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서지학회가 간행하는 학술지인 「서지학연구」의 통권 100집 간행을 기념하여 우리나라 서지학 분야 학술단체의 성립과 학술지 발간의 연혁, 「서지학연구」 간행의 역사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서지학회가 간행하는 학술지인 「서지학연구」의 통권 100집 간행을 기념하여 우리나라 서지학 분야 학술단체의 성립과 학술지 발간의 연혁, 「서지학연구」 간행의 역사와 ...
이 연구는 한국서지학회가 간행하는 학술지인 「서지학연구」의 통권 100집 간행을 기념하여 우리나라 서지학 분야 학술단체의 성립과 학술지 발간의 연혁, 「서지학연구」 간행의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또한 「서지학연구」 1집에서 99집에 수록된 논문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서지학회는 1947년 설립된 조선서지학회의 명맥을 잇는 학회이며 학술지에는 그동안 모두 298명의 연구자가 1,177편의 학술논문을 게재하였다. 이들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결과 연구의 주제는 판본학과 목록학 분야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창간 당시 5개 분야 전공의 대학교 소속 서지학 전공자들이었던 저자들은 25개 분야의 다양한 소속과 신분을 가진 연구자로 확대되었다. 학문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서지학 연구의 대표 학술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고 학계를 선도하는 학술지로 더욱 발전해 나가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주제와 방법론, 유관 학문 분야와의 협력 연구를 통한 학문적 다양성 증진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memorates the publication of the 100th issue of the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by the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It explores the establishment and history of academic societies and journal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biblio...
This study commemorates the publication of the 100th issue of the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by the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It explores the establishment and history of academic societies and journal publications in the field of bibliography in Korea, as well as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the Journal of Studies in Bibliography. Additionally, the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the first issue to the 99th issu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Society of Bibliography has inherited the legacy of the Joseon Society of Bibliography, established in 1947. Across these issues, 298 researchers have contributed a total of 1,177 academic papers. The research trend analysis indicates that the primary research topics are physical bibliography and systematic bibliography. Initially, the authors were professors from five major fields, including bibliographic scholars, but this has since expanded to encompass researchers from 25 diverse fields and institutions. As bibliography is fundamental to academic study, the study recommends enhancing the journal’s stature as a leading publication in bibliographic research and advancing its role as a core academic journal by promoting academic diversity through a variety of research topics, innovative methodologies, and collaborative efforts with related discipl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