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취업규칙 불이익변경과 근로계약의 효력 (대상판결: 대법원 2019. 11. 14 선고 2018두200709 판결) = Change employment rules to disadvantages and effect of employment contrac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arget ruling would be a ruling that recognized the principle of preferential treatment of favorable conditions because it would not be effective if individual workers did not agree to the disadvantage of the employment rule with the consent of a ...

      The target ruling would be a ruling that recognized the principle of preferential treatment of favorable conditions because it would not be effective if individual workers did not agree to the disadvantage of the employment rule with the consent of a majority of workers and would still be applied. And the target ruling may be partially acceptable in terms of protecting the favorable labor contracts of individual work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a conclusion because the target ruling has quite a number of legal problems as discussed earlier.
      In terms of labor-management autonomy, labor unions can not only sign unfavorable collective agreements, but also change unfavorable employment rules. That is because such labor union authority is also possible by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on.
      If the actual law recognizes collective consent as a requirement for the change in disadvantages of employment rules, the effect of excluding sub-standard should be recognized if the requirement is duly met. Nevertheless, the ruling became a problem by forming a new law that excludes the application of employment rules that have been effective by collective consent unless individual workers agree.
      However, the ruling does not make sense as it overlooks the fundamental problems that may arise in the reality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as follows. That is, first, if individual workers agree and disagree after the change of disadvantage in employment rules, what does the proviso to Article 94 paragraph 1 of the Labor Standards Act mean, and in the end, individual workers should not agree on the change in disadvantages in employment rules ex post facto? Second, if individual agreements are first, employers will be able to determine their working conditions through consensus with the majority of workers, particularly individual workers, rather than proceeding with collective agreement procedures through trade unions, which in turn will dampen the activities of trade unions that are the determinants of collective working conditions and represent the entire workforce, and ultimately could be exploited as a means to infringe upon the constitutionally guaranteed three working rights. Third, the principle of determining equal working conditions (Article 4 of the Basis Act) cannot be applied to the contract principle under the pure bond law because it is a general principle of the Labor Standards Act to realize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freedom and equality’ under the premise of ‘subsidiary labor’, which is the special nature of working relations, and ‘determination of labor by othe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土田道夫, "勞動契約法" 有斐閣 2008

      2 土田道夫, "勞働協約就業規則と勞働者の義務" (166) : 1993

      3 방준식,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과 근로계약의 효력: 대법원 임금피크제 판결에 관하여" 중앙경제사 2020

      4 김형배,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과 근로계약의 유리한 규정"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9) : 1-20, 2020

      5 이정,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과 유리성의 원칙" 중앙경제사 2020

      6 최홍엽,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과 기존 근로계약 ― 대법원 2018다200709 판결의 비판적 검토 ―" 한국노동법학회 (73) : 203-234, 2020

      7 임종률, "취업규칙의 법적 성질과 효력" 전북대 법학연구소 (12) : 1985

      8 방준식, "취업규칙의 내용통제에 관한 법이론적 검토" 한양법학회 23 (23): 99-119, 2012

      9 이준희, "취업규칙과 근로계약의 효력상 우열관계 — 대법원 2019. 11. 14 선고 2018다200709 판결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48 : 383-419, 2020

      10 신권철, "취업규칙과 근로계약의 관계 ― 취업규칙 불이익변경 판례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48) : 35-73, 2020

      1 土田道夫, "勞動契約法" 有斐閣 2008

      2 土田道夫, "勞働協約就業規則と勞働者の義務" (166) : 1993

      3 방준식,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과 근로계약의 효력: 대법원 임금피크제 판결에 관하여" 중앙경제사 2020

      4 김형배, "취업규칙의 불이익변경과 근로계약의 유리한 규정"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9) : 1-20, 2020

      5 이정,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과 유리성의 원칙" 중앙경제사 2020

      6 최홍엽, "취업규칙의 불이익 변경과 기존 근로계약 ― 대법원 2018다200709 판결의 비판적 검토 ―" 한국노동법학회 (73) : 203-234, 2020

      7 임종률, "취업규칙의 법적 성질과 효력" 전북대 법학연구소 (12) : 1985

      8 방준식, "취업규칙의 내용통제에 관한 법이론적 검토" 한양법학회 23 (23): 99-119, 2012

      9 이준희, "취업규칙과 근로계약의 효력상 우열관계 — 대법원 2019. 11. 14 선고 2018다200709 판결을 중심으로 —" 한국비교노동법학회 48 : 383-419, 2020

      10 신권철, "취업규칙과 근로계약의 관계 ― 취업규칙 불이익변경 판례를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48) : 35-73, 2020

      11 박종희, "취업규칙과 근로계약간의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과 근로조건의 집단적 결정 법리와의 관계" 안암법학회 (56) : 251-281, 2018

      12 김기선, "취업규칙 불이익 변경과 근로계약 - 대상판결: 대법원 2019. 11. 14. 선고 2018다200709 판결"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9) : 21-41, 2020

      13 박효숙, "일본의 취업규칙에 의한 근로조건의 불이익변경 법리― 한국과 일본의 비교법적 관점에서 ―" 한국노동법학회 (50) : 67-105, 2014

      14 박종희, "유리한 조건 우선의 원칙에 대한 법이론적 검토와 체계상 재구성 시론" (8) : 1998

      15 최병규, "약관규제법상 개별약정 우선의 원칙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법학회 10 (10): 209-235, 2011

      16 방준식, "사용자 지시권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7 박귀천, "불이익하게 변경된 취업규칙보다 우선하여 적용되는 유리한 근로계약" 중앙경제사 2020

      18 유성재, "불이익 변경된 취업규칙과 유리한 근로계약의 효력" 한국비교노동법학회 48 : 115-141, 2020

      19 김형배, "독일 채권법의 현대화" 법문사 2002

      20 강희원, "노동판례백선" 박영사 2014

      21 김기선, "노동법에 있어서 약관규제_독일의 논의와 시사점을 중심으로"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8) : 1-27, 2019

      22 방준식,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관계 - 양 법체계와 관련된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48 (48): 279-298, 2008

      23 임종률, "노동법" 박영사 2020

      24 김형배, "노동법" 박영사 2018

      25 노상헌, "근로계약과 사적 자치의 재검토" 노동법이론실무학회 (29) : 73-99, 2020

      26 荒木尙志, "詳說勞動契約法" 弘文堂 2008

      27 山本陽大, "就業規則の不利益變更と勞動者による個別同意との關係性" (229) : 2010

      28 下井隆史, "就業規則の法的性質" 總合勞働硏究所 10 : 1982

      29 Franz Säcker, "Gruppenautonomie und Übermachtkontrolle im Arbeitsrecht" 1972

      30 Kurt Biedenkopf, "Grenzen der Tarifautonomie" 196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9-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0.9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9 0.82 1.52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