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글쓰기를 통한 고전소설 교육 방안 연구 - 환상 공간을 중심으로 - = Study about classical novel by utilizing writing - Focused on the fantasy spac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47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value of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is that learners can experience aesthetic world by reading those works and realize the meaning of life, widen their sight so that they can live proper lives. Especially, classical novels contain the circumstan...

      The value of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is that learners can experience aesthetic world by reading those works and realize the meaning of life, widen their sight so that they can live proper lives. Especially, classical novels contain the circumstances of the age and literary environment,view of the world, and people’s lives. If learners read those classical novels, they can see the foregoer’s ideas, emotion, and the way they lived. So they can eventually realize the truth and get impressed beyond ages.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kinds of educational value of classical novels, we will get to know how to teach it by utilizing writing skills. This study suggests the way to understand classical novels by concentrating on ‘Fantasy space’ and also suggests teaching methods following contemporary curriculum of literature education by using writing skills.
      In novels, spa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defines the character of story. Space reflect the inner world of author and characters in novels, specifies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and characters’ action changes depending on spacial background. So space is a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novels well enough. Also, people’s perception on novels of the period influences what kind of space author uses. Especially, late Chosun society as a matrix of classical novels, was very strict about rules and standards, so unrealistic and fantasy space represent human beings' will to the unlimited freedom.
      By understanding literary works concentrating on fantasy space and practicing creative works through writing skills, learners can realize the real meaning of literature education. These days, learners might not totally understand the characters of classical novels because of age difference. But readers can learn from those characters by looking at how they get over repression. Also they can deeply be touched. So space teaching in literature education is very crucial for readers who can figure out the intention of space setup and reason for characters' action to realize the meaning of classical novels.
      <Sukyeongnangjajeon>, <Sassinamjeong-gi>, <Bakssijeon>, <Yuchungryeljeon> are selected in this paper, which are featuring a specific fantasy space. These four novels show the pattern going to solve the conflict with the advent of fantasy space in addressing a common problem that occurs in human life. Thus learners can get interest in reading novels because they are already familiar to fantasy fiction. By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how each novels works, we can analyze possibilities of empathy for learners.
      Learners can understand the conflict that appear in the novels, then internalize with promotion through the process of solving writing to express their problems by the fantasy space.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from exciting elements of 'fantasy space and suggesting teaching method of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study, We expect learners to go through the steps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space in the process for receiving the other literature. However writing activities carried out in this paper are targeting minority of student, I think follow-up studies with majority of students will b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문학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인간의 의식과 생활, 감정 등을 표현하는 예술로 그것이 속한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문학작품을 통한 교육의 의미는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읽고 심미적...

      문학은 언어를 매개로 하여 인간의 의식과 생활, 감정 등을 표현하는 예술로 그것이 속한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고 있다. 문학작품을 통한 교육의 의미는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읽고 심미적인 세계를 경험하며, 이것을 통하여 삶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고 세계를 바라보는 안목을 넓혀 올바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특히 고전문학은 그것이 창작된 당대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문학적 환경과 세계관, 삶을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고전문학을 학습자들이 접한다면 선인의 사상과 감정 및 생활상을 구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진실을 깨닫고 시대를 초월한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고전문학에서 고전소설은 당대의 삶이 문학의 여러 장르 가운데서도 가장 밀착되어 있으며 선조들이 지녔던 다양한 의식과 삶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를 통해 그 시대상을 이해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크다. 하지만 고전소설에 대한 학습자들의 흥미도가 낮고, 현대소설에 비해 그 입지가 좁은 편에 속하며, 입시 위주의 고전소설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현대와의 시공간적인 차이 때문에 여전히 학습자들에게 낯설고 어렵게 다가오며, 입시의 수단으로 전락한 전형적인 교육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고전소설에서 나타나는 환상 공간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로 하여금 고전소설에 대한 이해와 흥미도를 높이고 고전소설 작품이 지니고 있는 의미를 본질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지향한다. 아울러 고전소설 각각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환상 공간의 양상과 의미를 이해하고, 그것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삶과 관련지어 표현할 수 있는 글쓰기 활동을 해봄으로써 학습자들의 문학적 표현 능력을 신장시키고, 고전소설 교육과 글쓰기를 접목하여 문학을 자신의 삶과 연관 지어 내면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소설에서 공간은 이야기의 성격을 규정하는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소설의 공간은 작가나 등장인물의 내면세계를 반영하고, 인물의 성격을 구체화 하며 공간의 이동에 따라 등장인물의 행동과 반응이 달라진다. 소설에서 어떠한 공간이 설정되는지에 따라서 공간은 단순히 이야기에 사실감을 부여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기도 하고, 사건이 전개되는 조건이 되기도 하며, 작품의 주제의식을 구현하기도 한다.
      이처럼 공간은 소설을 온전히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당대의 소설에 대한 인식은 소설 속 공간의 설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소설의 공간설정에 작가층과 향유층이 처한 당대의 현실이 매개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고전소설의 모태가 되는 조선 후기 사회가 그 어느 사회보다 제도, 규범 등에서 구성원에게 엄격했다는 점에서,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공간 설정은 그 속에서 자유로운 인간의 무한한 활동 가능성을 드러내고자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현실의 공간에 대한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공간 묘사는 실재적인 공간이 아닌 환상성이 가미된 비실재적인 공간으로 나타나면서 고전소설이 가지는 특수한 성격으로 규정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숙영낭자전>, <사씨남정기>, <박씨전>, <유충렬전>에 나타나는 환상 공간의 양상과 의미 분석을 토대로 고전소설 작품에 대한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유를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학습자들은 작품 속 환상 공간의 역할과 의미를 통해 작품을 좀 더 심도 있게 이해 할 수 있으며, 이것을 내면화 하는 방향으로 글쓰기를 활용함으로써 고전문학에서 실현시키기 어려웠던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사고와 내면적 성찰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고전소설 작품 속 환상 공간에 대한 깨달음과 이해를 통해서 학습자들 스스로 자신만의 공간을 구축하여 ‘글쓰기 활동’을 해봄으로써 문학의 내면화를 통한 문학적 가치를 실현시키고, 더불어 문학 교육과 쓰기의 측면에서 교육적 성장을 도울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 연구 검토 2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 연구 검토 2
      • 3. 연구방법 6
      • Ⅱ. 글쓰기와 고전소설 교육의 연관성 9
      • 1. 고전소설 교육의 개념과 의의 9
      • 2. 글쓰기를 통한 고전소설 교육 10
      • Ⅲ. 고전소설 속 환상 공간의 양상과 의미 13
      • 1. 고전소설 속 환상 공간의 문학 교육적 가치 13
      • 2. 고전소설 속 환상 공간의 양상과 의미 17
      • 2.1 주체적 의지 실현의 공간 - <숙영낭자전>의 옥연동 18
      • 2.2 위로와 구원의 공간 - <사씨남정기>의 황릉묘 25
      • 2.3 능력 실현의 공간 - <박씨전>의 피화당 31
      • 2.4 능력의 비약적 발전 공간 - <유충렬전>의 백룡사 38
      • Ⅳ. 글쓰기를 통한 고전소설 속 환상 공간의 교수·학습 방안 44
      • 1. 글쓰기를 통한 고전소설 속 환상 공간 교육의 적용 44
      • 2. 글쓰기를 통한 고전소설 속 환상 공간 교육의 설계 49
      • 3. 글쓰기를 통한 고전소설 속 환상 공간 교육의 실제 55
      • 3.1 글쓰기를 통한 환상 공간 교수·학습 지도안 55
      • 3.2 글쓰기를 통한 환상 공간 교육의 실제 사례 67
      • 4. 환상 공간의 글쓰기를 통한 고전소설 교육의 의의 73
      • Ⅴ. 결론 76
      • * 참고 문헌 79
      • * ABSTRACT 83
      • * 부록 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