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조선후기 교통망과 상품유통의 발달 과정에서, 漕倉과 場市를 무대로 연희되는 五廣大 문화가 유행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찾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교통망 중에서 沿江路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863825
2015
Korean
낙동강 ; 교통망 ; 포구 ; 조창 ; 오광대 ; the Nakdong-river ; 洛東江 ; Transportation Networks ; 교통망 ; Harbor ; 포구 ; Tribute Granary ; 漕倉 ; Ogwangdae ; 五廣大 ; the Mask Dance
KCI등재
학술저널
105-132(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조선후기 교통망과 상품유통의 발달 과정에서, 漕倉과 場市를 무대로 연희되는 五廣大 문화가 유행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찾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교통망 중에서 沿江路와 ...
본고는 조선후기 교통망과 상품유통의 발달 과정에서, 漕倉과 場市를 무대로 연희되는 五廣大 문화가 유행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찾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교통망 중에서 沿江路와 海路는 稅穀과 地代 및 다양한 상품 등을 운반하는 주요한 航路였다. 수로와 해로는 근거리 및 원격지 수송 운반을 위한 거점으로서 포구가 있었다. 이러한 포구 중에서 도호부나 군영 등 행정적ㆍ군사적으로 큰 도시에는 세곡의 수집과 운송의 거점인 漕倉을 끼고 있었다. 여기에는 관할 지역민이 동원되어 집하와 운송에 종사했고 이른바 사람과 물화의 교통의 거점이자 매개지점이 되었다. 경상도에서는 낙동강을 중심으로 밀양강과 남강을 연결하는 루트와 연안 해로를 통한 루트가 발달하였다. 특히 18-19세기에 경상도 지역에서 세곡운반선과 상선으로 붐비던 浦口나 津으로서 김해 칠성포와 불암진, 밀양 삼랑진과 수산진, 창원 마산포, 진주 병영과 가산진, 통제영과 통영창 등이었다. 여기에 물화유통을 위한 조창이 발달하였다. 이와 같은 교통의 요지인 포구나 진을 중심으로 오광대 연희가 이루어지고 또 그것이 전파되어 갔다. 경상도에서의 연희는 합천 율지의 대광대(竹廣大)에서 비롯되었다고 대체로 보고 있다. 당시 율지장은 낙동강변에서 개시되는 포구장시로서 어염을 실은 장사배가 들어와서 내륙의 물화와 교역되던 곳이었다. 이러한 기반 위에서 경남 내륙과 해안에 전파되어 주요한 연희문화를 이룬 게 진주 가산창의 오광대, 창원과 마산 조창의 오광대, 고성과 통영창의 오광대, 가락 해창의 오광대 등이었다. 오광대의 연희는 장시나 포구에서 활동하는 상인층이나 조창업무를 관장하는 이속들에 의해 대개 주재되었다. 결국 경상도 남부 연안과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민중의 애환을 담은 오광대 문화는 민중문화ㆍ민속문화의 지역성을 담보하면서 발달해 나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for the spread of the Ogwangdae(五廣大; Mask Dance) culture existed around tribute granaries(漕倉) and regional markets(市場)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ransportation networks an...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for the spread of the Ogwangdae(五廣大; Mask Dance) culture existed around tribute granaries(漕倉) and regional markets(市場)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ransportation networks and goods distribution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mong a variety of transportation networks, waterways and seaways were major shipping routes carrying grains paid as a tax and various commodities. Harbors(浦口), served as a base for short and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were located on the riverside and the seaside. Harbours which situated at big cities that had administrative and military importance were connected with tribute granaries, the starting point for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the grains. Tribute granaries entrusted local people with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the grains, thereby becoming the core and intermediate position for the traffic of people and goods. In Gyeongsang-Province(慶尙道), the route connecting the Miryang-river (密陽江) and the Nam-river(南江), with the Nakdong-river(洛東江) as a center, was developed together with another route using costal seaway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harbors and ferries(津) which were crowded with grain carriers and merchant ships in Gyeongsang-Province were as follows: the harbor of Chilseong in Gimhae(金해 七星浦), the Samrang ferry of Miryang(密陽 三浪津), the harbor of Masan in Changwon(昌原 馬山浦), the Gasan ferry of Jinju(晉州 駕山津), Goseong(固城), and Tongyeong(統營). In general,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for the spread of the Ogwangdae(五廣大; Mask Dance) culture existed around tribute granaries(漕倉) and regional markets(市場) in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ransportation networks and goods distribution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mong a variety of transportation networks, waterways and seaways were major shipping routes carrying grains paid as a tax and various commodities. Harbors(浦口), served as a base for short and long distance transportation, were located on the riverside and the seaside. Harbours which situated at big cities that had administrative and military importance were connected with tribute granaries, the starting point for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the grains. Tribute granaries entrusted local people with collection and transportation of the grains, thereby becoming the core and intermediate position for the traffic of people and goods. In Gyeongsang-Province(慶尙道), the route connecting the Miryang-river (密陽江) and the Nam-river(南江), with the Nakdong-river(洛東江) as a center, was developed together with another route using costal seaways.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harbors and ferries(津) which were crowded with grain carriers and merchant ships in Gyeongsang-Province were as follows: the harbor of Chilseong in Gimhae(金해 七星浦), the Samrang ferry of Miryang(密陽 三浪津), the harbor of Masan in Changwon(昌原 馬山浦), the Gasan ferry of Jinju(晉州 駕山津), Goseong(固城), and Tongyeong(統營). In general,
연구논문 : 『신청년(新靑年)』의 신문학운동과 중국의 근대성
연구논문 : 워싱턴 행정부의 외교체제 확립과정 : 워싱턴 장관회의를 중심으로
연구논문 : 한말,일제강점기 군산 영명학교,멜볼딘여학교의 설립과 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