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509145
서울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2011.08
2011
한국어
158.3 판사항(21)
서울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perceived by adolescents, stress from school life, and the sense of hope on Internet Addiction
iv, 68 p. : 삽도 ; 26 cm.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치료의 요소로써 청소년들에게 희망감을 길러주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
은 성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과 인터넷 중독은 상관이 있는가, 셋째,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 레스, 희망감은 인터넷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소재한 1개 중학교 1,2,3,학년 학생 총 304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과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과 인터넷 중독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자녀관계, 학교생활 스트레스,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 정도는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하위 요인중에서는 긍정적 기대요인과 일탈행동 요인, 내성 요인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관계를 부-자녀관계와 모-자녀관계로 각각 나누어 인터넷 중독과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양쪽 모두에서 인터넷 중독과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는 정적인 관계로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감과 인터넷 중독과는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자녀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관계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주었고, 학교생활 스트레스 하위 요인중 수업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인터넷 중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희망의 하위 요인중 경로사고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동안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이 인터넷 중독의 원인에 관심을 두었던 반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희망감을 제시한다는 점과 희망감이 인터넷 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한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미를 둔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