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애정, "흑마늘 농축액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생활과학회 20 (20): 467-473, 2011
2 문재남, "천마 농축액 첨가량에 따른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7 (27): 545-556, 2011
3 김동욱, "제주 재래마와 더러브렛종과의 교잡종인 한라마 사골추출물과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3 (23): 1147-1154, 2013
4 김애정, "오디 분말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27-33, 2007
5 조영, "석류와 천년초 분말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134-142, 2009
6 김애정, "뽕잎을 이용한 젤리제조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56-61, 2006
7 차연수, "복분자를 첨가한 초콜릿의 최적 배합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193-1197, 2007
8 김경희,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10-115, 2010
9 박선순, "백서의 폐경기 골다공증 모델에서 말뼈 추출물의 효과" 한국생약학회 41 (41): 204-209, 2010
10 손민정, "백년초 젖산 발효액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408-413, 2005
1 김애정, "흑마늘 농축액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생활과학회 20 (20): 467-473, 2011
2 문재남, "천마 농축액 첨가량에 따른 젤리의 품질 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7 (27): 545-556, 2011
3 김동욱, "제주 재래마와 더러브렛종과의 교잡종인 한라마 사골추출물과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효과" 한국생명과학회 23 (23): 1147-1154, 2013
4 김애정, "오디 분말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27-33, 2007
5 조영, "석류와 천년초 분말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5 (25): 134-142, 2009
6 김애정, "뽕잎을 이용한 젤리제조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2 (22): 56-61, 2006
7 차연수, "복분자를 첨가한 초콜릿의 최적 배합비"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6 (36): 1193-1197, 2007
8 김경희, "버찌(Fruit of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분말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10-115, 2010
9 박선순, "백서의 폐경기 골다공증 모델에서 말뼈 추출물의 효과" 한국생약학회 41 (41): 204-209, 2010
10 손민정, "백년초 젖산 발효액을 이용한 젤리의 제조"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408-413, 2005
11 정은영, "마늘을 이용하여 제조한 젤리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9 (19): 627-634, 2009
12 성창근, "돌나물 즙을 첨가한 젤라틴 젤리의 제조 및 품질특성" 한국식품과학회 39 (39): 619-624, 2007
13 이준호, "단호박 분말을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2 (42): 139-142, 2013
14 김애정, "누에분말을 이용한 젤리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 동아시아식생활학회 16 (16): 308-314, 2006
15 강남이, "난소화성 전분 젤리의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특성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19 (19): 532-538, 2006
16 노언주, "곤달비의 주름개선효과" 한국유화학회 26 (26): 186-190, 2009
17 조영, "강황과 비트를 첨가한 젤리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6 (26): 481-489, 2010
18 이세나, "馬骨 추출물의 성장기 흰쥐 장골 길이 성장에 대한 효과" 대한본초학회 24 (24): 69-77, 2009
19 Jung, G. T., "Study on preparation and quality of jellies using mushrooms" 5 : 405-410, 2001
20 Paik, J. E., "Studies on making jelly and mold salad with grape extract" 12 : 291-294, 1996
21 Royer, G., "Preliminary study of the production of apple pomace and quince jelly" 39 : 1022-1025, 2006
22 Abdullah, A., "Optimization of reduced calorie tropical mixed fruits jam" 12 : 63-68, 2001
23 Acosta, O., "Optimisation of low calorie mixed fruit jell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19 : 79-85, 2008
24 Veis, A, "Macromolecular chemistry of gelatin" Academic Press 196-, 1964
25 Syczesniak, A. A., "Instrumental methods of texture measurement" 26 : 50-60, 1972
26 Lee, T. W., "Instrument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lly" 23 : 336-340, 1991
27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Food Code"
28 Garrido, J. I., "Effect of formulation variables on rheology, texture, color, and acceptability of apple jelly: Modelling and optimization" 62 : 325-332, 2015
29 Setchell, K. D., "Dietary isoflavones: biological effects and relevance to human health" 129 : 758-767, 1999
30 김동욱, "Anti-oxidation and Anti-wrinkling Effects of Jeju Horse Leg Bone Hydrolysates" 한국축산식품학회 34 (34): 844-851, 2014
31 Kim, J. E., "A study on making jelly with Omija extract" 6 : 17-24,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