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1. 서론
- 2. 문헌연구
- 1) 표준화의 정의 및 필요성
- 2) N스크린 광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56409
2014
Korean
N스크린 광고 ; 스마트미디어 ; 표준화 ; 광고소재 ; 광고 메타데이터 ; OTT서비스 ; N-Screen advertising ; smart media ; standardization ; advertising materials ; metadata ; OTT service
326
KCI등재
학술저널
123-152(3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DMC미디어., "통합적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스마트미디어 광고효과 연구" 디지에코 2012
2 류원, "차세대 N스크린 서비스 기술" 17 (17): 69-77, 2012
3 조은아, "지상파도 가세한 N스크린 시장… 케이블 TV가 스마트폰으로… MK뉴스"
4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표준화백서"
5 정보통신부, "정보통신부 고시 제 1997-29호"
6 한국인터넷마케팅협회, "인터넷 광고 활성화를 위한 기반조성방안 연구" 한국전산원 2005
7 이시훈, "스마트미디어 광고 활성화를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화 등 정책방안 연구" KOBACO 2011
8 이종근, "스마트기기 대중화 시대, N스크린 개념이 현실화되고 있다" LG경제연구소 2011
9 송민정, "스마트 디바이스 관점에서 본 2012년 웹트렌드 및 인사이트" 디지에코 2012
1 DMC미디어., "통합적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스마트미디어 광고효과 연구" 디지에코 2012
2 류원, "차세대 N스크린 서비스 기술" 17 (17): 69-77, 2012
3 조은아, "지상파도 가세한 N스크린 시장… 케이블 TV가 스마트폰으로… MK뉴스"
4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표준화백서"
5 정보통신부, "정보통신부 고시 제 1997-29호"
6 한국인터넷마케팅협회, "인터넷 광고 활성화를 위한 기반조성방안 연구" 한국전산원 2005
7 이시훈, "스마트미디어 광고 활성화를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화 등 정책방안 연구" KOBACO 2011
8 이종근, "스마트기기 대중화 시대, N스크린 개념이 현실화되고 있다" LG경제연구소 2011
9 송민정, "스마트 디바이스 관점에서 본 2012년 웹트렌드 및 인사이트" 디지에코 2012
10 유원상, "디지털 컨버전스 환경하의 정보통신표준화정책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8
11 송기인, "디지털 방송광고 활성화를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화 방안"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16 (16): 101-136, 2012
12 광고계동향, "디지털 광고 표준화 추진위원회의역할과 진행과제 - 광고주와 광고회사, 매체사간의 실질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한 과제" 광고계동향 2010
13 "www.mmaglobal.com"
14 "www.iab.net"
15 "www.coloribus.com"
16 "www.advertisingarchives.co.uk"
17 "www.ad-id.org"
18 김정현, "TV 광고자료의 메타데이터 요소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9 (39): 125-146, 2008
19 Heery, R., "Review of metadata formats Program" 30 (30): 345-373, 1996
20 김윤화, "N스크린 전략 및 추진 동향 분석" 22 (22): 1-23, 2010
21 IAB, "Mobile Web Advertising Measurement Guidelines"
22 "Cooperation for Public Broadcasting"
아이덴티티 융합(Identity Fusion)이 애국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 소비자 비교연구
인출 과제의 유형과 인출용이성이 공익 행동에 미치는 효과
SNS상의 공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사용자의 사회자본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위기관리 영역에서 국내 PR 실무자의 소셜미디어 사용 인식과 수용에 관한 연구 : UTAUT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4 | 1.84 | 1.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5 | 1.69 | 2.705 | 0.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