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에서 행복과 자유 의지: 메니포스 풍자 문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Happiness and Free Will in Boethius’ De Consolatione: focused on its relevance to Menippean Sat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279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recent interpretation of De Consolatione sees it as one of Menippean Satire, which satirises philosophy. Th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reading according to which Philosophy did not reveal any fruitful paths to happiness, and her insistence on ...

      A recent interpretation of De Consolatione sees it as one of Menippean Satire, which satirises philosophy. Th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the reading according to which Philosophy did not reveal any fruitful paths to happiness, and her insistence on the existence of free will was ultimately not maintained. In this paper, I claim that this interpretation does not provide us reasonable evidences. Firstly, I argue that Philosophy presented praxis and theōria as methods of attaining happiness, and helped Boethius to participate in theōria. Next, I demonstrate that her insistence on the existence of free will did not reach an impasse. I explain the meaning of exordium(Ⅳ.6.19), and make clear that the God described in this book is not the one who compels us to act in a certain way, but the one who weaves ‘the acts performed by ourselves’ and ‘the (mis)fortunes we are going to me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몇몇 연구자들은 『위안』이 메니포스 풍자 문학에 속하는 것으로서 철학 풍자를 목표로 하는 책이라 해석하며 다음의 두 이유를 내놓았다. 하나는 보에티우스라는 구체적 개인이 어...

      최근 몇몇 연구자들은 『위안』이 메니포스 풍자 문학에 속하는 것으로서 철학 풍자를 목표로 하는 책이라 해석하며 다음의 두 이유를 내놓았다. 하나는 보에티우스라는 구체적 개인이 어떻게 참된 행복을 달성할 수 있는지에 관해 철학이 말해주는 바가 없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자유 의지가 존재한다던 철학의 기존 주장이 맨 끝에서 번복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는 철학이 프락시스와 테오리아를 행복에 가까워지는 길로서 제시했을 뿐 아니라 보에티우스로 하여금 테오리아를 직접 실행하도록 안내했음을 보인다. 다음으로 필자는 exordium(Ⅳ.6.19)의 의미를 구체화함으로써, 이 책에 묘사된 신은 우리를 특정 방식으로 행동하게끔 강제하는 자가 아니라 ‘우리가 자유롭게 한 행동’과 ‘우리가 마주치게 될 운’을 엮는 자임을 설명하며, 자유 의지의 존재에 대한 철학의 옹호는 변함없이 유지됨을 밝힌다. 결국 본고는 앞의 두 이유 때문이라면 『위안』을 메니포스 풍자 문학으로 분류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 바오로딸 1991

      2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 필로소픽 2014

      3 마이클 피터슨, "종교의 철학적 의미" 이화여대출판부 2005

      4 강상진, "아우구스티누스와 고전적 덕론(德論)의 변형" 인간환경미래연구원 (5) : 135-156, 2010

      5 아우구스티누스, "신국론" 분도출판사 2004

      6 이창우, "보에티우스의『철학의 위안』 : 플라톤적 요소와 反플라톤적 요소"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8 : 1998

      7 박병준,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과 철학실천 - 철학상담에의 적용을 위한 ‘초월적-3인칭적’ 방법론 모색 -" 철학연구소 32 : 7-38, 2013

      8 Dronke, P., "Verse with Prose from Petronius to Dante. The Art and Scope of the Mixed Form" Harvard Univ. Press 1994

      9 Relihan, Joel C., "The Prisoner’s Philosophy: Life and Death in Boethius’s Consolation" Univ. of Notre Dame Press 2007

      10 Marenbon, John, "The Cambridge Companion to Boethius" Cambridge Univ. Press 2009

      1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 바오로딸 1991

      2 보에티우스, "철학의 위안" 필로소픽 2014

      3 마이클 피터슨, "종교의 철학적 의미" 이화여대출판부 2005

      4 강상진, "아우구스티누스와 고전적 덕론(德論)의 변형" 인간환경미래연구원 (5) : 135-156, 2010

      5 아우구스티누스, "신국론" 분도출판사 2004

      6 이창우, "보에티우스의『철학의 위안』 : 플라톤적 요소와 反플라톤적 요소" 서울대 철학사상연구소 8 : 1998

      7 박병준, "보에티우스의 『철학의 위안』과 철학실천 - 철학상담에의 적용을 위한 ‘초월적-3인칭적’ 방법론 모색 -" 철학연구소 32 : 7-38, 2013

      8 Dronke, P., "Verse with Prose from Petronius to Dante. The Art and Scope of the Mixed Form" Harvard Univ. Press 1994

      9 Relihan, Joel C., "The Prisoner’s Philosophy: Life and Death in Boethius’s Consolation" Univ. of Notre Dame Press 2007

      10 Marenbon, John, "The Cambridge Companion to Boethius" Cambridge Univ. Press 2009

      11 Meineke, A., "Strabo Geographica" Teubner 1877

      12 Leo, F., "Plauti Comoediae" Weidmann 1895

      13 Stahl, W. H., "Martianus Capella and the Seven Liberal Arts, Vol. 2" Columbia Univ. Press

      14 Harmon, A. M., "Lucian Ⅱ, Icaromenippus, or The Sky-man" Harvard Univ. Press 1968

      15 Gruber, Joachim, "Kommentar zu Boethius’ De consolatione philosophiae(Text und Kommentare 9)" De Gruyter 2006

      16 Gaffiot, F., "Dictionnaire Latin-Francais" Hachette 1934

      17 Moreschini, Claudio, "De Consolatione Philosophiae;Opuscula Theologica" K. G. Saur 2005

      18 Shanzer, Danuta, "Chapter 10: Interpreting the Consolation" 2009

      19 Chadwick, H., "Boethius: The Consolation of Music, Logic, Theology, and Philosophy" Oxford Univ. Press 1981

      20 Stewart H. F., "Boethius The Theological Tractates, The Consolation of Philosophy" Harvard Univ. Press

      21 Marenbon, John, "Boethius" Oxford Univ. press 2003

      22 Relihan, Joel C., "Ancient Menippean Satire" John Hopkins Univ. Press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1.28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