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어린이박물관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공간 디자인의 현황과 전시 방법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과거에는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분석 방법이 부족했기 때문에 공간 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018551
BuRui Tan (상명대학교)
2024
Korean
Children's Museums ; Spatial Syntax ; Justified Graph ; Spatial Structure ; Spatial Planning ; 어린이박물관 ; 공간구문론 ; 공간 위상도 ; 공간구조 ; 공간계획
KCI등재
학술저널
545-559(1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기존 어린이박물관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공간 디자인의 현황과 전시 방법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과거에는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분석 방법이 부족했기 때문에 공간 구...
기존 어린이박물관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공간 디자인의 현황과 전시 방법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과거에는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분석 방법이 부족했기 때문에 공간 구조에 대한 연구가 어려웠다. 그러나 공간구문론이 새로운 공간 구조 분석의 도구로 활용되면서 이러한 문제는 해결되는 추세로 가고 있다. 한·중 양국은 20세기 말부터 어린이박물관 사업을 시작했고, 또 이 분야에서 일정한 성과도 거두었다. 이러한 양측의 경험은 상호 참조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한·중 양국의 어린이 박물관을 분석했다. 어린이박물관의 공간 평면구조의 특성과 구성 요소들의 연결 관계, 접근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은 어린이박물관의 기원에 있어 유사한 점이 있다. 둘째, 각 구성 요소의 면적 비율을 보면 공용공간과 체험전시공간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셋째, 자율성이 높은 얕은 고리형의 공간 위상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어린이박물관의 일반적인 특성이다. 넷째, 전체 통합도, 선정도, 평균 깊이 분석에서 공용공간이 핵심 지위를 차지했고, 공용공간의 배치는 다른 공간의 접근성과 공간깊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공용공간 다음으로 핵심적인 공간은 체험전시공간이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어린이박물관의 공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공간의 평면구조만을 기준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어린이박물관의 공간계획은 보다 포괄적이면서 다차원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 research on children's museums predominantly focuses on spatial design and exhibition methods based on existing conditions. The absence of quantitative, objective analysis methods has hindered thorough research into spatial configurations. How...
Current research on children's museums predominantly focuses on spatial design and exhibition methods based on existing conditions. The absence of quantitative, objective analysis methods has hindered thorough research into spatial configurations. However, spatial syntax theory, a novel approach to analyzing spatial structures, is beginning to bridge this gap. Korea and China embarked on their children's museum initiatives at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nd have since realized noteworthy achievements. The experiences from both countries offer the potential for reciprocal learning. Hence, this study employs spatial syntax theory to analyze children's museums in Korea and China. It successfully deline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floor plan structures, including the inter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of various components. The key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is a notable similarity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origins of their children's museums. 2) Public spaces and experiential exhibition areas represent the most significant proportions. 3) A common characteristic of children's museums is the utilization of shallow-ring spatial topological structures, noted for their high autonomy. 4) Analyzing integration, choice, and mean depth reveals that public spaces are pivotal. Their arrangement significantly impacts the accessibility and spatial depth of other areas. Experiential exhibition spaces are identified as second in prominence. However, the research is limited due to its exclusive reliance on spatial plan structures for analysis. Future studies aim to delve into children's museum space planning more comprehensively and multi-dimensionally.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인공지능 리터러시 연구 키워드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