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치매 노인 가족의 치매 지식과 태도가 돌봄 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on Caregiving Appraisal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Using Dementia Care Cent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444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using a dementia care cente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3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using a dementia 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s for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est using the SPSS/WIN 24.0.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were revealed between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r=.36, p<.001). Dementia attitud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ing satisfaction (r=.40, p<.001) and caregiving mastery (r=.31, p<.001). Dementia attitud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ing burden (r=-.47, p<.001), caregiving demand (r=-.35, p<.001), and caregiving impact (r=-.40,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caregiving appraisal were dementia attitude (negative component: β=-.48, p<.001, positive components: β=.41, p<.001, neutral components: β=-.42, p<.001) and caregiving duration (negative component: β=-.28, p=.004, positive components: β=.26, p=.010). These factors contributed negative components (25.2%), positive components (18.4%), and neutral components (25.5%) of the variance in caregiving appraisa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to improve dementia attitude.
      번역하기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using a dementia care cente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3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

      Purpose: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among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using a dementia care cente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13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using a dementia care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s for dementia knowledge, attitude, and caregiving appraisa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est using the SPSS/WIN 24.0.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were revealed between dementia knowledge and attitude (r=.36, p<.001). Dementia attitud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ing satisfaction (r=.40, p<.001) and caregiving mastery (r=.31, p<.001). Dementia attitud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giving burden (r=-.47, p<.001), caregiving demand (r=-.35, p<.001), and caregiving impact (r=-.40,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caregiving appraisal were dementia attitude (negative component: β=-.48, p<.001, positive components: β=.41, p<.001, neutral components: β=-.42, p<.001) and caregiving duration (negative component: β=-.28, p=.004, positive components: β=.26, p=.010). These factors contributed negative components (25.2%), positive components (18.4%), and neutral components (25.5%) of the variance in caregiving appraisa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for caregiver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to improve dementia attitud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주, "한국어판 알츠하이머병 지식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간호과학회 45 (45): 107-117, 2015

      2 고일선, "치매지원센터 간호사의 치매지식, 태도, 간호부담감 간의 상관관계" 한국융합학회 8 (8): 67-75, 2017

      3 박아영, "치매전문요양보호사의 치매 지식, 공감 및 치매에 대한 태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89-397, 2018

      4 장윤정, "치매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 비교 : 노인입소시설 케어워커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회 34 (34): 333-348, 2014

      5 이현주,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45-367, 2015

      6 이윤희,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만족도와 관련 요인" 한국노인간호학회 18 (18): 117-127, 2016

      7 황미경, "치매 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전달체계 연구- OECD 국가의 치매위기 대응 사례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4 (14): 57-70, 2018

      8 최정용, "지역사회 치매 조호자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의 연관 인자 연구"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 (19): 24-31, 2015

      9 이혜경,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6 (36): 1373-1384, 2019

      10 김혜진,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인지장애,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 35 (35): 731-743, 2015

      1 김은주, "한국어판 알츠하이머병 지식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간호과학회 45 (45): 107-117, 2015

      2 고일선, "치매지원센터 간호사의 치매지식, 태도, 간호부담감 간의 상관관계" 한국융합학회 8 (8): 67-75, 2017

      3 박아영, "치매전문요양보호사의 치매 지식, 공감 및 치매에 대한 태도"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89-397, 2018

      4 장윤정, "치매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 비교 : 노인입소시설 케어워커를 대상으로" 한국노년학회 34 (34): 333-348, 2014

      5 이현주,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부양부담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소 26 (26): 345-367, 2015

      6 이윤희,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부양만족도와 관련 요인" 한국노인간호학회 18 (18): 117-127, 2016

      7 황미경, "치매 국가책임제 시행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전달체계 연구- OECD 국가의 치매위기 대응 사례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4 (14): 57-70, 2018

      8 최정용, "지역사회 치매 조호자들의 치매에 대한 태도의 연관 인자 연구" 대한노인정신의학회 19 (19): 24-31, 2015

      9 이혜경, "지역사회 내 치매환자가족의 돌봄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6 (36): 1373-1384, 2019

      10 김혜진,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인지장애, 치매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한국노년학회 35 (35): 731-743, 2015

      11 이영휘,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치매 지식, 태도, 자기효능과 예방행위와의 관계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1 (21): 617-627, 2009

      12 김은경, "재가 치매노인 가족 보호자의 부양부담감 관련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31 (31): 351-364, 2019

      13 김경미, "도농복합시 노인의 치매지식, 태도 및 예방활동"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485-492, 2016

      14 이정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보호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성 치매환자 가족의 돌봄평가와 가족기능과의 관계" 한국융합학회 9 (9): 319-330, 2018

      15 Lawton MP, "Two transitions in daughters' caregiving careers" 40 (40): 437-448, 2000

      16 Du L,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on knowledge about Alzheimer's diseas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urs of older Chinese adults in a nursing home : a pilot study" 22 (22): 31-42, 2014

      17 Carpenter BD, "The Alzheimer's disease knowledge scale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49 (49): 236-247, 2009

      18 Black BS, "Study partners perform essential tasks in dementia research and can experience burdens and benefits in this role" 17 (17): 494-514, 2018

      19 Franz F,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41 (41): 1149-1160, 2009

      20 Bergener S, "Relationships among caregiver factors and quality of life in care recipients with irreversible dementia" 16 (16): 88-102, 2002

      21 Kruithof WJ, "Measuring negative and positive caregiving experiences : a psychometric analysis of the caregiver strain index expanded" 29 (29): 1224-1233, 2015

      22 Lawton MP, "Measuring caregiving appraisal" 44 (44): 61-71, 1989

      23 Lee J,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caregiving appraisal scale : a translation and validation study" 59 (59): 407-415, 2007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ction plan 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2017-20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 2017

      25 Kim TH, "Factors related to perceived caregiving appraisal of caregivers with adult brain tumor patients" Yonsei University 2016

      26 Phillipson L, "Correlates of dementia attitudes in a sample of middle aged Australian adults" 33 (33): 158-163, 2014

      27 Kim BK, "Caregiver burden in accordance with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n Alzheimer dementia patients" Chung-Ang Universtiy 2016

      28 Statistics Korea, "2019 Elderly statistics" Statistics Kore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노인간호학회 -> 한국노인간호학회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 1.35 2.509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