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으며, 어머니의 행복감이 유아의 행복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258990
부산 :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학위논문(석사) --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2013. 8
2013
한국어
375.104 판사항(5)
부산
ii,64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51-5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으며, 어머니의 행복감이 유아의 행복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으며, 어머니의 행복감이 유아의 행복감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연령, 학력, 경제적 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연령, 성별, 보육․교육시간에 따라 유아의 행복감은 차이가 있는가?
셋째,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5개의 어린이집․유치원을 토대로 하여 재원중인 만4-5세 유아 280명과 그의 어머니 280명, 총 5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어머니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실현적 행복척도를 표준화한 심리적 웰빙 검사도구(김명소, 2001)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유아용 행복감 검사도구(김도란, 2008)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 간에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p<.05를 기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연령, 학력, 경제적 수준에 따른 행복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연령에 따른 어머니 행복감에서는 전체 어머니 행복감에 있어 연령별 차이가 없었지만, 어머니의 행복감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에서는 20-30대가 40-50대 어머니보다 삶의 목적 추구와 개인적 성장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어머니 행복감에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행복감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과 긍정적 대인관계, 환경지배와 개인적 성장에 있어 높은 인식을 보였다. 어머니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어머니 행복감에 있어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의 학력, 성별, 유아의 보육․교육시간에 따른 유아의 행복감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아의 학력에 따른 유아 행복감에서는 전체 유아 행복감에서 만 4세가 만5세 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 행복감 하위요인 중 가정환경 영역과 자아특성 영역에서 만4세가 만 5세 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 행복감에도 차이가 있었으며, 유아 행복감 하위요인 중 자아특성과 능력 면에서 남아보다는 여아가 높은 점수를 얻었고,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의 보육․교육시간에 따른 유아 행복감에서는 전체 유아 행복감은 종일제 유아가 반일제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 행복감 하위요인 중 자아특성과 대인관계에서 종일제 유아가 반일제 유아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유의미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셋째, 어머니의 행복감과 유아의 행복감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체 어머니 행복감은 전체 유아 행복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전체 어머니 행복감은 유아 행복감 하위요인 중 가정환경 영역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지만, 자아특성 영역, 능력 영역 및 대인관계 영역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행복감 하위요인 중, 삶의 목적과 개인적 성장은 유아의 행복감에 있어 대체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유아의 행복감과 하위요소인 가정환경, 자아특성, 능력, 대인관계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가 갖고 있는 삶의 목적과 개인의 성장에 대한 강한 욕구는 유아의 행복감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기 때문에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 스스로 삶의 목적에 대한 높은 인식 형성과 개인의 성장에 대한 욕구가 높일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유아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 스스로 삶의 목적과 자신의 발전가능성, 잠재능력을 발휘해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