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대입정책 결정을 교육부는 국가교육회의로, 국가교육회의는 대입특위와 공론위로, 결국 국민에게 떠넘겼다. 객관식 수능이 가장 공정하다는 입장과 학종이 교육적으로 더 타당하다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525242
2018
-
300
학술저널
77-92(1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22년 대입정책 결정을 교육부는 국가교육회의로, 국가교육회의는 대입특위와 공론위로, 결국 국민에게 떠넘겼다. 객관식 수능이 가장 공정하다는 입장과 학종이 교육적으로 더 타당하다는...
2022년 대입정책 결정을 교육부는 국가교육회의로, 국가교육회의는 대입특위와 공론위로, 결국 국민에게 떠넘겼다. 객관식 수능이 가장 공정하다는 입장과 학종이 교육적으로 더 타당하다는 입장 간의 갈등이 연일 보도된다. 승자 없는 싸움이 될 것이다. 객관식 상대평가 수능으로는 미래가 없기 때문에 아무리 공정해도 이길 수 없다. 학종은 더 타당하더라도 중하위권에게 사실상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현 상태로는 공정 명분을 이길 수 없다. 양쪽 다 치명적인 단점이 있기 때문에 소모적인 논쟁만 하다가 획기적인 변화 없이 마무리될 것이다. 누가 이기든 현재의 평가 내용이 패러다임적으로 변하지 않는 한 어차피 길러지는 능력은 같을 것이고 그리하여 4차산업혁명 대비할 역량을 기를 수 없는 것은 동일할 것이다. 2022년 이후는 또 어떻게 할 것인가? 답도 없는 이 싸움을 매년 공론에 붙일 것인가? 대입제도는 무엇을 얼만큼 반영하는지의 비율에 따라 유불리가 달라지는 학생이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아예 교육의 방향 자체가 틀렸으면, 그 교육체제에서 성공한 집단도 이 시대에 더 이상 성공이 아니라면, 논의는 완전히 다른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우리 아이들과 사회의 ‘미래’를 위해 우리 교육이 어디로 가야 하는지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해외 선진국의 대학입학시험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특히 우리와 유사한 객관식 집어넣는 교육 패러다임이던 일본이 최근 어떻게 교육혁명을 진행하고 있는지 살펴본 후, 한국 공교육과 학교상담에의 시사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