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는 한국과 중국 간에 분쟁중인 간도지역이 광활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본이 취할 수 있는 `동부 동간도`을 정했다. 일제의 `동부 동간도` 침략의 명분은 중국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는 한국과 중국 간에 분쟁중인 간도지역이 광활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본이 취할 수 있는 `동부 동간도`을 정했다. 일제의 `동부 동간도` 침략의 명분은 중국이...
일제는 한국과 중국 간에 분쟁중인 간도지역이 광활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본이 취할 수 있는 `동부 동간도`을 정했다. 일제의 `동부 동간도` 침략의 명분은 중국이 먼저 `서간도`를 취했기 때문에 한국은 `동간도`를 가지는 것이 국제법적으로 공평하다는 것이었다. `동간도`에 한인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조선인을 관리하는 행정관청을 설치하였다. 조선인들 중에는 일진회를 제외하고 대부분 일제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강탈하고 한국의 국권을 모두 빼앗으려하고 있었기 때문에 `동부 동간도`지역에 통감부 파출소가 행정적으로 관할하는 것을 거부했다. 결국 일본은 절대로 `동간도` 지역을 양보하지 않겠다는 중국의 단호한 태도를 확인하고, 일본은 그 해결방안의 일환으로 중국과 `간도협약`을 체결하여 만주지역에서 미래 만주침략의 발판으로 삼기 위해서 필요한 철도부설권 등의 일본에 유리한 권익을 요구하는 대신에 간도의 영유권을 중국에 인정했던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an dispatched Japanese military and Korean police to take the area in the `east of Gondo`. Japan claimed them entered to protect the Koreans in `east of Gondo`. However, the Qing Empire District official did not acknowledge one`s teeth. Dispute has...
Japan dispatched Japanese military and Korean police to take the area in the `east of Gondo`. Japan claimed them entered to protect the Koreans in `east of Gondo`. However, the Qing Empire District official did not acknowledge one`s teeth. Dispute has arisen between local management of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and Chinese local soldiers in the east of Gondo. The Japanese government wanted to peacefully negotiate with the Chinese government. Japan demanded the `east of Gondo` from the Qing Empire. But actually didn`t give up the Qing Empire of `east of Gondo` area. Because the `east of Gondo` area was the ancestral home in China. Japan`s goal has failed. The Japanese military and policeman governed Korean in the `east of Gond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일걸, "한말이후의 북방영토문제, in 한국사의 전계과정과 영토" 국사편찬위원회 293-312, 2002
2 盧啓鉉, "증보 조선의 영토" 지식의 날개 24-47, 1997
3 양태진, "우리나라의 영토이야기" 대륙연구소출판부 112-128, 1994
4 모리야마 시게노리, "근대한일관계사연구" 현음사 241-262, 1994
5 李漢基, "韓國의 領土" 서울대학교출판부 309-351, 1969
6 백산학회, "韓國의 北方領土" 백산자료원 42-156, 1998
7 梁泰鎭, "韓國國境史硏究" 法經出版社 61-130, 1992
8 최장근, "韓中國境問題硏究-일본의영토정책사적고찰-" 백산자료원 33-403, 1998
9 陸洛現, "間島領有權關係史料集2" 백산자료원 428-439, 1993
10 篠田治策, "間島問題の回顧, 白頭山定界碑" 楽浪書院 287-342, 1936
1 이일걸, "한말이후의 북방영토문제, in 한국사의 전계과정과 영토" 국사편찬위원회 293-312, 2002
2 盧啓鉉, "증보 조선의 영토" 지식의 날개 24-47, 1997
3 양태진, "우리나라의 영토이야기" 대륙연구소출판부 112-128, 1994
4 모리야마 시게노리, "근대한일관계사연구" 현음사 241-262, 1994
5 李漢基, "韓國의 領土" 서울대학교출판부 309-351, 1969
6 백산학회, "韓國의 北方領土" 백산자료원 42-156, 1998
7 梁泰鎭, "韓國國境史硏究" 法經出版社 61-130, 1992
8 최장근, "韓中國境問題硏究-일본의영토정책사적고찰-" 백산자료원 33-403, 1998
9 陸洛現, "間島領有權關係史料集2" 백산자료원 428-439, 1993
10 篠田治策, "間島問題の回顧, 白頭山定界碑" 楽浪書院 287-342, 1936
11 小峯和夫, "滿洲 -起源, 植民, 覇權-" お茶の水書房 279-288, 1992
12 姜昌錫, "朝鮮統監府硏究" 國學資料院 131-235, 1995
13 朝鮮總督府, "朝鮮統治史料(3) 間島問題" 856-, 1907
14 鈴木隆史, "帝國主義と滿洲1900-1945(上)" 槁書房 190-200, 1991
15 林権助述, "わが七十年を語る(下)" 第一書房 233-238, 1939
일본어 청ㆍ탁음(淸ㆍ濁音) 지각(知覺)에 있어서의 오용 경향과 발음지도 - 미니멀 페어를 이용한 지도법을 중심으로 -
韓國人學習者のための日本語の複合動詞 - JLPT日本語能力試驗對策用のリスト作成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1 | 0.31 | 0.524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