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감염병 대응을 위한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Public-Private Partnership to Respond to Infectious Disea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11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감염병의 발생은 20세기 이후 기후변화, 도시화, 이동 편리성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COVID-19 대응에 있어서 큰 혼란을 겪었다. 한편 팬데믹 수준의 감염병 재난은 방역당국과 다양한...

      감염병의 발생은 20세기 이후 기후변화, 도시화, 이동 편리성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COVID-19 대응에 있어서 큰 혼란을 겪었다. 한편 팬데믹 수준의 감염병 재난은 방역당국과 다양한 사회 주체의 협력이 있어야 좀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을 알았다. 이에 우리가 최근 경험하였던 감염병 MERS와 COVID-19의 초기 대응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재난관리에 있어서 다양한 사회주체의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협력적 거버넌스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협력적 거버넌스는 네트워크, 책임과 역할, 참여와 협조가 잘 이루어질 때 보다 효과적이다. 이에 3가지 핵심 요소를 가지고 감염병 재난대응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효과적인 민관협력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정부는 기존 재난관련 네트워크조직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스마트사회 기반의 새로운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두 번째, 재난관련 조직 및 참가자를 위한 재난교육 훈련의 확대, 중간지원조직의 강화, 이를 위한 정부의 역할 확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의료인 중심의 재난관련 민간조직의 구성 및 기업의 참여확대를 위한 시스템 강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20th century, the incidence of infectious diseases has been increasing owing to climate change, urbanization, and the convenience of movement. Countries worldwide have experienced great confusion in their response to COVID-19. At the same ti...

      Since the 20th century, the incidence of infectious diseases has been increasing owing to climate change, urbanization, and the convenience of movement. Countries worldwide have experienced great confusion in their response to COVID-19. At the same time, we also found that we can respond to pandemics more effectively when quarantine authorities and various social entities cooperate. Therefore,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early response cases of MERS and COVID-19 that we recently experienced. In particular,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cooperative governance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ocial entities in disaster management. Cooperative governance is more effective when networks, roles and responsibilities,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re well established. Accordingly, the cases of disaster response for infectious diseas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ree key factors, and based on these, effective directions for revitalizing public-private partnerships were suggested. The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strengthen support for existing disaster-related network organization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build a new network based on a smart society. Second, it is important to expand disaster education and training for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and participants, strengthen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expand the government's role in these areas. Finally, we present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system to form disaster-related private organizations that are centered on medical personnel, and expanding corporate particip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 분석 틀
      • 3. 감염병 대응 사례분석
      • 4. 감염병 대응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 5. 결론
      • 1. 서론
      • 2. 선행연구 고찰 및 연구 분석 틀
      • 3. 감염병 대응 사례분석
      • 4. 감염병 대응 민관협력 활성화 방안
      • 5. 결론
      • 감사의 글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