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의 대표작/ 피맺힌 분단비극을 고발한 <비무장지대>」. 제4권 2호 통권 36호, 서울: 영화예술사에 게재된 박상호의 글"
2 강준만, "희생양과죄의식: 대한민국 반공의 역사" 개마고원 2004
3 김권호, "한국전쟁영화의 발전과 특징-한국전쟁에서 배트남 전쟁까지-" 역사문화학회 9 (9): 77-108, 2006
4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0
5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를 말한다" 이채 2004
6 김정한,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7 김정한,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8 Sontag, Susan, "타인의 고통" 이후 2004
9 강유정, "전쟁이라는 소재와 낭만적 이상화" 5 (5): 2005
10 김동춘, "전쟁과 사회-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돌베개 2006
1 "「나의 대표작/ 피맺힌 분단비극을 고발한 <비무장지대>」. 제4권 2호 통권 36호, 서울: 영화예술사에 게재된 박상호의 글"
2 강준만, "희생양과죄의식: 대한민국 반공의 역사" 개마고원 2004
3 김권호, "한국전쟁영화의 발전과 특징-한국전쟁에서 배트남 전쟁까지-" 역사문화학회 9 (9): 77-108, 2006
4 이영일, "한국영화전사" 소도 2000
5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를 말한다" 이채 2004
6 김정한,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7 김정한, "폭력의 세기" 이후 1999
8 Sontag, Susan, "타인의 고통" 이후 2004
9 강유정, "전쟁이라는 소재와 낭만적 이상화" 5 (5): 2005
10 김동춘, "전쟁과 사회-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돌베개 2006
11 이영일, "이영일의 한국영화사 강의록" 소도 2002
12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6" 영상자료원 2007
13 한국영화사연구소,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5" 영상자료원 2007
14 노명우, "새로운 기억관리 방식, In 문화과학" 문화과학사 2004
15 Foucault, Michel, "사회를보호해야 한다" 동문선 1998
16 조희연,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 : 5⋅16에서 10⋅26까지" 역사비평사 2007
17 박지연, "박정희 근대화 체제의 영화정책: 영화법 개정과 기업화 정책을 중심으로, In 한국영화와 근대성: <자유부인>에서 <안개까지>" 소도 2002
18 허은,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 냉전시대(1945-1965) 문화적 경계의 구축과 균열의 동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8
19 Nichols, Bill, "다큐멘터리입문" 한울 2005
20 호세다비드, "냉전아시아의 문화풍경2: 1960-1970년대" 현실문화연구 2009
21 石川捷治, "끝나지 않은 20세기" 역사비평사 2008
22 강인철, "근대를 다시 읽는다 1권" 역사비평사 2006
23 "“혁명과업협조/ 극장문화단체 성명서를 전달” 기사"
24 변재란, "‘노동’을 통한 근대적 여성주체의 구성: <쌀>과 <또순이>를 중심으로, In 한국영화와 근대성" 소도 2001
25 "[이 주일의 영화]란, “높이 평가될 작가정신 <비무장지대>” 기사"
26 "[영화평]란, “민족의 비극을 다룬 문제작 <비무장지대>” 기사"
27 "[영화단평]란, “우화적으로 다룬 분단 비극 <비무장지대>” 기사"
28 "[연예화제]란, “분단의 비극을 스크린에” 기사"
29 "[연예수첩]란, “비무장지대서 로케숀” 기사"
30 "[연예살롱]란, “냉대받는 비(非)극영화, 각계에 색다른 호소문까지” 기사"
31 "[연예계 화제]란, “상 타고 우는 비무장 지대/ 비 (非)극영화라 쿼터 놓쳐” 기사"
32 "[로비에서]란, “비(非)극영화 육성책을/<비무장지대>의 경우” 기사"
33 Shaw, Tony, "The Russians Are Coming The Russians Are Coming(1966): Reconsidering Hollywood’s Cold War ‘Turn’ of the 1960s" 22 : 2010
34 Berlant, Lauren, "The Queen of America Goes to Washington City: Essay on Sex and Citizenship" Duke University Press 1997
35 Shaw, Tony, "The Politics of Cold War Culture" 3 (3): 2001
36 Cull, Nicholas J., "The Cold War and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Agency: American Propaganda and Public Diplomacy, 1945-198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7 Sorlin, Pierre, "The Cinema: American Weapon for the Cold War" 10 : 1998
38 Diffrient, David Scott, "Military Enlightenment for the Masses: Genre and Cultural Intermixing in South Korea’s Golden Age War Films" 45 (45): 2005
39 Dannenberg, Hilary, "Invasion Narratives and the Cold War in the 1950s American Science-Fiction film, In Between Fear and Freedom: Cultural Representations of the Cold War"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0
40 Turner, Graeme, "Film as Social Practice" Routledge 1988
41 Peters, John Durham, "Courting the Abyss : Free Speech and the Liberal Tradition" University of Chicago 2005
42 Isaac, Jeremy, "Cold War" Bantam Press 1998
43 한국영상자료원, "<영화인 다큐멘터리 박상호 편> 비디오 자료"
44 장우진, "<비무장지대>(1965)의 장르 전환과 정책 -1965~66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한국영화학회 (40) : 181-210, 2009
45 장우진, "1960년대 남북한 정권의 정통성과 영화" 한국영화학회 (30) : 289-322, 2006
46 조준형, "(소품으로 본 한국영화사)근대의 풍경" 소도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