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의 영양 섭취와 혈청지질 및 혈중 중금속 농도를 조사하고자 경기도 일부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 영양 섭취 상태, 일반사항을 알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영양 섭취와 혈청지질 및 혈중 중금속 농도를 조사하고자 경기도 일부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 영양 섭취 상태, 일반사항을 알아...
본 연구는 대학생의 영양 섭취와 혈청지질 및 혈중 중금속 농도를 조사하고자 경기도 일부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신체계측, 영양 섭취 상태, 일반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하고, 채혈을 통하여 혈중 중금속 농도와 혈청지질 및 SGOT, SGPT를 검사하여 SPSS를 통하여 X²-test, Student's t-test와 ANOVA test, Pearson의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연령이 남학생은 23~24세, 25세 이상이 32.6%씩으로 가장 많았고, 여학생은 21~22세가 45.9%로 가장 많았다. 운동을 한다고 답한 학생은 남학생은 55.8%, 여학생은 24.3%로 나타나 남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1). 음주를 한다고 답한 학생은 남학생 86.0%, 여학생 64.9%로 나타났다. 흡연을 한다고 답한 학생은 남학생 37.2%, 여학생은 0%로 남녀 간에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신장은 남학생이 175.72±5.78cm, 여학생이 160.21±4.24cm였고, 체중은 남학생이 73.33±11.99kg, 여학생이 52.36±6.93kg이었다. BMI는 남학생이 23.69±3.20, 여학생이 20.38±2.37으로 남녀 BMI가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남학생, 여학생 모두 44.2%, 70.3%로 정상체중에 가장 많이 속해있었다.
고혈압을 분류해 보았을 때, 남학생은 고혈압 전단계에 속하는 학생이 51.2%로 가장 많이 속해 있었고, 여학생은 정상이 78.4%로 가장 많이 속해 있었다. 남녀 혈압에 유의적인 차이가 났다. (p<.001)
영양소 섭취 비율을 보았을 때, 70%보다 부족하게 섭취한 영양소는 남학생은 섬유소, 엽산 이었고, 여학생은 섬유소, 칼슘, 엽산이었다.
영양소 적정 섭취비(NAR)를 0.70 이하로 섭취하는 영양소가 남학생은 칼슘, 비타민 C, 엽산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칼슘, 철분, 비타민 A, 비타민C, 엽산으로 나타났다. 평균 영양소 적정 섭취비(MAR)은 남학생이 0.79±0.17, 여학생이 0.71±0.17으로 남학생이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나지 않았다.
영양소 질적 지수(INQ)는 남학생이 단백질(p<.001), 인, 철분(p<.01), 비타민 B1(p<.05)에서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알루미늄의 혈중 농도는 남학생이 9.12±2.11㎍/L, 여학생이 8.03±2.14㎍/L로 남학생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5), 흡연에 따른 혈중 알루미늄 농도는 비흡연자에서 8.46±1.94㎍/L, 흡연자에서 9.29±1.94㎍/L로 흡연자에서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수은의 혈중농도는 남학생이 3.08±1.55㎍/L, 여학생이 2.64±1.49㎍/L로 평균값은 남학생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지 않았고, 흡연에 따른 혈중 수은 농도는 비흡연자에서 2.86±1.57㎍/L, 흡연자에서 2.93±1.39㎍/L로 흡연자에서 높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 콜레스테롤, SGOT, SGPT는 모두 정상 범위에 속하였고, LDL 콜레스테롤은 남학생이 경계치에 속하였고, 여학생은 정상치에 속하였다. HDL 콜레스테롤을 제외한 모든 혈액지표에서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HDL 콜레스테롤만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 여부에 따른 혈액 지표를 보았을 때, 중성지방(p<.001), LDL 콜레스테롤(p<.05)은 흡연자가 비흡연자 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음주 여부에 따른 혈액 지표를 보았을 때, 중성지방이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위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남녀 대학생은 신체적 특성, 혈청 지질, 혈중 알루미늄 농도에서 차이를 보였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성별에 따른 적절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nutritional intake, serum lipid and blood heavy metal level of college students. It examined their body measurement, nutrients intake and generals characteristics, and tested blood heavy metal level, serum lipid, SGOT, SG...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nutritional intake, serum lipid and blood heavy metal level of college students. It examined their body measurement, nutrients intake and generals characteristics, and tested blood heavy metal level, serum lipid, SGOT, SGPT through blood gathering, and analyzed X²-test, Student's t-test, ANOVA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rough SPSS.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of male students were 175.72±5.78cm and 69.6kg, respectively, and those of female students were 160.21±4.24cm and 52.36±6.93kg, respectively. The average BMI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23.69±3.20kg/㎡ and 20.38±2.37kg/㎡, respectively, so it showed that there's ver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p<.001). About 44.2% of male and 70.3% of female students were normal range of BMI(18.5~23).
The high blood pressure of male and female students, in male students, the most belonged to the pre-step of high blood pressure as 51.2%, and in female students, the most belonged to the normal as 78.4%. It showed that there's significant difference of blood pressure between males and females (p<.001).
The Nutrients below 70% of KDRIs were fiber and folate in male students and fiber, calcium and folate in female students. The nutrients below 0.70 of NAR were calcium, vitamin C and folate in male students, and calcium, iron, vitamin A, vitamin C and folate in female studnets. The MAR of male and female studnets were 0.79±0.17 and 0.71±0.17, respectively, so male students were high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INQ of 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students in protein(p<.001), phosphorus iron(p<.01), vitamin B1(p<.05).
The blood aluminium level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9.12±2.11㎍/L, and 8.03±2.14㎍/L, respectively, so 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p<.05). And, the blood aluminium level of smoker were higher than that of nonsmok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blood mercury level of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3.08±1.55㎍/L and 2.64±1.49㎍/L, respectively, so mean value was higher in mal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rcury level of smoker were also higher than that of nonsmoker,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ll of them belonged to the normal in th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 cholesterol, SGOT, SGPT. As for LDL cholesterol, males belonged to the boundary value and females to the normal value. In every blood indices excepting cholesterol, male students were higher and as for only HDL cholesterol,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e blood indices of smo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smokers in triglyceride(p<.001), LDL cholesterol(p<.05). The blood indices of drink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drinkers in triglyceride(p<.05).
As the result, both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had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properties, serum lipid, and blood aluminium level, so it's thought that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according to sex is requir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