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만족과 우울감의 매개효과 = The Impact of Middle Age Women`s Social Volunteering on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ed Effect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190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lternative solution to increase the middle-age women’ psychological well-being by proving mediated effect between middle-age women’ social service actives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

      First, does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does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Third, does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ffect the depression?

      Fourth, doe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was a preliminary survey from February 1st through 3rd 2016 for 3 days and the main survey from February 5th through 14th for 15 days which deployed 700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614 surveys questionnaires that were aimed for middle-aged women, aged between 40~64, who participate in community servic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ASW (SPSS) Ver. (22.0) program which conducted validity, reliabilit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d 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key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had an impa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analysis is thought to be the reflection of pride and accomplishment of middle-aged women through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community service social network for middle-aged women in local community by building and managing systematic education and human infrastructure.

      Secon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factor had an impact on life satisfaction. Physical, family, and interpersonal factors seem to have static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analysis matches with Kwon (2012)’s research analysis, when if one consider their life is satisfying and ordinary life’s emotional experience is more positive than negative, then life satisfaction is also positive.

      Third, community service factor had an impact on depression. The analysis shows reduce in depression when physical, family and interpersonal factors become positive. These results match with Kong (2004), Lee (2001), Kim (2006)’s research, if physical, family, and interpersonal factors are well controlled, then they tend to reduce depression.

      Fourth, the parameter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parameters,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ve a mediating effects between middle-aged women’ community service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way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and decrease the life depression. In order for middle-aged women’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to be more active, policy initiatives and program development is requi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lternative solution to increase the middle-age women’ psychological well-being by proving mediated effect between middle-age women’ social service actives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In order to ach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 alternative solution to increase the middle-age women’ psychological well-being by proving mediated effect between middle-age women’ social service actives and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

      First, does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does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Third, does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ffect the depression?

      Fourth, doe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was a preliminary survey from February 1st through 3rd 2016 for 3 days and the main survey from February 5th through 14th for 15 days which deployed 700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614 surveys questionnaires that were aimed for middle-aged women, aged between 40~64, who participate in community servic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ASW (SPSS) Ver. (22.0) program which conducted validity, reliabilit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T-test and ANOVA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key variable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ffects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of middle-aged women had an impac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analysis is thought to be the reflection of pride and accomplishment of middle-aged women through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community service social network for middle-aged women in local community by building and managing systematic education and human infrastructure.

      Second,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factor had an impact on life satisfaction. Physical, family, and interpersonal factors seem to have static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analysis matches with Kwon (2012)’s research analysis, when if one consider their life is satisfying and ordinary life’s emotional experience is more positive than negative, then life satisfaction is also positive.

      Third, community service factor had an impact on depression. The analysis shows reduce in depression when physical, family and interpersonal factors become positive. These results match with Kong (2004), Lee (2001), Kim (2006)’s research, if physical, family, and interpersonal factors are well controlled, then they tend to reduce depression.

      Fourth, the parameter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the parameters,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ve a mediating effects between middle-aged women’ community service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ways to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and decrease the life depression. In order for middle-aged women’ community service activities to be more active, policy initiatives and program development is requi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사이에서 삶의 만족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이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삶의 만족과 우울감은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2016년 2월 1일부터 2월 3일까지 3일간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2016년 2월 5일부터 2월 14일까지 15일간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있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40세-64세 사이의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총 7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61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인PASW(SPSS) Ver.(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분석결과는 현재 사회봉사활동을 하는 중년기 여성이 스스로 자긍심과 성취감을 가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과 인적 인프라 구축 및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 내에 중년기 여성 사회봉사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봉사활동 요인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 대인관계 요인이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여기고 일상생활에서 정서적 경험이 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일 때,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분석한 권중돈(2012)의 연구와 일치한다.
      셋째, 사회봉사활동 요인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 대인관계 요인이 좋아질수록 우울감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신체적으로 만족하고, 가족관계나 대인관계가 잘 유지되면 우울감이 줄어든다는 공보금(2004), 이현주(2001), 김미례(2006)의 연구와 일치한다.
      넷째,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 우울감은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처럼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삶의 만족과 우울감이 매개효과를 가짐으로 삶의 만족을 높이고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정책적 노력과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사이에서 삶의 만족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이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사이에서 삶의 만족과 우울감의 매개효과를 밝히고 이를 통해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삶의 만족과 우울감은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2016년 2월 1일부터 2월 3일까지 3일간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2016년 2월 5일부터 2월 14일까지 15일간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있는 사회복지시설에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40세-64세 사이의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총 7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61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인PASW(SPSS) Ver.(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특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분석결과는 현재 사회봉사활동을 하는 중년기 여성이 스스로 자긍심과 성취감을 가지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교육과 인적 인프라 구축 및 관리를 위해 지역사회 내에 중년기 여성 사회봉사네트워크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봉사활동 요인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 대인관계 요인이 삶의 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자신의 삶을 만족스럽게 여기고 일상생활에서 정서적 경험이 부정적인 것보다 긍정적일 때, 삶의 만족도가 높다고 분석한 권중돈(2012)의 연구와 일치한다.
      셋째, 사회봉사활동 요인이 우울감에 영향을 미쳤다. 신체적 요인, 가족관계 요인, 대인관계 요인이 좋아질수록 우울감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신체적으로 만족하고, 가족관계나 대인관계가 잘 유지되면 우울감이 줄어든다는 공보금(2004), 이현주(2001), 김미례(2006)의 연구와 일치한다.
      넷째, 매개변수인 삶의 만족, 우울감은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 특성과 심리적 안녕감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가졌다.
      이처럼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변인인 삶의 만족과 우울감이 매개효과를 가짐으로 삶의 만족을 높이고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정책적 노력과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요구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4. 용어의 정의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연구의 범위와 방법 4
      • 4.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8
      • 1. 중년기 여성의 개념과 특징 8
      • 2. 중년기 여성의 사회봉사활동 11
      • 3. 삶의 만족 18
      • 4. 심리적 안녕감 25
      • 5. 중년기 여성의 우울감 35
      • 6. 사회봉사활동, 삶의 만족, 우울감,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43
      • Ⅲ. 연구 방법 48
      • 1. 연구 모형과 가설 48
      • 2. 측정도구 50
      • 3. 표집 및 자료 수집 방법 53
      • 4. 분석 방법 53
      • Ⅳ. 분석결과 55
      • 1. 측정도구의 요인분석 55
      • 2. 측정도구의 신뢰도 61
      •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62
      • 4. 주요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64
      • 5.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 65
      • 6.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봉사활동 특성 차 이 분석 66
      • 7. 영향관계 분석 83
      • 8. 가설검증 99
      • Ⅴ. 결론 101
      • 1. 요약 및 논의 101
      • 2. 제언 1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