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색채, 구도, 장면 크기, 의인체 등을 통한 시각적 은유화에 의한 그림책 인물 성장 = Visual Metaphors for Characters’ Growth in Picture Books: Color, Composition, Scene Size, and Personif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93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그림책에 나타난 작중인물의 자기인식의 확장과 타자와의 소통을 통한 성장에 초점을 두어 그림의 서사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그림 구도나 색채의 대비, 장면 크기나 의인체 변화 등이 인물의 상황이나 심리 변화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기능에 대한 이해는 그림책이 작중인물의 성장을 다른 장르와는 다른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됨을 밝혔다. 논의 과정에서 다룬 《위대한 뭉치》, 《여덟 살 혼자 떠나는 여행》, 《숲 속에서》 등은 그림 구도의 변화나 장면 크기의 변화 등을 통해 작중인물의 자기 인식의 확장과 성장의 계기 마련을 효과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까만 아기 양》, 《그래도 넌 내 짝꿍》등은 주인공과 타자의 소통, 그리고 문화다양성을 지닌 존재에 대한 존중의 태도 등을 색채의 대비나 변화를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아랫집 윗집 사이에》와 《말하는 소나무》도 밝음과 어두움, 색감과 의인체 대비 등을 통해 주인공과 다른 인물들의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그림책에 나타난 작중인물의 자기인식의 확장과 타자와의 소통을 통한 성장에 초점을 두어 그림의 서사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그림 구도나 색채의 대비, 장면 크기나 의...

      이 글은 그림책에 나타난 작중인물의 자기인식의 확장과 타자와의 소통을 통한 성장에 초점을 두어 그림의 서사적 기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그림 구도나 색채의 대비, 장면 크기나 의인체 변화 등이 인물의 상황이나 심리 변화를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기능에 대한 이해는 그림책이 작중인물의 성장을 다른 장르와는 다른 방법으로 구현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됨을 밝혔다. 논의 과정에서 다룬 《위대한 뭉치》, 《여덟 살 혼자 떠나는 여행》, 《숲 속에서》 등은 그림 구도의 변화나 장면 크기의 변화 등을 통해 작중인물의 자기 인식의 확장과 성장의 계기 마련을 효과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까만 아기 양》, 《그래도 넌 내 짝꿍》등은 주인공과 타자의 소통, 그리고 문화다양성을 지닌 존재에 대한 존중의 태도 등을 색채의 대비나 변화를 통해 잘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아랫집 윗집 사이에》와 《말하는 소나무》도 밝음과 어두움, 색감과 의인체 대비 등을 통해 주인공과 다른 인물들의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looked at the narrative functions of picture by focusing on the characters’ ‘adventure/travel self-understanding’ and ‘extension of lif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in picture books. In particular, this study shows that contrasts in composition and color as well as changes in scene size and personification function as mediators that effectively reveal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characters in picture books. Understanding these functions helps readers to identify the growth of the characters. 《Great bunch》, 《Eight-year-old traveling alone》, and 《In the forest》use changes of composition and scene size to indicate are the expansion of self-awareness and the chance for growth experienced by the characters in adventure or travel 《Black Baby Sheep》 and 《You re My Puppy》 use color contrasts or changes to show the heroine’s overcoming the alienation from the other, and becoming respectful to those with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Between the herbivorous house》 and 《Talking pine tree》 shows the communication and consensus formation of the hero and other characters through the lightness, the darkness, the contrast between color and personific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looked at the narrative functions of picture by focusing on the characters’ ‘adventure/travel self-understanding’ and ‘extension of lif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in picture books. In particular, this study shows that ...

      This paper looked at the narrative functions of picture by focusing on the characters’ ‘adventure/travel self-understanding’ and ‘extension of life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in picture books. In particular, this study shows that contrasts in composition and color as well as changes in scene size and personification function as mediators that effectively reveal situations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characters in picture books. Understanding these functions helps readers to identify the growth of the characters. 《Great bunch》, 《Eight-year-old traveling alone》, and 《In the forest》use changes of composition and scene size to indicate are the expansion of self-awareness and the chance for growth experienced by the characters in adventure or travel 《Black Baby Sheep》 and 《You re My Puppy》 use color contrasts or changes to show the heroine’s overcoming the alienation from the other, and becoming respectful to those with cultural diversity. In addition, 《Between the herbivorous house》 and 《Talking pine tree》 shows the communication and consensus formation of the hero and other characters through the lightness, the darkness, the contrast between color and personifi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구도 대비나 장면 크기 변화를 통한 자기인식의 확장 제시 Ⅲ. 색채 대비와 의인체 변화를 통한 타자와의 공감대 형성 제시 Ⅳ. 맺음말
      • Ⅰ. 머리말 Ⅱ. 구도 대비나 장면 크기 변화를 통한 자기인식의 확장 제시 Ⅲ. 색채 대비와 의인체 변화를 통한 타자와의 공감대 형성 제시 Ⅳ.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선주원, "환상적 공간을 통한 가족 서사의 재구성: 2000년대 성장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35) : 145-171, 2015

      2 지은주,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의 성장 - 인물 유형과 퀘스트 모티프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25-145, 2010

      3 장지혜, "타자성과 정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통일 시대 국어교육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55) : 107-130, 2016

      4 고경숙, "위대한 뭉치" 재미마주 2014

      5 우 니엔쩐, "여덟 살 혼자 떠나는 여행" 베틀북 2004

      6 최명숙, "아랫집 윗집 사이에" 고래뱃속 2014

      7 신헌재, "아동문학과 교육" 박이정 2007

      8 엠마누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8

      9 클레어 A. 니볼라, "숲 속에서" 비룡소 2004

      10 허병식, "성장의 서사와 글쓰기의 소명" 1 : 107-122, 2007

      1 선주원, "환상적 공간을 통한 가족 서사의 재구성: 2000년대 성장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독서학회 (35) : 145-171, 2015

      2 지은주, "한국 전래동화 그림책에 나타난 아이의 성장 - 인물 유형과 퀘스트 모티프를 중심으로 -"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25-145, 2010

      3 장지혜, "타자성과 정체성 개념을 중심으로 한통일 시대 국어교육의 방향" 한국어교육학회 (155) : 107-130, 2016

      4 고경숙, "위대한 뭉치" 재미마주 2014

      5 우 니엔쩐, "여덟 살 혼자 떠나는 여행" 베틀북 2004

      6 최명숙, "아랫집 윗집 사이에" 고래뱃속 2014

      7 신헌재, "아동문학과 교육" 박이정 2007

      8 엠마누엘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8

      9 클레어 A. 니볼라, "숲 속에서" 비룡소 2004

      10 허병식, "성장의 서사와 글쓰기의 소명" 1 : 107-122, 2007

      11 고희선, "말하는 소나무" 나한기획 2011

      12 엘리자베스 쇼, "까만 아기 양" 푸른그림책 2013

      13 마틴 솔즈베리, "그림책의 모든 것" (주)시공사 2012

      14 홍승연, "그림책〈지각대장 존〉의 의미구조에 관한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367-379, 2013

      15 아오키 히로에, "그래도 넌 내 짝궁" 아이세움 2008

      16 남지현, "권윤덕 그림책의 서사 양상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1-20, 2016

      17 선주원, "국제이해교육 자료로서 다문화 그림동화가 갖는 의의와 상호문화적 감수성 증진"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11 (11): 65-96,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