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과 졸업생들의 직업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체육교육과가 있는 10개 의 4년제 대학의 95년도 이후 졸업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9816656
서울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학위논문(석사) --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05. 2
2005
한국어
371.3 판사항(4)
서울
ⅳ, 73 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59-6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과 졸업생들의 직업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체육교육과가 있는 10개 의 4년제 대학의 95년도 이후 졸업생...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과 졸업생들의 직업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체육교육과가 있는 10개 의 4년제 대학의 95년도 이후 졸업생들 중 직업이 있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성별로 가나다 순으로 목록을 작성하고 목록의 끝자리수로 표집하는 단순무선표집법을 사용하여 남자123명, 여성 60명으로 총18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직무만족도 설문지로써 하위 변인인 인간관계, 직무관계, 근무환경, 보수, 승진, 지도성의 신뢰도 검사 결과 Cronbach'α는 .6453에서 .8476 사이이며, 직무만족도 설문지 전체의 문항간 신뢰도 Cronbach'α는 .8582로써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육과 졸업생의 직업 종사 여부에 따른 체육 교사 집단, 체육 분야 종사집단, 비체육분야 종사집단간 직무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간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차 발생시 최소 유의 차이법(Least Sinificant Difference: LSD)을 사용하여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와 자료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사 집단과 체육분야 집단과 비체육분야 집단의 인간관계는 세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관계에 대해서는 세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세 집단 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체육 교사집단보다 체육분야 종사집단과 비체육분야 종사집단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승진과 지도성에 대한 만족도는 체육 교사집단보다 체육 분야 종사집단과 비 체육분야 종사집단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체육교사 집단과 체육분야 종사집단과 비체육분야 남성과 여성간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ask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job of graduates at physical education dept.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123 males, 60 females, 183 in total, listing them in the order of Korean alpha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ask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job of graduates at physical education dept.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123 males, 60 females, 183 in total, listing them in the order of Korean alphabet by sex targeting on the graduates that have jobs among the graduates after 1995 of ten 4 year universities which have physical education dept based on Seoul and using simple random sampling that samples by the last figure of the list.
The tool of this study is the task satisfaction question survey paper and the Cronbach'a was between .6453 and .8476 as the result of reliability test of personal relations, task relations, job environment, salary, promotion, and leadership, and reliability Cronbach'a among the total questions of question survey paper in task satisfaction was 3582 and it was shown that the reliability was very high.
For analysis of differences in task satisfaction among engaged group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group, engaged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engage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according to whether the graduates of physical education dept. have jobs, we practiced one-way ANOVA, and for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mong groups, we practiced t-test, and we practiced afterward test using LSD when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Based on the study procedure above and the result of data analysis, the gained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the personal relations of group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group,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were shown to have no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About the task relations, it was shown to have differences among 3 groups. About the satisfaction of job environment, all three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satisfaction of salary, the engaged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the engage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were shown to have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group.
About the satisfaction of leadership, the engaged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the engage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were shown to have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group.
Second, for the task satisfac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of the engaged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the engage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showed to have no differenc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