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쟁과 여성 = 경계에 선 여성들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25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he study of the Korean War and women. More specifically, I pursue the cultural history of women during the War. What the ‘cultural history’ is meant here is to analyze women’s consciousness, their subjectivity and practices during the w...

      This is the study of the Korean War and women. More specifically, I pursue the cultural history of women during the War. What the ‘cultural history’ is meant here is to analyze women’s consciousness, their subjectivity and practices during the war period and to reveal the effects of war on women’s life in general and women’s responds in specific. The socio-political studies of the Korean War have accumulated to a great extent and yet not many studies about women at war have accomplished. From the 2000’s, a small volume of studies of women in the Korean War have been started by social scientists who focused on the issues concerning the change of women’s role and status when men were absent at home. The studies witness that many women became breadwinners working at factories, marketplaces, and many unskilled jobs. However, those studies did not much pay attention to the women’s consciousness and their perception of war. This study shows how the women interviewed experienced the war and perceived it. Those who faced the crisis of ideological battle, endangered family relationship and sexual violation spoke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their own voices. The women witnessed another war within the members of family, close kin, and neighbors not alone between the enemies at war. Most women at war tried to be liberated themselves from the ideological battle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They placed themselves to be watchers of family during the war. The data I have used in this paper were collected in the area of Imsil, Jeolla Bukto.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들어가는 말
      • 1. 역사의 지평으로 나온 전쟁 속의 여성
      • 2. 전라북도 임실의 전쟁 피해
      • 3. 경계에 선 여성들
      • 4. 경계에 대해서
      • 들어가는 말
      • 1. 역사의 지평으로 나온 전쟁 속의 여성
      • 2. 전라북도 임실의 전쟁 피해
      • 3. 경계에 선 여성들
      • 4. 경계에 대해서
      • 맺는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임하, "한국전쟁이 여성생활에 미친 영향" 9-55, 2000

      2 하영선, "한국전쟁의 새로운 접근—전통주의와 수정주의를 넘어서" 나남 1990

      3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I, II" 나남 1996

      4 김영호,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 두레 1998

      5 최장집, "한국전쟁연구" 태암 1990

      6 이성숙,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 한국여성사학회 (7) : 123-164, 2007

      7 박찬승, "한국전쟁기 동족마을 주민들의 좌우분화 - 금산군 부리면의 사례 -" 역사문화학회 11 (11): 225-257, 2008

      8 윤형숙, "한국전쟁과 지역민의 대응: 전남의 한 동족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2002

      9 정근식, "한국전쟁과 지방사회의 갈등. in: 한국전쟁과 한국사회변동" 풀빛 1992

      10 이임하, "한국전쟁과 여성노동의 확대" 고려사학회 14 : 8-280, 2003

      1 이임하, "한국전쟁이 여성생활에 미친 영향" 9-55, 2000

      2 하영선, "한국전쟁의 새로운 접근—전통주의와 수정주의를 넘어서" 나남 1990

      3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I, II" 나남 1996

      4 김영호,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 두레 1998

      5 최장집, "한국전쟁연구" 태암 1990

      6 이성숙, "한국전쟁에 대한 젠더별 기억과 망각" 한국여성사학회 (7) : 123-164, 2007

      7 박찬승, "한국전쟁기 동족마을 주민들의 좌우분화 - 금산군 부리면의 사례 -" 역사문화학회 11 (11): 225-257, 2008

      8 윤형숙, "한국전쟁과 지역민의 대응: 전남의 한 동족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 35 (35): 2002

      9 정근식, "한국전쟁과 지방사회의 갈등. in: 한국전쟁과 한국사회변동" 풀빛 1992

      10 이임하, "한국전쟁과 여성노동의 확대" 고려사학회 14 : 8-280, 2003

      11 박찬승, "한국전쟁과 마을 -기존연구의 정리와 향후 연구의 과제-" 역사문화학회 12 (12): 411-455, 2009

      12 정진상, "한국전쟁과 계급구조의 변동—경남 진양군 두 마을 사례 연구. in: 계급과 한국사회" 한울 1994

      13 김철범, "한국전쟁: 강대국 정치와 남북한 갈등" 평민사 1989

      14 함인희, "한국전쟁, 가족 그리고 여성의 다중적 근대성" 한국이론사회학회 (9) : 159-189, 2006

      15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집단희생 관련 최종 결과 보고서" 전북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BK21사업단·전북대학교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소 2009

      16 이완범, "한국전쟁 연구 50년과 과제" (46) : 8-29, 2000

      17 김학준, "한국전쟁" 박영사 1989

      18 윤정란, "한국 전쟁과 장사에 나선 여성들의 삶 - 서울에 정착한 타지역 출신들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사학회 (7) : 87-122, 2007

      19 김성례, "한국 무속에 나타난 여성체험" 7 : 7-43, 1991

      20 김주영, "천둥소리" 문이당 1986

      21 이임하, "전쟁미망인'의 전쟁 경험과 생계활동:'군경미망인'을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0 (0): 11-39, 2006

      22 최정기, "전쟁과 재현: 마을 공동체의 고통과 그 대면" 한울아카데미 2008

      23 김동춘, "전쟁과 사회—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돌베개 2009

      24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 한울아카데미 2003

      25 김귀옥, "장마. in: 제3세대 한국문학" 삼성출판사 1983

      26 윤택림, "인류학자의 과거 여행: 한 빨갱이 마을의 역사를 찾아서" 역사비평사 2003

      27 김귀옥,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이산가족 문제를 보는 새로운 시각" 역사비평사 2004

      28 김귀옥, "월남민들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밑으로부터의 월남민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29 김귀옥,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해문집 2004

      30 윤흥길, "에미. in: 제3세대 한국문학" 삼성출판사 1983

      31 염미경, "양반가문의 한국전쟁 경험—전남 강진지역의 근대적 지배층 변화를 중심으로" 29 : 2001

      32 김귀옥, "속초 세 할머니가 겪은 6·25전쟁. in: 홀치기부대, 흰 패들의 학살·강간, 그리고 긴 절망···" 민족 21 112-117, 2001

      33 김명준, "소멸과 생성—토지의 여성 삼대와 경계선의 미학" 403-415, 1997

      34 조은, "분단사회의 '국민 되기'와 가족:월남 가족과 월북 가족의 구술 생애이야기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0 (0): 72-101, 2006

      35 강정구, "분단과 전쟁의 한국현대사" 역사비평사 1996

      36 김귀옥, "분단, 한국전쟁과 여성: 1950년대 한국 여성의 삶. in: 한국현대여성사" 한울아카데미 41-65, 2004

      37 호미바바, "문화의 위치: 탈식민주의 문화이론" 소명출판 2002

      38 안태윤, "딸들의 한국전쟁- 결혼과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본 미혼여성들의 한국전쟁경험 -" 한국여성사학회 (7) : 49-85, 2007

      39 바흐찐, M., "도스또예프스끼 詩學" 정음사 1989

      40 라종일, "끝나지 않은 전쟁: 한반도와 강대국 정치 1950~1954" 전예원 1994

      41 김귀옥, "국가폭력과 여성체험" 102 : 340-352, 1998

      42 김귀옥, "6·25전쟁의 종합적 이해: 기원·전개과정·영향의 유기적 관계" (18) : 2003

      43 Cumings, B., "1981 & 1990,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1, 2" Princeton University Pres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5 1.637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