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모(母)의 경제활동 참여가 초등학생의 영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도구변수를 활용한 인과관계 분석 =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on English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usal relationships based on instrumental variab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5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in times of change in family role in bringing up children on English achievement of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in Seoul using instrumental variables. We used two instrumental variables. For the first instrumental variable, we used whether students are the second or third son by birth order and gender of children. For the second variable, we incorporated whether schools provide after-school day-care service. We thought that these two variables are positively related to dual-earner status of households. Study results showed that instruments are relevant because they strongly predicted both parents working after controlling for family background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Further, we demonstrated that two instruments are valid because the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English achievement. Study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employment status are decided endogenously and thus ordinary regression analysis could underestimate th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status on children's achievement in school. In addition, the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was found only in students whose family income was below the median level. This study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because it reveal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status and children's English achiev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in times of change in family role in bringing up children on English achievement of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in Seoul using instrumental variables. We used two instrumental variables. Fo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in times of change in family role in bringing up children on English achievement of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in Seoul using instrumental variables. We used two instrumental variables. For the first instrumental variable, we used whether students are the second or third son by birth order and gender of children. For the second variable, we incorporated whether schools provide after-school day-care service. We thought that these two variables are positively related to dual-earner status of households. Study results showed that instruments are relevant because they strongly predicted both parents working after controlling for family background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Further, we demonstrated that two instruments are valid because they are not directly related to English achievement. Study results showed that maternal employment status are decided endogenously and thus ordinary regression analysis could underestimate th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status on children's achievement in school. In addition, the effect of maternal employment was found only in students whose family income was below the median level. This study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because it reveal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status and children's English achieve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정의 역할과 기능이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모의 경제활동 참여가 서울지역 초등학교 4학년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구변수를 활용하여 그 인과관계를 조사하였다. 모 취업의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방법론적으로 중요한 점은 학업성취도 차이가 모의 취업 여부 이외에 모와 아동의 특성에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모의 취업 여부의 결정이 부모와 아동의 특성에 의해 내생적(endogenous)으로 결정된다면 회귀분석에 의해 추정된 모 취업 여부에 의한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편의(bias)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구변수로 학생의 출생순서와 성별을 결합하여 둘째 혹은 셋째 아들인 경우와 학교가 초등학생을 위한 방과 후 돌봄 교실을 운영할 경우에 모가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도구변수가 모의 경제활동 참여를 설명하는 적절한(relevant) 도구변수라는 것을 보였으며 또한 두 도구변수가 학업성취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아 유효(valid)함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도구변수를 활용하여 모 취업과 영어성취도 간에 부(-)의 관계가 존재하며 이러한 관계가 인과관계임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모 취업의 내생성은 소득 하위계층에 적용되며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 역시 하위계층의 아동에게 크게 작용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에 대한 사회적 배려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정의 역할과 기능이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모의 경제활동 참여가 서울지역 초등학교 4학년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구변수를 활용하여 그 인과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의 역할과 기능이 변화하고 있는 시점에서 모의 경제활동 참여가 서울지역 초등학교 4학년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구변수를 활용하여 그 인과관계를 조사하였다. 모 취업의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방법론적으로 중요한 점은 학업성취도 차이가 모의 취업 여부 이외에 모와 아동의 특성에 원인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이다. 모의 취업 여부의 결정이 부모와 아동의 특성에 의해 내생적(endogenous)으로 결정된다면 회귀분석에 의해 추정된 모 취업 여부에 의한 학업성취도의 차이는 편의(bias)를 가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구변수로 학생의 출생순서와 성별을 결합하여 둘째 혹은 셋째 아들인 경우와 학교가 초등학생을 위한 방과 후 돌봄 교실을 운영할 경우에 모가 경제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도구변수가 모의 경제활동 참여를 설명하는 적절한(relevant) 도구변수라는 것을 보였으며 또한 두 도구변수가 학업성취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아 유효(valid)함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도구변수를 활용하여 모 취업과 영어성취도 간에 부(-)의 관계가 존재하며 이러한 관계가 인과관계임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모 취업의 내생성은 소득 하위계층에 적용되며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부정적인 효과 역시 하위계층의 아동에게 크게 작용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이들에 대한 사회적 배려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우, "학습부진아 살리기 방안 연구" 국회도서관 강당 11-90, 2010

      2 정현옥, "취업모와 비취업모 자녀의 학업성적 및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한항문, "취업모와 비취업모 자녀의 학업성적 및 인성특성과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 : 101-102, 1982

      4 정태인, "주부의 취업이 청소년자녀의 인성, 학업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13): 269-297, 2002

      5 김영화, "어머니의 취업과 자녀의 학업성취" 31 : 45-84, 1991

      6 김일혁, "어머니의 교육 수준과 직업유무에 따른 자녀의 학업성취" 한국교육개발원 33 (33): 227-254, 2006

      7 김효순,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363-378, 2010

      8 박현정, "서울교육종단연구조사설계 및 기초분석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2010

      9 양계민, "방과후돌봄서비스 실태와 개선방안" 18 : 2-15, 2011

      10 윤자영, "모의 취업이 자녀의 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경제학회 7 (7): 67-93, 2010

      1 김진우, "학습부진아 살리기 방안 연구" 국회도서관 강당 11-90, 2010

      2 정현옥, "취업모와 비취업모 자녀의 학업성적 및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3 한항문, "취업모와 비취업모 자녀의 학업성적 및 인성특성과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 : 101-102, 1982

      4 정태인, "주부의 취업이 청소년자녀의 인성, 학업과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3 (13): 269-297, 2002

      5 김영화, "어머니의 취업과 자녀의 학업성취" 31 : 45-84, 1991

      6 김일혁, "어머니의 교육 수준과 직업유무에 따른 자녀의 학업성취" 한국교육개발원 33 (33): 227-254, 2006

      7 김효순,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363-378, 2010

      8 박현정, "서울교육종단연구조사설계 및 기초분석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2010

      9 양계민, "방과후돌봄서비스 실태와 개선방안" 18 : 2-15, 2011

      10 윤자영, "모의 취업이 자녀의 교육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경제학회 7 (7): 67-93, 2010

      11 이상록, "모의 취업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133-161, 2009

      12 류이근, "맞벌이 반일여성노동자 급증"

      13 장학만, "딸들을 안심하고 키우려면"

      14 신광영, "딸 가진 부모들 다리 뻗고 잘 수 있게 해달라, 제발…"

      15 한국여성개발원, "노동시장재진입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008

      16 이정환, "가족환경, 과외, 성적" 한국사회학회 36 (36): 8-20, 2002

      17 Baum, C. L., "The long-term effects of early and recent maternal employment on a child’s academic achievement" 25 (25): 29-60, 2004

      18 James-Burdumy, S., "The effect of maternal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child development" Mathematica Policy Research 1999

      19 Milne, A. M., "Single parents, working mothers,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school children" 59 (59): 125-139, 1986

      20 Harvey, E., "Short-term and long-term effects of early parental employment on children of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35 (35): 445-459, 1999

      21 Burchinal, L. G., "Relations among maternal employment indices and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23 (23): 334-340, 1961

      22 Bauernschuster, S., "Public child care and mother's labor supply: Evidence from two quasi-experiments" IfoInstitute at the University of Munich 2012

      23 Cherry, F. F.,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children of low-income mothers working in the child’s early years" 48 : 158-166, 1977

      24 Gagné, L. G., "Parental work, child-care use, and young children’s cognitive outcomes, In Research Paper, Research Data Centres Program" Statistics Canada 2003

      25 Leibowitz, A., "Parental inputs and children’s achievement" 12 (12): 242-251, 1977

      26 Angrist, J., "Multiple experiments for the causal link betwee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childre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2006

      27 Desai, S., "Mother or market?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on the intellectual ability of 4-year-old children" 26 (26): 545-561, 1989

      28 Cameron, A. C., "Microeconometrics using Stata (2nd ed)" Stata Press 2010

      29 Muller, C., "Maternal employment, parental involvemen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among adolescents" 57 (57): 85-100, 1995

      30 Goldberg, W. A.,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ren’s achievement in context : A metaanalysis of four decades of research" 134 (134): 77-108, 2008

      31 Hill, J. L.,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 development : A fresh look using newer methods" 41 (41): 833-850, 2005

      32 Brooks-Gunn, J.,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 cognitive outcomes in the first three years of life :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73 (73): 1052-1072, 2002

      33 Paulson, S. E., "Maternal employment and adolescent achievement revisited : An ecological perspective" 45 (45): 201-208, 1996

      34 Angrist, J. D., "Instrumental variables methods in experimental criminological research : what, why and how" 2 (2): 23-44, 2005

      35 Angrist, J. D., "Instrumental variables and the search for identification : from supply and demand to natural experiments" 15 (15): 69-85, 2001

      36 Kenny, D. A., "Instrumental variable estimation"

      37 Hill, M.. A., "Family endowments and the achievement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underclass" 29 (29): 1064-1101, 1994

      38 Morris, P., "Effects of welfare and employment policies on young children: New findings on policy experiments conducted in the early 1990s" 19 (19): 1-17, 2005

      39 Kan, M.,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on adolescent behavior and academic outcomes: Evidence from Japanese Micro Data"

      40 Parcel, T. L., "Early parental work, family social capital, and early childhood outcomes" 99 (99): 972-1009, 1994

      41 Huerta, M., "Early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 development in five OECD countries" OECD Publishing 2011

      42 Hörisch, H., "Does Parental Employment Affect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 Evidence from Germany" University of Munich 2008

      43 서울시교육청, "Data 기반 서울교육정책 설계 : 서울교육종단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2010

      44 Angrist, J. D., "Children and their parents’ labor supply : Evidence from exogenous variation in family size" 88 (88): 450-477, 1998

      45 Henry, C., "Child care subsidies promote mother's employment and children's development" Institute for Women's Policy Research 2003

      46 Rammohan A., "Child care and female employment decisions" 8 (8): 203-225, 2005

      47 The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Child care and child development" The Guildford Press 2005

      48 Becker, G. S.,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75 (75): 493-517, 1981

      49 통계청, "2011년 맞벌이가구 및 경력단절여성 통계 집계 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7-2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8-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Sociology Of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66 2.66 2.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34 3.328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