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문 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 속 등장인물 간 전개되는 심리전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실제 군사 전략에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049371
한정미 (한신대학교)
2022
Korean
psychological warfare ; Wanwolhoemaengyeon ; a war of nerves ; personality ; ideology ; nature ; Korean novel ; surrounding people ; 심리전 ; 〈완월회맹연〉 ; 신경전 ; 성격 ; 이념 ; 본성 ; 국문 장편소설 ; 주변인물
KCI등재
학술저널
221-256(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문 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 속 등장인물 간 전개되는 심리전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실제 군사 전략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문 장편소설 〈완월회맹연〉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 속 등장인물 간 전개되는 심리전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실제 군사 전략에서 상용되던 심리전이란 용어를 본격적인 문학 연구에 차용할 것을 제안하면서, 심리전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신경전과의 비교를 통해 그 의미를 구체화하였다. 또한 전술에서의 심리전과 갖는 차이를 파악하여 문학작품 연구에서 심리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인물의 특성, 목표 대상의 성격 등의 몇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분석틀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작품 내 심리전을 분석한 결과, 〈완월회맹연〉에서는 인물 간 중층적 심리전의 전개 양상이 포착되었는데, 곧 ‘정염을 타깃으로 한 정인중의 심리전’과 ‘정성염을 타깃으로 한 여원홍의 심리전’이다. 이 두 가지 심리전은 정인중이 벌이는 심리전 내에 하위 전술로 여원홍의 심리전이 포함된 형태로 전개되었다. 심리전의 양상에서 드러나는 딸을 대하는 두 아버지의 태도를 통해 〈완월회맹연〉의 작가는 주변인물과 주변서사를 통해 끊임없이 당대 이데올로기에 대항하며 그것에 균열을 일으키는 서사전개를 보여주고 있음과 동시에 이념에 우선하는 인간적 본성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국문 장편소설의 서사 및 구성 전략을 인물의 심리라는 측면에서 고찰함으로써 작품이 지닌 흡인력의 주요 동인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임현명 ; 황현정 ; 김용주, "현대 심리전 양상과 미래 심리전 발전방안" 육군군사연구소 (146) : 285-310, 2018
2 "한국학중앙연구원 낙선재본 〈玩月會盟宴〉 180권 180책"
3 이재윤, "특수작전의 심리전 이해" 집문당 13-423, 2000
4 정병설, "완월회맹연 연구" 태학사 11-325, 1998
5 폴 M. A. 라인바거, "심리전이란 무엇인가" 투나미스 1-360, 2020
6 손자, "손자병법" 휴머니스트 15-345, 2016
7 "서울대 규장각본 〈玩月會盟宴〉 180권 93책"
8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1" 소명출판 18-567, 2010
9 김진세, "독해본 『玩月會盟宴』 12책"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10 한길연, "대하소설의 발산형(發散型) 여성인물 연구 - <완월회맹연>의 ‘박씨’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2) : 353-386, 2016
1 임현명 ; 황현정 ; 김용주, "현대 심리전 양상과 미래 심리전 발전방안" 육군군사연구소 (146) : 285-310, 2018
2 "한국학중앙연구원 낙선재본 〈玩月會盟宴〉 180권 180책"
3 이재윤, "특수작전의 심리전 이해" 집문당 13-423, 2000
4 정병설, "완월회맹연 연구" 태학사 11-325, 1998
5 폴 M. A. 라인바거, "심리전이란 무엇인가" 투나미스 1-360, 2020
6 손자, "손자병법" 휴머니스트 15-345, 2016
7 "서울대 규장각본 〈玩月會盟宴〉 180권 93책"
8 정선희,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1" 소명출판 18-567, 2010
9 김진세, "독해본 『玩月會盟宴』 12책"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10 한길연, "대하소설의 발산형(發散型) 여성인물 연구 - <완월회맹연>의 ‘박씨’를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32) : 353-386, 2016
11 장시광, "대하소설 여성수난담의 성격 — <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47) : 7-50, 2012
12 조혜란, "달밤의 약속, 〈완월회맹연〉 읽기" 책과함께 9-391, 2019
13 이재윤, "군사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지문당 3-585, 2015
14 탁원정,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병과 그 의미 -소교완, 이자염, 장성완을 대상으로-" 한국문학치료학회 40 : 161-193, 2016
15 탁원정,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 속 아버지 형상과 그 의미-자식의 혼사 과정에서 보이는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학회 (45) : 5-32, 2019
16 한정미, "〈완월회맹연〉 인물 심리의 형상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2021
17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정인광 : 폭력적 가부장의 ‘가면’과 그 ‘이면’" 한국고소설학회 (35) : 27-64, 2013
18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여성 관련 희담(戱談) 연구 -남성 희담꾼 ‘정염’과 여성 희담꾼 ‘상부인’ 간의 희담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5) : 273-310, 2012
19 한길연, "<완월회맹연>의 서사문법과 독서역학"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27-55, 2005
20 이현주, "<완월회맹연>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21 탁원정, "<쌍천기봉> 연작의 혼인담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분노" 한국고소설학회 (39) : 213-246, 2015
포스트휴먼 담론과 고전서사의 인물론 연구 -서사 주체로서 ‘원귀’를 중심으로
간송 조임도의 교유 문학 연구 -교유시(交遊詩)와 선유(船遊) 관련 작품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7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 | 0.87 | 1.63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