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음악치료 슈퍼바이저 역량에 관한 질적연구 = Qualitative Research on the Competency of Music Therapy Supervis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050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experience of music therapy supervisors, who had been training clinical practicum 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ir components of competencies required while they had provided a supervision to music therapy student supervisee. A total of 10 experienced supervisors who have been active as supervisors for more than 10 yea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out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were described as follow. Firstly, the experience of music therapy supervisor drawn from the research was identified to be 19 sub-components and 5 components. More specifically, the experience consists of 5 components: ‘being a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for supervisee’, ‘promoting supervisee to grow’, ‘setting the boundaries of supervision’, ‘recognizing imperfection and continuing self-reliant efforts’, and ‘systematizing supervision method and establishing their philosophy’. Secondly, the competency of the music therapy supervisor drawn from the research was identified to be 10 sub-components and 3 components. Specifically the 3 components consisted of ‘competency of theoretical knowledge’, ‘competency for job performance’, and ‘personal qualities and attitude competency’. Among those 3 components, “personal qualities and attitude competency” consisting of respect, support and care for supervisee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and needed one by supervisors.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experience of music therapy supervisors, who had been training clinical practicum 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ir components of competencies required while they had p...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experience of music therapy supervisors, who had been training clinical practicum 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curriculum, and to investigate their components of competencies required while they had provided a supervision to music therapy student supervisee. A total of 10 experienced supervisors who have been active as supervisors for more than 10 years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out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were described as follow. Firstly, the experience of music therapy supervisor drawn from the research was identified to be 19 sub-components and 5 components. More specifically, the experience consists of 5 components: ‘being a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for supervisee’, ‘promoting supervisee to grow’, ‘setting the boundaries of supervision’, ‘recognizing imperfection and continuing self-reliant efforts’, and ‘systematizing supervision method and establishing their philosophy’. Secondly, the competency of the music therapy supervisor drawn from the research was identified to be 10 sub-components and 3 components. Specifically the 3 components consisted of ‘competency of theoretical knowledge’, ‘competency for job performance’, and ‘personal qualities and attitude competency’. Among those 3 components, “personal qualities and attitude competency” consisting of respect, support and care for supervisee wa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and needed one by superviso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음악치료 대학원과 대학의 커리큘럼 중 실습 과목을 담당하는 음악치료 슈퍼바이저가 학생 슈퍼바이지에게 슈퍼비전을 제공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슈퍼바이저에게 필요한 역량의 구성요인을 경험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대상은 10년 이상 슈퍼바이저로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숙련된 슈퍼바이저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슈퍼바이저의 경험은 19개의 하위 구성요소, 5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슈퍼바이지의 심리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제공함’, ‘슈퍼바이지의 성장을 촉진함’, ‘슈퍼비전의 경계를 세워감’, ‘불완전함을 인식하고 자구적인 노력을 지속함’, ‘슈퍼비전 방식의 체계화와 철학을 정립함’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 슈퍼바이저의 역량은 10개의 하위 구성요소, 3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이론적 지식 역량’, ‘직무수행 역량’, ‘개인 자질 및 태도 역량’으로 나타났다. 숙련된 슈퍼바이저들은 슈퍼바이지와의 관계를 중요시하며, 슈퍼바이지에 대한 관심과 지지, 슈퍼바이저의 철학과 통찰력을 포함한 개인 자질 및 태도 역량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음악치료 대학원과 대학의 커리큘럼 중 실습 과목을 담당하는 음악치료 슈퍼바이저가 학생 슈퍼바이지에게 슈퍼비전을 제공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슈퍼바이저에게 필...

      이 연구는 음악치료 대학원과 대학의 커리큘럼 중 실습 과목을 담당하는 음악치료 슈퍼바이저가 학생 슈퍼바이지에게 슈퍼비전을 제공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으며, 슈퍼바이저에게 필요한 역량의 구성요인을 경험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대상은 10년 이상 슈퍼바이저로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숙련된 슈퍼바이저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슈퍼바이저의 경험은 19개의 하위 구성요소, 5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슈퍼바이지의 심리적,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제공함’, ‘슈퍼바이지의 성장을 촉진함’, ‘슈퍼비전의 경계를 세워감’, ‘불완전함을 인식하고 자구적인 노력을 지속함’, ‘슈퍼비전 방식의 체계화와 철학을 정립함’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 슈퍼바이저의 역량은 10개의 하위 구성요소, 3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으며, ‘이론적 지식 역량’, ‘직무수행 역량’, ‘개인 자질 및 태도 역량’으로 나타났다. 숙련된 슈퍼바이저들은 슈퍼바이지와의 관계를 중요시하며, 슈퍼바이지에 대한 관심과 지지, 슈퍼바이저의 철학과 통찰력을 포함한 개인 자질 및 태도 역량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민, "음악치료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애착유형, 자기효능감, 정서적 유대, 수치심, 평가불안 간의 관계" 한국음악치료학회 14 (14): 1-27, 2012

      2 윤주리, "음악치료 전공생이 수퍼비전에서 경험하는 성장에 대한 연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0 (10): 35-54, 2013

      3 이연미, "음악치료 전공생의 동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로서의 경험"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1 (11): 41-57, 2014

      4 박혜미, "음악치료 전공생들의 실습교육 및슈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분석연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8 (8): 61-81, 2011

      5 이경숙, "음악치료 슈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슈퍼비전 만족도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예비전문가와 전문가 집단 비교" 한국음악치료학회 18 (18): 35-59, 2016

      6 곽은미,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비전 만족도 조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9 (9): 21-36, 2012

      7 김동민, "예술치료 수퍼바이저 발달과정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질적탐구학회 4 (4): 275-302, 2018

      8 소수연,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93-222, 2014

      9 김동민, "수퍼비젼관계가 예술치료 수퍼바이지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자기신념의 매개와 수퍼비젼 만족도의 조절 효과" 한국음악치료학회 17 (17): 37-56, 2015

      10 이홍숙,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력 수준에 따른 수퍼비전 수행과 성과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14 (14): 1679-1698, 2013

      1 김동민, "음악치료 집단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애착유형, 자기효능감, 정서적 유대, 수치심, 평가불안 간의 관계" 한국음악치료학회 14 (14): 1-27, 2012

      2 윤주리, "음악치료 전공생이 수퍼비전에서 경험하는 성장에 대한 연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0 (10): 35-54, 2013

      3 이연미, "음악치료 전공생의 동료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로서의 경험"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11 (11): 41-57, 2014

      4 박혜미, "음악치료 전공생들의 실습교육 및슈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분석연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8 (8): 61-81, 2011

      5 이경숙, "음악치료 슈퍼바이지가 지각하는 슈퍼비전 만족도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예비전문가와 전문가 집단 비교" 한국음악치료학회 18 (18): 35-59, 2016

      6 곽은미,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비전 만족도 조사"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9 (9): 21-36, 2012

      7 김동민, "예술치료 수퍼바이저 발달과정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질적탐구학회 4 (4): 275-302, 2018

      8 소수연, "숙련된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수행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93-222, 2014

      9 김동민, "수퍼비젼관계가 예술치료 수퍼바이지의 전문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자기신념의 매개와 수퍼비젼 만족도의 조절 효과" 한국음악치료학회 17 (17): 37-56, 2015

      10 이홍숙,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경력 수준에 따른 수퍼비전 수행과 성과의 차이" 한국상담학회 14 (14): 1679-1698, 2013

      11 김영신, "수퍼바이저가 지각하는 음악치료사 전문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심리치료학회 11 (11): 33-57, 2019

      12 de Groot, A. D., "Thought and choice in chess" Mouton 1978

      13 Carol A. Falender, "The Importance of Competency-based Clinical Supervision and Training in the Twenty-first Century: Why Bother?"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42 (42): 129-137, 2012

      14 Manen, M. V.,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Dongnyok 1994

      15 Jackson, N. A., "Professional music therapy supervision : A survey" 45 (45): 192-216, 2008

      16 Giorgi, A.,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Hyunmoon 2004

      17 Dileo, C., "Music therapy supervision" Barcelona Publishers 19-38, 2001

      18 McClain, F. J., "Music therapy supervision" Barcelona 9-17, 2001

      19 Forinash, M., "Music therapy research" Hankjisa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