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충북지역 랜드마크 설화 연구 = A study of landmark folktales in Chungbuk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45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a search for local values. In order to study legend as local culture and promote the revitaliz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a specific methodology for local cultural research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 landmark folktales in Chungbuk province by utilizing photography semiotics “characteristics of index”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s “landmark” theory in order to find a specific methodology for local literature research.
      Landmark folktales see local legends as landmarks that represent or distinguish a region and highlight text that contain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landmark folktale is said to have five characteristics: visibility, uniqueness, characteristics of social valu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nd characteristics of cluster. At least one characteristic and up to all five can appear in a single text. At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a landmark-folktale can represent the region only when the text’s landmark characteristics are clearly revealed. Visibility, uniquenes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value are the primary requirements of landmark tales.
      Last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ex and the landmark- folktale, based on the text Jeonseolji, which is a representative collection of legends in Chungbuk, a landmark-folktale representing each of Chungbuk province’s 11 cities and counties was selected and analyzed.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a search for local values. In order to study legend as local culture and promote the revitaliz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a specific methodology for local cultural research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this s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a search for local values. In order to study legend as local culture and promote the revitalization of the cultural industry, a specific methodology for local cultural research should be prepared.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 landmark folktales in Chungbuk province by utilizing photography semiotics “characteristics of index”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s “landmark” theory in order to find a specific methodology for local literature research.
      Landmark folktales see local legends as landmarks that represent or distinguish a region and highlight text that contains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landmark folktale is said to have five characteristics: visibility, uniqueness, characteristics of social valu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nd characteristics of cluster. At least one characteristic and up to all five can appear in a single text. At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a landmark-folktale can represent the region only when the text’s landmark characteristics are clearly revealed. Visibility, uniqueness, and characteristics of social value are the primary requirements of landmark tales.
      Last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ex and the landmark- folktale, based on the text Jeonseolji, which is a representative collection of legends in Chungbuk, a landmark-folktale representing each of Chungbuk province’s 11 cities and counties was selected and analyz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로컬의 가치를 탐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지역문화로서의 전설을 연구하고 문화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지역 문화 연구 방법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문학 연구 방법론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찾기 위해 사진 기호학의 ‘지표성’ 논의와 건축공학에서의 ‘랜드마크’ 이론을 활용하여 ‘랜드마크 설화’를 설정하고 실제 지역을 대상으로 랜드마크 설화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랜드마크 설화란 지역 전설을 지역을 대표하거나 구별하게 하는 표지인 랜드마크로 보는 용어로, 지역의 특성을 담은 텍스트임을 부각시키는 용어이다. 랜드마크 설화는 가시성, 특이성, 사회성, 응집성, 군집성의 다섯 가지 특성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텍스트가 지닌 랜드마크적인 특성이 강하게 드러나야만 지역을 대표할 수 있을 만한 랜드마크 설화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가시성, 특이성, 사회성이 랜드마크 설화의 1차적인 요건이 된다.
      지표성과 랜드마크 설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충북의 대표 전설 자료집인 『전설지』 소재 텍스트들을 검토하여 충북의 11개 시군 각각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설화를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로컬의 가치를 탐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지역문화로서의 전설을 연구하고 문화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지역 문화 연구 방법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로컬의 가치를 탐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지역문화로서의 전설을 연구하고 문화 산업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지역 문화 연구 방법론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문학 연구 방법론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찾기 위해 사진 기호학의 ‘지표성’ 논의와 건축공학에서의 ‘랜드마크’ 이론을 활용하여 ‘랜드마크 설화’를 설정하고 실제 지역을 대상으로 랜드마크 설화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랜드마크 설화란 지역 전설을 지역을 대표하거나 구별하게 하는 표지인 랜드마크로 보는 용어로, 지역의 특성을 담은 텍스트임을 부각시키는 용어이다. 랜드마크 설화는 가시성, 특이성, 사회성, 응집성, 군집성의 다섯 가지 특성으로 보고 분석하였다. 텍스트가 지닌 랜드마크적인 특성이 강하게 드러나야만 지역을 대표할 수 있을 만한 랜드마크 설화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가시성, 특이성, 사회성이 랜드마크 설화의 1차적인 요건이 된다.
      지표성과 랜드마크 설화의 특성을 고려하여 충북의 대표 전설 자료집인 『전설지』 소재 텍스트들을 검토하여 충북의 11개 시군 각각을 대표하는 랜드마크 설화를 선정하고 분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환, "현대의 지역축제와 전설 ― 강원도 영월지역의 ‘단종제’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16) : 189-216, 2003

      2 이경률, "현대 예술사진에 나타난 지표성과 그 존재론적 연구" 한국기호학회 33 : 317-357, 2012

      3 "한국민족문학대백과사전, 2008~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효순, "충북지역 전설에 나타난 삼국시대에 관한 기억과 그 흔적" 한국기호학회 61 : 219-250, 2019

      5 오세정, "충북지역 전설 연구 - 자료, 분류, 분포의 특성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71 : 185-212, 2016

      6 오세정, "지표성으로 본 한국 전설의 유형론" 한국구비문학회 (54) : 39-68, 2019

      7 서해숙, "지역전설의 문학적 판타지와 문화 읽기 - 전남 보성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택민국학연구원 (14) : 161-190, 2014

      8 오세정, "지역 전통 이야기 문학의 문화적 의미와 경제적 가치-충북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148, 2013

      9 오세정, "지역 설화 인식조사를 통한 문화산업화 방안 연구 -충북지역 전설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353-382, 2017

      10 "전설지"

      1 최명환, "현대의 지역축제와 전설 ― 강원도 영월지역의 ‘단종제’를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16) : 189-216, 2003

      2 이경률, "현대 예술사진에 나타난 지표성과 그 존재론적 연구" 한국기호학회 33 : 317-357, 2012

      3 "한국민족문학대백과사전, 2008~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4 이효순, "충북지역 전설에 나타난 삼국시대에 관한 기억과 그 흔적" 한국기호학회 61 : 219-250, 2019

      5 오세정, "충북지역 전설 연구 - 자료, 분류, 분포의 특성을 중심으로 -" 우리말글학회 71 : 185-212, 2016

      6 오세정, "지표성으로 본 한국 전설의 유형론" 한국구비문학회 (54) : 39-68, 2019

      7 서해숙, "지역전설의 문학적 판타지와 문화 읽기 - 전남 보성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 택민국학연구원 (14) : 161-190, 2014

      8 오세정, "지역 전통 이야기 문학의 문화적 의미와 경제적 가치-충북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148, 2013

      9 오세정, "지역 설화 인식조사를 통한 문화산업화 방안 연구 -충북지역 전설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75 : 353-382, 2017

      10 "전설지"

      11 오세정, "전설의 정체성 재고와 연구방법 모색" 한국기호학회 52 : 97-122, 2017

      12 윤승준, "설화의 지역적 특성 연구와 설화문학지도: ‘234-1 모르면서 점장이로 성공’ 유형의 변이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55) : 39-80, 2017

      13 이수인, "서구 도시사회의 주요건축물에 대한 랜드마크 의미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8 (18): 119-126, 2016

      14 필립 뒤바, "사진적 행위" 사진마실 1-167, 2005

      15 주형일, "사진의 지표성과 의미에 대한 고찰" 한국언론학회 50 (50): 357-380, 2006

      16 박기관,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도가 지역랜드마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원도 지역축제를 중심으로" 경인행정학회 13 (13): 61-78, 2013

      17 정지호, "랜드마크시점에서 본 도시의 브랜드 문화컨텐츠화" 한국뷰티산업학회 7 (7): 23-37, 2013

      18 문종만, "랜드 마크와 20세기 도시계획 - 랜드 마크의 상징적 변형과 도시계획에서의 함의 -" 인문학연구원 (63) : 5-34, 2016

      19 정진우, "경로전달에 있어서 랜드마크의 인지적 속성과 그 사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6 (6): 127-135, 2011

      20 Kevin Lynch, "The Image of the City" The MIT Press 1-208, 1960

      21 Göran Sonesson, "Post-photography and beyond: From mechanical reproduction to digital production" 4 (4): 11-36,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87 1.6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