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9740년대 ‘합쇼체’의 남성어적 성격에 관하여-소설 자료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Hapsyo' level of Korean Honorifics focused on a difference of the gender in 1970's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657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the use of Korean Honorifics in 1970’s novels focused on a difference of the sex of the dialogue participants. The reason why I’m interested in a difference of the sex of the dialogue participants is a cultural distinctiveness ...

      This study is about the use of Korean Honorifics in 1970’s novels focused on a difference of the sex of the dialogue participants. The reason why I’m interested in a difference of the sex of the dialogue participants is a cultural distinctiveness of Korean society in 1970’s. The cause of which the use of Korean Honorifics among female speakers showed dissimilarity from that among male speaker was that the society was the male dominant one which was affected from powerful military regime. We can find meaningful result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ialogues from the novels in 1970’s.
      (1) public relationship area, social status disparity, 합쇼체, male
      (2) public relationship area, social status similarity, 합쇼체, male
      (3) private relationship area, social status disparity, 합쇼체, male
      (4) private relationship area, social status similarity, 합쇼체, male
      (5) private relationship area, social status disparity, 해요체, female
      This results shows that the frequency of 합쇼체 by male speaker is higher in the public relationship area, which was related to the 1970’s situation. It was the time that the value and the principle of the military filtered into the civil area. At that time, professional soldiers advanced into the civil area systematically and most male experienced the duty of defense in the military, which made it easier for military culture to settle in the civil area. The use of 합쇼체 has been expanded in the civil society by most male experienced the military while the social relationship in the military was transferring to the civil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70년대 국어 청자 높임법의 쓰임을 대화 참여자의 성별 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한 글이다. 이 논문에서 1970년대 청자 높임법의 사용 양상과 관련하여 대화 참여자의 성별에 관심을 둔...

      이 글은 1970년대 국어 청자 높임법의 쓰임을 대화 참여자의 성별 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한 글이다. 이 논문에서 1970년대 청자 높임법의 사용 양상과 관련하여 대화 참여자의 성별에 관심을 둔 이유는 1970년대 한국 사회 문화의 특성 때문이다. 강력한 군사 정권의 영향으로 형성된 민간 사회의 군사 문화는 남성 중심적일 수밖에 없었으며, 따라서 공적 사회 영역에서 남성이 주도하는 국어 청자 높임법의 사용 양상이 여성의 그것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1970년대 소설 작품의 대화 지문을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의미있는 차이를 발견하였다.
      (1) 공적 관계영역, 지위차이 있음, [+높임], 합쇼체, 남성
      (2) 공적 관계영역, 지위차이 비슷함, [+높임], 합쇼체, 남성
      (3) 사적 관계영역, 지위차이 있음, [+높임], 합쇼체, 남성
      (4) 사적 관계영역, 지위차이 비슷함, [+높임], 합쇼체, 남성
      (5) 사적 관계영역, 지위차이 있음, [+높임], 해요체, 여성
      이와 같이 남성 화자의 합쇼체 사용빈도가 공적 관계영역에서 지위 차이가 있는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나는 이유를 우리는 1970년대의 시대 상황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1970년대는 군대의 가치와 원리가 병영을 벗어나 민간사회에 침투한 시기였기 때문이다. 당시 군사문화가 민간사회에 정착할 수 있었던 이유는 직업 군인들이 병영을 벗어나 사회로 조직적으로 진출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일반 남성들의 군 경험 또한 군사문화가 민간 사회에 정착하는데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특수 조직인 군대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민간 사회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이 관계를 표현하는 합쇼체는 군을 경험한 남성들에 의해 사회적으로 확대 사용되게 된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고영근, "현대국어의 존비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66-91, 1974

      2 김혜숙, "현대국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태학사 1991

      3 성기철, "현대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 1985

      4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992

      5 이맹성, "한국어 종결어미와 대인관계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33 : 263-288, 1975

      6 이경우, "최근세 국어에 나타난 경어법 연구" 이대 대학원 1990

      7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문화사 1984

      8 이정복, "제3자 경어법 사용에 나타난 참여자 효과 연구" 24 : 353-384, 1994ㄱ

      9 Trudgill,P., "사회언어학개론" 형설출판사 1985

      10 Wardaugh,R., "사회언어학" 한신문화사 1994

      1 고영근, "현대국어의 존비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10 (10): 66-91, 1974

      2 김혜숙, "현대국어의 사회언어학적 연구" 태학사 1991

      3 성기철, "현대국어 대우법 연구" 개문사 1985

      4 권재일, "한국어 통사론" 민음사 1992

      5 이맹성, "한국어 종결어미와 대인관계요소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33 : 263-288, 1975

      6 이경우, "최근세 국어에 나타난 경어법 연구" 이대 대학원 1990

      7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문화사 1984

      8 이정복, "제3자 경어법 사용에 나타난 참여자 효과 연구" 24 : 353-384, 1994ㄱ

      9 Trudgill,P., "사회언어학개론" 형설출판사 1985

      10 Wardaugh,R., "사회언어학" 한신문화사 1994

      11 이기갑, "대우법 개념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5 (5): 645-669, 1997

      12 김석득, "국어의 존대의 같은 주고 받음(Reciprocal Use)과 다른 주고 받음(Non-Reciprocal Use)에 대하여" 2 (2): 41-55, 1977ㄱ

      13 왕한석, "국어 청자존대어 체계의 기술을 위한 방법론적 검토" 서울대 어학연구소 22 (22): 351-373, 1986

      14 김정호, "국어 청자 높임의 변화에 관한사회언어학적 연구" 한말연구학회 16 (16): 43-74, 2005

      15 남기심, "국어 존대법의 기능" 인문학연구원 45 : 1-17, 1981

      16 이익섭, "국어 경어법의 체계화 문제" 국어학회 2 : 39-64, 1985

      17 이정복, "국어 경어법의 말 단계 변동 현상" 한국사회언어학회 4 (4): 51-81, 1996

      18 이정복, "국어 경어법 사용의 전략적 특성" 서울대 1998

      19 이정복, "계급 집단의 경어법 사용에 대한 분석" 한국사회언어학회 2 : 193-240, 1994ㄴ

      20 Labov, W, "The social motivation of a sound change"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1963

      21 Sankoff,G., "The Social Life of Language" University of Pensylvania Press 1980

      22 Brown,P.& S.Levinson, "Politeness: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Press. 1987

      23 Mead,G.H., "Mind, Self & Socie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2

      24 Lakoff,R., "Language and Woman’s Place" New York: Octagon Books 1975

      25 Milroy,L., "Language and Social Networks(2nd ed.)" Oxford: Blackwell 1987

      26 Holmes,J., "An Introduction to Sociolinguistics" Longman Newyork 1992

      27 김정호, "20세기 전후반기 국어청자높임법의 비교 연구" 건국대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8 1.05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