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유아교육기관의 현장견학지도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2076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recent days, our country's education puts growing stress on child- centered or experience-based teaching method, and this trend is more not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eld trip study is as one of child-centered or experience-based education methods' and requires make more thorough on-the-spot study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improve field trip study in kindergartens and on daycare centers, by examining how that field trip study was actually being implemented and what teachers thought on i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4 teachers and directors who served at 204 kindergartens and on daycare center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and the frequency and Chi-square analysis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trip program was made chiefly when teachers' meeting. In selecting places. the first consideration was given visiting proposes. The field investigation was scarcely made in advance, and most of the institutes performed safety education. The most largely used activity before field trip study was that teacher's talking about what they were going to see during that field trip. The institutes, however, rarely tried to forecast what would happen during that study and consider how to cope with it. Most of settings didn't ask parent's agreement to field trip study. The teachers gave explanation on the place they visited in their own way, without referring to any particular data. Most of the young children guided by the teachers didn't record what they saw and or heardn, or ask a question enough.
      After on-the-spot study, the young children were engaged in post- activity, focusing on what they were most impressed, and the teachers completed that study just by making a simple record.
      Second, National or public institutes prepared mor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asked parent's agreement more than private institutes did.
      Third, teachers expreanced the most important goal of field trip activities was to acquire appropriate behavioral pattern to live with others. The teachers placed very positive value on the effect of field trip study, while they had to worry about safety problem.
      The most crucial measure to step up field trip study was identified as developing a variety of places they could visit for study, and the next most critical thing was to build a connection between preactivity, field trip study and postactivity.
      번역하기

      In recent days, our country's education puts growing stress on child- centered or experience-based teaching method, and this trend is more not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eld trip study is as one of child-centered or experience-based educa...

      In recent days, our country's education puts growing stress on child- centered or experience-based teaching method, and this trend is more not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eld trip study is as one of child-centered or experience-based education methods' and requires make more thorough on-the-spot study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improve field trip study in kindergartens and on daycare centers, by examining how that field trip study was actually being implemented and what teachers thought on i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4 teachers and directors who served at 204 kindergartens and on daycare center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and the frequency and Chi-square analysis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trip program was made chiefly when teachers' meeting. In selecting places. the first consideration was given visiting proposes. The field investigation was scarcely made in advance, and most of the institutes performed safety education. The most largely used activity before field trip study was that teacher's talking about what they were going to see during that field trip. The institutes, however, rarely tried to forecast what would happen during that study and consider how to cope with it. Most of settings didn't ask parent's agreement to field trip study. The teachers gave explanation on the place they visited in their own way, without referring to any particular data. Most of the young children guided by the teachers didn't record what they saw and or heardn, or ask a question enough.
      After on-the-spot study, the young children were engaged in post- activity, focusing on what they were most impressed, and the teachers completed that study just by making a simple record.
      Second, National or public institutes prepared mor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asked parent's agreement more than private institutes did.
      Third, teachers expreanced the most important goal of field trip activities was to acquire appropriate behavioral pattern to live with others. The teachers placed very positive value on the effect of field trip study, while they had to worry about safety problem.
      The most crucial measure to step up field trip study was identified as developing a variety of places they could visit for study, and the next most critical thing was to build a connection between preactivity, field trip study and postactiv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나라의 교육은 아동 중심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교수방법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유아교육에서 더욱 그러한데, 현장견학은 아동 중심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그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에서는 현장견학을 철저히 계획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현장견학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와 현장견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봄으로써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유아교육기관 204곳의 교사(원장 및 원감 포함)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스퀘어(Chi-square)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견학은 주로 교직원 회의나 원장이 월간교육 계획시에 계획하며, 견학 장소는 학습단원(주제)에 필요한 곳인지를 우선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답사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안전교육은 대부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견학 전 가장 많이 하는 활동으로는 교사가 어린이들에게 견학 가서 볼 것들을 미리 이야기해주는 것이며 구체적인 견학예상 활동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이 학부모들의 동의서를 받지 않으며 현장 견학 시 성인 1인당 유아 수는 10-20명 정도로, 견학 활동 인솔 형태는 반 전체가 집단적으로 활동하는 형태였다. 현장 견학 장소에서 특별히 참고하는 것 없이 교사가 나름대로 현장에 대한 설명을 하며, 유아들은 대부분 기록활동과 질문을 충분히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견학 후 유아들은 견학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것을 중심으로 사후활동을 전개하며 교사는 견학내용을 간단히 기록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별 현장견학 실태에 있어 국공립 유아교육 기관이 사립 유아교육 기관보다 체험활동을 많이 준비하며 학부모 동의서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견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질문에서 현장견학의 목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타인과 더불어 생활하는 사회인으로서의 행동양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현장 견학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현장 견학 실시 때의 가장 어려운 점은 유아의 안전사고에 대한 걱정으로 밝혀졌다.
      한편 유아교육 기관의 교육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현장견학 활성화 대책은 다양한 현장 견학 장소의 개발, 사전 활동, 본 활동, 사후 활동의 연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최근 우리나라의 교육은 아동 중심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교수방법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유아교육에서 더욱 그러한데, 현장견학은 아동 중심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교육의 ...

      최근 우리나라의 교육은 아동 중심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교수방법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유아교육에서 더욱 그러한데, 현장견학은 아동 중심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그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에서는 현장견학을 철저히 계획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현장견학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와 현장견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봄으로써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유아교육기관 204곳의 교사(원장 및 원감 포함)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스퀘어(Chi-square)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견학은 주로 교직원 회의나 원장이 월간교육 계획시에 계획하며, 견학 장소는 학습단원(주제)에 필요한 곳인지를 우선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답사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안전교육은 대부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견학 전 가장 많이 하는 활동으로는 교사가 어린이들에게 견학 가서 볼 것들을 미리 이야기해주는 것이며 구체적인 견학예상 활동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이 학부모들의 동의서를 받지 않으며 현장 견학 시 성인 1인당 유아 수는 10-20명 정도로, 견학 활동 인솔 형태는 반 전체가 집단적으로 활동하는 형태였다. 현장 견학 장소에서 특별히 참고하는 것 없이 교사가 나름대로 현장에 대한 설명을 하며, 유아들은 대부분 기록활동과 질문을 충분히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견학 후 유아들은 견학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것을 중심으로 사후활동을 전개하며 교사는 견학내용을 간단히 기록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별 현장견학 실태에 있어 국공립 유아교육 기관이 사립 유아교육 기관보다 체험활동을 많이 준비하며 학부모 동의서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견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질문에서 현장견학의 목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타인과 더불어 생활하는 사회인으로서의 행동양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현장 견학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현장 견학 실시 때의 가장 어려운 점은 유아의 안전사고에 대한 걱정으로 밝혀졌다.
      한편 유아교육 기관의 교육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현장견학 활성화 대책은 다양한 현장 견학 장소의 개발, 사전 활동, 본 활동, 사후 활동의 연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