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피규어 페인팅 : 이미지의 적층과 변형 = Figure painting : accumulation and transformation of ima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07922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20 판사항(6)

      • DDC

        730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i, 27장 : 천연색삽화 ; 30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성원
        참고문헌: 장 25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research that analyzes and organizes the work of myself that has been carried out from 2010 to present. The body of dissertation concerns with the background thoughts and cri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separately.

      The first chapter of thesis, monologue painting, looks into two distinct types of paintings during this period. Perspective view of emotion as the first subject addresses the process of visualizing emotional conflicts caused by anxiety on the screen. Following subject, a person who becomes a canvas refers to the process of construction that led to the shape of a person's figure and the meaning of object-painting to myself.

      The second chapter is about layer paintings: it deals with the example of works to describe the background of increased interest for layers and the digital era as well as the process of applying the recognition of layers on canvas. The first subject illustrates shaped-ruler drawing that builds up the screen with layered lines. The second subject states about digital paintings to see the process of making images on digital circumstance and representing these digital images on canvas. The third one is about playlist paintings, and it introduces the series of paintings based on the created list related to daily life and constructed with found images associated with the list.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background of resuming man shaped object-paintings and the series of critical works. Smile Figure series implies the abstract process of cumulating and the progression of a series of works. The series of the angel as the following subject shows how this series of work has derived from Smile Figure series and developed.

      The thesis investigates the flow of transition of previous works and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to analyze new aspects of recent works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upcoming works.
      번역하기

      This thesis is research that analyzes and organizes the work of myself that has been carried out from 2010 to present. The body of dissertation concerns with the background thoughts and cri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separately. The first c...

      This thesis is research that analyzes and organizes the work of myself that has been carried out from 2010 to present. The body of dissertation concerns with the background thoughts and critical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separately.

      The first chapter of thesis, monologue painting, looks into two distinct types of paintings during this period. Perspective view of emotion as the first subject addresses the process of visualizing emotional conflicts caused by anxiety on the screen. Following subject, a person who becomes a canvas refers to the process of construction that led to the shape of a person's figure and the meaning of object-painting to myself.

      The second chapter is about layer paintings: it deals with the example of works to describe the background of increased interest for layers and the digital era as well as the process of applying the recognition of layers on canvas. The first subject illustrates shaped-ruler drawing that builds up the screen with layered lines. The second subject states about digital paintings to see the process of making images on digital circumstance and representing these digital images on canvas. The third one is about playlist paintings, and it introduces the series of paintings based on the created list related to daily life and constructed with found images associated with the list.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background of resuming man shaped object-paintings and the series of critical works. Smile Figure series implies the abstract process of cumulating and the progression of a series of works. The series of the angel as the following subject shows how this series of work has derived from Smile Figure series and developed.

      The thesis investigates the flow of transition of previous works and the critical characteristics, to analyze new aspects of recent works and to seek the direction of upcoming work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진행해온 회화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연구논문이다. 본문은 시기별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지녔던 배경적 사고와 주요특징을 다루고 있다.

      본문의 첫 단원인 모놀로그 페인팅은 이 시기에 진행한 두 종류의 회화를 구분하여 다룬다. 첫 번째 항목인 감정의 조감도는 불안으로 인해 드러나는 여러 감정의 충돌을 화면에 구현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두 번째 항목인 캔버스가 된 사람은 사람 형상의 형태를 도출하였던 조형의 과정과 내게 있어 오브제 회화가 지니는 의미를 말한다.

      두 번째 단원인 레이어 페인팅은 레이어와 디지털 세계에 대해 높아진 관심의 배경과 레이어를 인식하며 회화에 적용하는 과정을 작업의 사례로 구분하여 다룬다. 첫 번째 항목인 모양자 드로잉은 선을 적층하여 화면을 구축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두 번째 항목인 디지털 페인팅은 디지털에서의 이미지 제작과 이를 캔버스에 재현하는 회화의 과정을 살펴본다. 세 번째 항목인 플레이리스트 페인팅에서는 일상과 관련된 목록을 만들고, 목록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찾아 화면을 구성하는 일련의 회화를 소개한다.

      세 번째 단원인 Figure 페인팅은 사람 형상의 오브제 회화를 재개하게 된 배경과 주요 연작을 논한다. 첫 번째 항목인 Smile Figure 연작은 적층 행위의 추상 과정과 연작의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두 번째 항목인 천사 연작에서는 Smile Figure 연작으로부터 파생된 작업이 전개되는 과정을 다룬다.

      본 논문을 통해 지난 작업의 변화의 흐름과 주요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의 양상을 새롭게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향방을 모색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진행해온 회화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연구논문이다. 본문은 시기별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지녔던 배경적 사고와 주요특징을 다루고 있다. 본문의 첫 단원인 ...

      본 논문은 2010년부터 현재까지 진행해온 회화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연구논문이다. 본문은 시기별로 구분하여 각 시기에 지녔던 배경적 사고와 주요특징을 다루고 있다.

      본문의 첫 단원인 모놀로그 페인팅은 이 시기에 진행한 두 종류의 회화를 구분하여 다룬다. 첫 번째 항목인 감정의 조감도는 불안으로 인해 드러나는 여러 감정의 충돌을 화면에 구현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두 번째 항목인 캔버스가 된 사람은 사람 형상의 형태를 도출하였던 조형의 과정과 내게 있어 오브제 회화가 지니는 의미를 말한다.

      두 번째 단원인 레이어 페인팅은 레이어와 디지털 세계에 대해 높아진 관심의 배경과 레이어를 인식하며 회화에 적용하는 과정을 작업의 사례로 구분하여 다룬다. 첫 번째 항목인 모양자 드로잉은 선을 적층하여 화면을 구축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두 번째 항목인 디지털 페인팅은 디지털에서의 이미지 제작과 이를 캔버스에 재현하는 회화의 과정을 살펴본다. 세 번째 항목인 플레이리스트 페인팅에서는 일상과 관련된 목록을 만들고, 목록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찾아 화면을 구성하는 일련의 회화를 소개한다.

      세 번째 단원인 Figure 페인팅은 사람 형상의 오브제 회화를 재개하게 된 배경과 주요 연작을 논한다. 첫 번째 항목인 Smile Figure 연작은 적층 행위의 추상 과정과 연작의 발전과정을 살펴본다. 두 번째 항목인 천사 연작에서는 Smile Figure 연작으로부터 파생된 작업이 전개되는 과정을 다룬다.

      본 논문을 통해 지난 작업의 변화의 흐름과 주요특징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진행 중인 작업의 양상을 새롭게 분석해보고 앞으로의 향방을 모색하고자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