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으로부터 분리한 140균주의 근류균은 25균주(17.9%)가 Rhizobium fredii로 115 균주(82.1%)가 Bradyrhizobium japonicum으로 동정되었다. R. fredii에 속하는 분리 균주의 생존 pH 범위는 4.5∼9.0이었고 B. japonicum...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618409
1997
Korean
472.000
학술저널
269-275(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콩으로부터 분리한 140균주의 근류균은 25균주(17.9%)가 Rhizobium fredii로 115 균주(82.1%)가 Bradyrhizobium japonicum으로 동정되었다. R. fredii에 속하는 분리 균주의 생존 pH 범위는 4.5∼9.0이었고 B. japonicum...
콩으로부터 분리한 140균주의 근류균은 25균주(17.9%)가 Rhizobium fredii로 115 균주(82.1%)가 Bradyrhizobium japonicum으로 동정되었다. R. fredii에 속하는 분리 균주의 생존 pH 범위는 4.5∼9.0이었고 B. japonicum의 생육 pH 범위는 5.5∼8.0로 비교적 좁게 나타났다. B. japonicum에 속하는 98균주 중에서는 53균주(54%)가 IAA를 생산하지 않는 GTⅠgroup으로, 45균주(46%)는 IAA를 생산하는 GTⅡgroup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당 이용성에 따라 13종류의 biovar로 구분되었으며,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 유무에 의해 10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ong 140 strains isolated from soybean (Glycine max L.) roots, 25 strains (17.9%) and 115 strains (82.1%) were identified as Rhizobium fredii and Bradyrhizobium japonicum, respectively. The pH for the survival of R. fredii ranged from 4.5 to 9.0 and ...
Among 140 strains isolated from soybean (Glycine max L.) roots, 25 strains (17.9%) and 115 strains (82.1%) were identified as Rhizobium fredii and Bradyrhizobium japonicum, respectively. The pH for the survival of R. fredii ranged from 4.5 to 9.0 and for B. japonicum it was 5.5 to 8.0. Fifty-three strains (54%) of B. japonicum were classified to group GT I which could not produce indole-3-acetic acid (IAA) and 45 strains (46%) belonged to group GT II. R. fredii and B. japonicum strains could be divided into 13 biovars based on the acid productivity from carbon sources. These strains also could be divided into 10 groups based on the susceptibility to antibiotics.
결핵균 30 kDa 단백항원 자극에 의하여 유도되는 IFN-Y 및 IL-4 mRNA 발현 양상과 세포독성능
Illudins C_2 and C_3, New Illudin C Derivatives from Coprinus atramentarius ASI20013
Bacillus subtilis KS1이 생산하는 항진균물질의 정제 및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