지순, "한국어 상대높임법 실현의 영향 요인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8) : 290-324, 2014
3 박지순, "학술 논문의 인용문 연구: 국어학 학술 논문 텍스트를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5 (25): 81-100, 2018
4 강보선, "피동 표현 교육의 내용 검토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5-40, 2020
5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의 전제와 학문론적 의의" 국어교육연구소 (34) : 57-86, 2014
6 황선영, "텔레비전 뉴스 담화에서의 한국어 시제 사용 분석" 한국화법학회 (37) : 169-201, 2017
7 조진수, "텍스트 맥락 기반의 문장 확대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이정복, "청소년들의 경어법 사용 실태 분석: 대구 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0 : 207-242, 2006
9 제민경,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5
10 구본관 ; 신명선,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7) : 261-297, 2011
1 박지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 154-161, 2015
2 박지순, "한국어 상대높임법 실현의 영향 요인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8) : 290-324, 2014
3 박지순, "학술 논문의 인용문 연구: 국어학 학술 논문 텍스트를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5 (25): 81-100, 2018
4 강보선, "피동 표현 교육의 내용 검토 -2015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5-40, 2020
5 주세형, "통합적 문법 교육의 전제와 학문론적 의의" 국어교육연구소 (34) : 57-86, 2014
6 황선영, "텔레비전 뉴스 담화에서의 한국어 시제 사용 분석" 한국화법학회 (37) : 169-201, 2017
7 조진수, "텍스트 맥락 기반의 문장 확대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8 이정복, "청소년들의 경어법 사용 실태 분석: 대구 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어학회 30 : 207-242, 2006
9 제민경, "장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2015
10 구본관 ; 신명선, "원리 중심의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소 (27) : 261-297, 2011
11 김병건, "어휘적 피동의 담화 기능 연구" 한말연구학회 (42) : 5-31, 2016
12 양세희, "시간 표현 교육 내용의 인지의미론적 접근-‘-겠-’을 중심으로-" 우리어문학회 (66) : 267-300, 2020
13 전영철, "소위 이중피동문에 대하여"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2) : 79-101, 2008
14 김은성, "비판적 언어인식에 대한 연구" 15 : 323-355, 2005
15 김은성, "비판적 언어인식과 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46) : 139-181, 2013
16 이지수, "문장 구성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7 구본관, "문법 연구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변화 - 탈문법학 시대의 문법 교육의 새로운 지향" 국어교육연구소 (37) : 197-254, 2016
18 구본관, "문법 교육에서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경어법 교육을 중심으로" 36 : 749-779, 2008
19 신호철, "맥락 중심의 문법 교육 내용 기술 방안 연구 -높임 표현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43) : 323-348, 2012
20 조용준, "대학생 연령층의 상대높임법 화계 연구" 국제어문학회 (74) : 291-314, 2017
21 김지혜, "담화 분석을 통한 한국어 간접 인용 표현 교육 방안 연구" 이중언어학회 (46) : 45-65, 2011
22 박혜진, "단어형성법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3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24 윤현애, "구어 장르 구분을 기반한 한국어 피동 표현의 담화 기능 연구" 106-115, 2011
25 정민, "고등학교 국어" 해냄에듀 2018
26 이성영,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8
27 이삼형, "고등학교 국어" 지학사 2018
28 신유식, "고등학교 국어" 미래엔 2018
29 박영민, "고등학교 국어" 비상교육 2018
30 박영목, "고등학교 국어" 천재교육 2018
31 박안수, "고등학교 국어" 비상교육 2018
32 민현식, "고등학교 국어" 좋은책신사고 2018
33 류수열, "고등학교 국어" 금성출판사 2018
34 김동환, "고등학교 국어" 교학사 2018
35 고형진, "고등학교 국어" 동아출판 2018
36 최원식, "고등학교 국어" 창비 2018
37 박진희, "‘인용’의 문법 교육적 재개념화 연구" 국어교육학회 54 (54): 101-133, 2019
38 Fuchs, E., "The palgrave handbook of textbook studies" Palgrave Macmillan 2018
39 Ivanic, R., "Discourses of writing and learning to write" 18 (18): 220-245, 2004
40 김병건, "20·30대 상대높임법 체계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7 : 1-32, 2012
41 남가영,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규범성’ 담론의 의미와 작용 양상" 한말연구학회 (54) : 101-14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