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지용 후기시의 장소성 = Significance of Places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67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의 특성과 시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정지용의 후기 시에 대해선 공간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져 왔다. 공간 개념에 의한 시 분석은 대개 외부적 관점을 통해 공간을 대상화하게 되고 주로 수직성, 초월성, 상승 지향성 등에 주목하게 된다. 반면 장소 개념에 의한 시 분석은 장소 안에서의 내부적 관점에 의해 주체 중심의 실존성, 유기성 등에 보다 주목하게 되는 차이를 드러낸다. 이러한 장소 개념에 의한 관점을 통해 본고는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 경험과 그로 인해 형성되는 의식을 살펴보았다. 장소에 대한 경험은 곧 장소에 대한 의식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형성된 의식은 친밀감, 유대감, 그리고 장소의 정체성에 의해 드러나는 적막함, 고요함, 탈속성, 안정성, 밀착성 등이다. 또한 장소를 이동하는 가운데 시적 의식이 축적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정지용의 후기 시 「白鹿潭」에서는 장소와 동일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주체가 해체되고 새롭게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모두 장소에 대한 애착과 구체적인 장소의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장소는 시의 주체에게 영향을 주며, 또한 시의 주체 역시 장소를 경험함으로써 상호 교감을 이루게 된다. 새롭게 발견된 시적 주체는 당시 조선의 특정 장소의 장소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동시에 장소성을 알려주고 있다. 이러한 점이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성이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의 특성과 시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정지용의 후기 시에 대해선 공간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져 왔다. 공간 개념에 의한 시 분석은 대개 외부적...

      본 연구는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의 특성과 시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정지용의 후기 시에 대해선 공간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져 왔다. 공간 개념에 의한 시 분석은 대개 외부적 관점을 통해 공간을 대상화하게 되고 주로 수직성, 초월성, 상승 지향성 등에 주목하게 된다. 반면 장소 개념에 의한 시 분석은 장소 안에서의 내부적 관점에 의해 주체 중심의 실존성, 유기성 등에 보다 주목하게 되는 차이를 드러낸다. 이러한 장소 개념에 의한 관점을 통해 본고는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 경험과 그로 인해 형성되는 의식을 살펴보았다. 장소에 대한 경험은 곧 장소에 대한 의식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형성된 의식은 친밀감, 유대감, 그리고 장소의 정체성에 의해 드러나는 적막함, 고요함, 탈속성, 안정성, 밀착성 등이다. 또한 장소를 이동하는 가운데 시적 의식이 축적되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정지용의 후기 시 「白鹿潭」에서는 장소와 동일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주체가 해체되고 새롭게 발견되기도 한다. 이는 모두 장소에 대한 애착과 구체적인 장소의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장소는 시의 주체에게 영향을 주며, 또한 시의 주체 역시 장소를 경험함으로써 상호 교감을 이루게 된다. 새롭게 발견된 시적 주체는 당시 조선의 특정 장소의 장소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동시에 장소성을 알려주고 있다. 이러한 점이 정지용의 후기 시에 나타난 장소성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oetic significance of places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For Jeong, Ji-yong`s later poems, especially space like ``mountains`` have been frequently studied. Analysis on space concept objectifies a space mostly from outside perspective, focusing on vertical, transcendent and upward nature. Analysis on place concept however takes internal perspective in the place focusing on existential and organic n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 of a place and the senses formed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in terms of the place concept. Experience of a place forms a sense of a place; the formed sense includes familiarity, bond, silence, stillness, unworldliness, stability and adherence. Also the poetic sense seems to be accumulated as mov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Jeong, Ji-yong`s later poem 「白鹿潭」 deconstruct and discover the subjects which are being identified with place. Deconstruction and discovery are done through attachment to places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laces. Places affect the subjects of poems which also experience the places to have mutual communication. Newly discovered poetic subjects reflect and suggest the significance of specific places in Chosun at the time.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places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oetic significance of places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For Jeong, Ji-yong`s later poems, especially space like ``mountains`` have been frequently studied. Analysis on space concept objectifies a spac...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poetic significance of places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For Jeong, Ji-yong`s later poems, especially space like ``mountains`` have been frequently studied. Analysis on space concept objectifies a space mostly from outside perspective, focusing on vertical, transcendent and upward nature. Analysis on place concept however takes internal perspective in the place focusing on existential and organic nature.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 of a place and the senses formed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in terms of the place concept. Experience of a place forms a sense of a place; the formed sense includes familiarity, bond, silence, stillness, unworldliness, stability and adherence. Also the poetic sense seems to be accumulated as mov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Jeong, Ji-yong`s later poem 「白鹿潭」 deconstruct and discover the subjects which are being identified with place. Deconstruction and discovery are done through attachment to places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laces. Places affect the subjects of poems which also experience the places to have mutual communication. Newly discovered poetic subjects reflect and suggest the significance of specific places in Chosun at the time. This indicates the significance of places in Jeong, Ji-yong`s later poem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ant, Immanuel,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2 오탁번, "지용시의 심상의 의미와 특성, In 정지용" 새미 1996

      3 윤효녕, "주체 개념의 비판―데리다, 라캉, 알튀세, 푸코" 서울대출판부 1999

      4 금동철, "정지용의 시 「백록담」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 우리말글학회 45 : 153-176, 2009

      5 최동호, "정지용의 長壽山과 白鹿潭, In 정지용" 새미 1996

      6 김학동, "정지용연구" 민음사 1997

      7 이상오, "정지용 후기 시의 시간과 공간" 한국문학연구학회 (26) : 443-475, 2005

      8 최승호, "정지용 자연시에 나타난 정(情)․경(景)에 대한 고찰" 한국현대문학회 4 : 1995

      9 이숭원, "정지용 시의 심층적 탐구" 태학사 1999

      10 김윤정, "정지용 시의 공간지향성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47) : 385-412, 2005

      1 Kant, Immanuel, "판단력 비판" 아카넷 2009

      2 오탁번, "지용시의 심상의 의미와 특성, In 정지용" 새미 1996

      3 윤효녕, "주체 개념의 비판―데리다, 라캉, 알튀세, 푸코" 서울대출판부 1999

      4 금동철, "정지용의 시 「백록담」에 나타난 자연의 의미" 우리말글학회 45 : 153-176, 2009

      5 최동호, "정지용의 長壽山과 白鹿潭, In 정지용" 새미 1996

      6 김학동, "정지용연구" 민음사 1997

      7 이상오, "정지용 후기 시의 시간과 공간" 한국문학연구학회 (26) : 443-475, 2005

      8 최승호, "정지용 자연시에 나타난 정(情)․경(景)에 대한 고찰" 한국현대문학회 4 : 1995

      9 이숭원, "정지용 시의 심층적 탐구" 태학사 1999

      10 김윤정, "정지용 시의 공간지향성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47) : 385-412, 2005

      11 김종태, "정지용 시의 공간과 죽음" 월인 2002

      12 김용희, "정지용 시에서 자연의 미적 전유" 한국문학연구학회 (22) : 360-389, 2004

      13 박주택, "정지용 시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 한국시학회 (30) : 113-144, 2011

      14 김종태, "정지용 『백록담』의 공간 의식"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0) : 195-220, 2002

      15 Relph, Edward,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05

      16 박진숙, "식민지 근대의 심상지리와 {문장}과 기행문학의 조선표상" 민족문학사학회 (31) : 64-93, 2006

      17 Bergson, Henri, "사유와 운동" 문예출판사 1993

      18 Badiou, Alain, "비미학" 이학사 2010

      19 구동회, "공간과 장소" 대윤 1995

      20 장회익, "공간, In 우리말 철학사전 3―감각․근대․개인" 지식산업사 2003

      21 이숭원, "20세기 한국시인론" 국학자료원 1997

      22 이명찬, "1930년대 한국시의 근대성" 소명출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