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華嚴石經>은 절대연도를 알 수 있는 편이 없어 학계에서는 7세기, 8세기, 9세기 등 몇 가지로 연도를 추정하고 있고 그중에서도 8세기 말에서 9세기로 보는 견해가 우세했다. 본고에서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69308
201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83-103(21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華嚴石經>은 절대연도를 알 수 있는 편이 없어 학계에서는 7세기, 8세기, 9세기 등 몇 가지로 연도를 추정하고 있고 그중에서도 8세기 말에서 9세기로 보는 견해가 우세했다. 본고에서는 ...
<華嚴石經>은 절대연도를 알 수 있는 편이 없어 학계에서는 7세기, 8세기, 9세기 등 몇 가지로 연도를 추정하고 있고 그중에서도 8세기 말에서 9세기로 보는 견해가 우세했다. 본고에서는 變相圖와 書風에 관해 조명해 봄으로써 <화엄석경>의 조성시기에 관하여 새롭게 고찰했다. 신라의 절대연도가 있는 <白紙墨書大方廣佛華嚴經>(755)의 변상도와 서풍을 <화엄석경>과 비교해 보고, 신라의 석경들과도 서풍을 비교하여 <화엄석경>의 조성시기를 추정해 보았다. <화엄석경>의 변상이 있는 편들과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의 변상도를 비교하여 대좌의 사자, 寶相華 등에서 유사성을 확인했고, 이들 사이의 서풍도 비교하여 <화엄석경>과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1축의 서풍이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신라 석경들의 서풍을 비교해 본 결과 <金剛石經>과 <화엄석경>의 서풍은 같은 시기 동일한 사람들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화엄석경>의 조성연대를 8세기 전반으로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정황들을 살펴보았다. 석경은 장육전의 내부를 장엄했고 그 규모의 크기로 보아 장육전이 건립된 때 같이 고려되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이 화엄사의 법신사리로서 복장이나 내탑을 위해 조성되었다면 그 전에 건축되었을 장육전의 건립에 맞추어 <화엄석경>이 조성되었을 것이며 그렇다면 조성시기는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보다 앞선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정치적, 불교적 상황을 고려했을 때 <화엄석경>은 나말의 혼란기인 9세기보다는 그 이전에 조성되었음이 타당하다. 이런 사실들을 종합하여 필자는 <화엄석경>의 조성시기를 8세기 전반으로 추정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re is no piece to know the absolute year of Hwaeomseokgyeong, there are some estimates of the year in the 7th, 8th, and 9th centuries presumed some years, among which the view from the end of the 8th century to the 9th century prevailed. In t...
Since there is no piece to know the absolute year of Hwaeomseokgyeong, there are some estimates of the year in the 7th, 8th, and 9th centuries presumed some years, among which the view from the end of the 8th century to the 9th century prevailed. In this paper, I have newly reviewed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Hwaeomseokgyeong focusing on the sutra painting and the calligraphy character. I compared the sutra painting and the calligraphy character of Daebanggwangbulhwaeomkyeong with the Hwaeomseokgyeong. And I estimated the timing of the construction of the Hwaeomseokgyeong through by comparing the calligraphy character with those of the Silla dynasties.
As a result, in the sutra painting, the similarity was confirmed in dynamic lion of pedestal, propitious flower of engraving, etc. Also calligraphy character of this stone inscription is similar to calligraphy character of Daebanggwangbulhwaeomkyeong 1 chug(軸), and calligraphy character of Hwaeomseokgyeong and Geumgangseokgyeong are almost the same. This is a basis for estimating the age of construction of Hwaeomseokgyeong in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I have also looked at various contexts. It is presumed that Hwaeomseokgyeong was made together when Jangyugjeon was built. Also,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Buddhist situation, it is reasonable that Hwaeomseokgyeong was constructed prior to the 9th century, which is the turbulent period of Silla.
Taking all of these facts into consideration, I estimate that the timing of the making of Hwaeomseokgyeong is at least the first half of the 8th centu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상봉, "화엄사·화엄석경" 화엄사 2002
2 김창호, "화엄사·화엄석경" 화엄사 2002
3 화엄사, "화엄사·화엄석경" 2002
4 박상국, "화엄사·화엄석경" 화엄사 2002
5 리송재, "화엄사 <화엄석경>의 서풍과 조성시기" 불교미술사학회 4 : 2006
6 정병삼, "화엄사" 대원사 2000
7 中觀 海眼, "화엄불국사사적" 국학자료원 1997
8 김경호, "한국의 사경" 고륜 2006
9 張忠植, "한국 서예이천년 특강논문집" 예술의 전당 2000
1 한상봉, "화엄사·화엄석경" 화엄사 2002
2 김창호, "화엄사·화엄석경" 화엄사 2002
3 화엄사, "화엄사·화엄석경" 2002
4 박상국, "화엄사·화엄석경" 화엄사 2002
5 리송재, "화엄사 <화엄석경>의 서풍과 조성시기" 불교미술사학회 4 : 2006
6 정병삼, "화엄사" 대원사 2000
7 中觀 海眼, "화엄불국사사적" 국학자료원 1997
8 김경호, "한국의 사경" 고륜 2006
9 張忠植, "한국 서예이천년 특강논문집" 예술의 전당 2000
10 윤정혜, "통일신라시대 화엄사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5
11 조미영, "통일신라시대 <華嚴石經>에 나타난 變相圖 연구" 한국서예학회 (20) : 69-95, 2012
12 정현숙, "통일신라 서예의 다양성과 서풍의 특징" 한국서예학회 (22) : 33-72, 2013
13 김상현, "신라화엄사상사연구" 민족사 1991
14 김복순, "신라석경연구" 동국사학회 37 : 2002
15 김경호, "신라 백지묵서 <대방광불화엄경>의 연구 : 서체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16 김숙희, "남산 마애불의 연구 : 탑곡사방불암·칠불암을 중심으로"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9
17 "鳳城誌"
18 崔柄憲, "高麗時代 華嚴學의 變遷 -均如派와 義天派의 對立을 中心으로" 한국사연구회 30 : 1980
19 韓國佛敎硏究院, "華嚴寺" 一志社 1976
20 "續修求禮誌"
21 鄭彙憲, "海東 湖南道 智異山 大華嚴寺事蹟"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소 6 : 1969
22 "求禮續誌"
23 "東國李相國文集"
24 "朝鮮金石總覽"
25 文明大, "新羅華嚴經 寫經과 그 變相圖의 硏究" 일지사 14 : 1979
26 文明大, "新羅四方佛의 展開와 七佛庵 佛像彫刻의 硏究" 국립중앙박물관 27 : 1980
27 李基白, "新羅 景德王代 華嚴經 寫經 關與寺에 대한 考察" 역사학회 83 : 1979
28 曺庚時, "新羅 下代 華嚴宗의 構造와 傾向" 부산대학교 사학회 13 : 1989
29 조미영, "新羅 〈華嚴石經〉 硏究"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4
30 "新增東國輿地勝覽"
31 "大華嚴寺重修記"
32 "大華嚴寺事蹟"
33 張忠植, "佛國寺誌" 亞細亞文化社 1976
34 "三國史記"
35 박부자, "七佛庵 石經에 대한 硏究" 한국서지학회1 (40) : 241-263, 2012
36 許興植, "『韓國金石全文』 古代" 亞細亞文化社 1984
37 조미영, "<華嚴石經>의 서사체재 연구" 한국목간학회 10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