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민족국가원리 = Nationalism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 헌법학계에서는 그동안 민족에 관해서 거의 논의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 헌법은 여러 곳에서 민족을 언급한다. 즉 헌법 전문에서는 “조국의 민주개혁과 평화적 통일의 사명에 입...

      한국 헌법학계에서는 그동안 민족에 관해서 거의 논의를 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 헌법은 여러 곳에서 민족을 언급한다. 즉 헌법 전문에서는 “조국의 민주개혁과 평화적 통일의 사명에 입각하여 정의・인도와 동포애로써 민족의 단결을 공고히 하고”라고, 헌법 제9조는 “국가는 전통문화의 계승・발전과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대통령은 취임에 즈음하여 “나는 헌법을 준수하고 국가를 보위하며 조국의 평화적 통일과 국민의 자유와 복리의 증진 및 민족문화의 창달에 노력하여 대통령으로서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할 것을 국민 앞에 엄숙히 선서합니다.”라고 선서를 한다(헌법 제69조). 이러한 민족을 토대로 만들어진 이념인 민족주의는 한국 헌법학에서 더욱더 낯설다. 민족주의라는 용어는 일반인에게 친숙하다. 하지만 민족주의라는 용어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고 그 쓰임새도 다양하다. 따라서 민족주의에 관한 논쟁은 서로 생각하는 의미가 달라 매번 접점을 찾지 못하고 어긋나는 때가 잦다. 민족은 같은 혈통과 언어, 문화 그리고 역사를 바탕으로 같은 지역에 살면서 강한 연대감이 있는 사람들의 정치적 공동체를 말한다. 민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는 ① 공통된 혈연, ② 같은 언어, ③ 같은 문화, ④ 역사 공유, ⑤ 같은 장소적 생활 기반, ⑥ 연대감이다. 한국어에서 국가와 국민, 민족은 엄격하게 구별되고, 민족주의는 오로지 민족을 토대로 이해된다는 점에서 민족주의는 국가주의나 국민주의로 이해될 수는 없다. 게다가 민족주의는 고립적・폐쇄적 개념이 아니라 상관적・개방적 개념이다. 세계라는 전체를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서 민족을 생각하며, 다른 민족 및 국가와 맺는 관계 속에서 민족의 의미를 찾는 것이 민족주의이다. 이처럼 민족주의는 다른 민족이나 국가와 공존을 도모한다는 점에서 민족우월주의나 배타주의 그리고 제국주의로 발전할 수 있는 국민주의와 명확하게 구별된다. 다만, 민족주의는 물론 국가주의와 국민주의도 자결원리에 기초한다. 이러한 점에서 민족주의에서 민족자결은 핵심적 내용이다. 민족주의는 ① 헌법이 지향하는 구체적 국가상을 제시하면서 그를 위해서 무엇을 하여야 하는지를 밝혀줌으로써 다양한 헌법적 과제를 수행하는 기준과 방향을 결정한다. 그리고 ② 민족주의는 국가의 정체성을 확정하고 국가의 기본3요소를 확정하는 객관적 기준을 세울 뿐 아니라 헌법의 기본원리를 하나로 연결하여 통일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체 헌법질서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중요한 뼈대가 된다. 또한, ③ 민족주의는 단순한 지향점이나 존재와 인식의 근거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목표와 그를 실현할 구체적 방향과 수단을 확정할 수 있는 행위의 기준이 되므로 이념이 아니라 원리이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민족주의는 다른 기본원리들을 이끄는 지도적 임무를 수행하는 헌법의 기본원리로 볼 수 있다. 그동안 민족주의에는 너무도 많은 부정적 이미지가 붙어서 이를 벗겨낼 새로운 용어가 필요하다. 그리고 체계화한 이론이나 학설을 가리키는 주의는 헌법의 기본원리를 가리키는 명칭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공화국원리, 민주국가원리, 법치국가원리, 사회국가원리, 문화국가원리, 평화국가원리와 같은 다른 헌법의 기본원리와 같은 단어구성으로 이들과 잘 어울리는 민족국가원리라는 용어를 민족주의 대신 제안한다. 한국 헌법과 헌법사에서 도출할 수 있는 민족국가원리는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민족은 헌법의 효력을 확장하는 근거로 기능한다. 다음 민족 구성원 사이에서 평등을 실질적으로 보장하여야 한다. 그리고 민족과 민족이 만든 민족국가는 결정의 주체로서 자주성이 있다. 또한, 민족이 민족국가를 만든 이유는 민족의 정체성을 유지하려는 것이다. 끝으로 민족국가원리는 민족 단위로 하나의 국가를 형성하고 유지함으로써 대내적 평등과 통합을 실현하면서 민족의 자주독립과 통일 그리고 발전을 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academy,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the nation. However, the Korean Constitution refers to the nation in many places. Nationalism, an ideology based on this nation, is even more unfamiliar in Korean constitutio...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academy,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about the nation. However, the Korean Constitution refers to the nation in many places. Nationalism, an ideology based on this nation, is even more unfamiliar in Korean constitutional law. The term nationalism is 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However, the term nationalism has different meanings and uses depending on the person who uses it. Therefore, controversies about nationalism differ from each other in the sense that they think about each other frequently. A nation is a political community of people who live in the same region and who have a strong sense of solidarity based on the same lineage, language, culture, and history. The important elements that make up the nation are ① common blood, ② the same language, ③ the same culture, ④ the sharing of history, ⑤ the place-based living foundation such as ⑥ a sense of solidarity. Nationalism is not an isolated or closed concept, but a relational and open concept. It is nationalism to think of the nation as a part of the whole of the world and to find the meaning of the nation in relations with other nations and nations. Thus, nationalism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exclusivism and imperialism in that it promotes coexistence with other nations or nations. Nationalism is based on self-determination. In this respect, national self-determination is a key issue in nationalism. Nationalism first determines the standards and directions for carrying out various constitutional tasks by revealing the specific national image that the Constitution is aiming at and revealing what to do for them. And nationalism is an important framework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whole constitutional order by establishing the national identity and establishing the objective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basic elements of the nation, as well as connecting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together so that they can be understood unifiedly. In addition, nationalism is not a ideology but a principle, because it is not a mere point of orientation or a basis of existence and recognition, but a goal that can be achieved realistically and a standard of action that can confirm specific directions and means of realizing it. In this light, nationalism can be regarded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that carries out the leadership task leading to other basic principles. Nationalism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that can be derived from Korean Constitution and Constitutional History can be summarized in five ways. First, the nation serves as a basis for extending the validity of the Constitution. Equality should be substantially guaranteed among the members of the nation. And the nation-state created by the nation and the nation has independence as the subject of decision. In addition, the reason why the nation made the nation-state is to maintain the national identity. Finally, Nationalism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is to form and maintain the nation-state, thereby realizing domestic equality and integration, while promoting independence, unif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n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한국 헌법학에서 거의 잊힌 민족주의 Ⅱ. 민족주의의 의의 Ⅲ. 근대국가 성립과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민족주의 Ⅳ.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민족국가원리 Ⅴ. 민족국가원리의 내용 Ⅵ. 맺음말: 모든 헌법의 기본원리 토대로서 민족국가원리
      • Ⅰ. 머리말: 한국 헌법학에서 거의 잊힌 민족주의 Ⅱ. 민족주의의 의의 Ⅲ. 근대국가 성립과 발전 과정에서 나타난 민족주의 Ⅳ.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민족국가원리 Ⅴ. 민족국가원리의 내용 Ⅵ. 맺음말: 모든 헌법의 기본원리 토대로서 민족국가원리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학성, "헌법학원론" 피앤씨미디어 2018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3 이준일, "헌법학강의" 홍문사 2015

      4 홍성방, "헌법학(상)" 박영사 2016

      5 계희열, "헌법학(상)" 박영사 2005

      6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7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7

      8 김상겸, "헌법주석[Ⅰ]" 박영사 2013

      9 허완중, "헌법상 민족의 의미" 법과정책연구원 23 (23): 329-363, 2017

      10 전광석, "헌법과 문화" 17 : 1990

      1 김학성, "헌법학원론" 피앤씨미디어 2018

      2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10

      3 이준일, "헌법학강의" 홍문사 2015

      4 홍성방, "헌법학(상)" 박영사 2016

      5 계희열, "헌법학(상)" 박영사 2005

      6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18

      7 장영수, "헌법학" 홍문사 2017

      8 김상겸, "헌법주석[Ⅰ]" 박영사 2013

      9 허완중, "헌법상 민족의 의미" 법과정책연구원 23 (23): 329-363, 2017

      10 전광석, "헌법과 문화" 17 : 1990

      11 김하열, "헌법강의" 박영사 2018

      12 허완중, "한국헌법체계에 비춘 헌법 제4조의 해석"

      13 정영훈, "한국의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4

      14 박찬승, "한국에서의 '민족' 개념의 형성" 한림과학원 (1) : 79-120, 2008

      15 김동성, "한국민족주의 연구" 오름 1996

      16 강정인, "한국 정치의 이념과 사상" 후마니타스 2010

      17 김영명, "한국 민족주의의 쟁점: 개념과 과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38 (38): 217-247, 2016

      18 금인숙, "한국 민족주의와 변혁적 이념체계" 나남 2010

      19 박정심, "한국 근대 민족주의와 공동체주의의 相關性에 관한 연구 -박은식과 신채호의 경우를 중심으로-"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1) : 261-290, 2009

      20 Konrad Hesse, "통일독일헌법원론" 박영사 2001

      21 안병욱, "초국적 자본 견제할 힘 저항적 ‘민족의식’에 있다, 우리시대 지식논쟁 – 진보적 민족주의 유효한가" 한겨레신문

      22 강신주, "철학 VS 철학 – 동서양 철학의 모든 것" 오월의 봄 2016

      23 신채호, "제국주의와 민족주의" 대한매일신보

      24 정수일, "재생의 담론, 21세기 민족주의"

      25 장을병, "인물로 본 한국민족주의" 범우사 1988

      26 김영명, "우리 눈으로 본 세계화와 민족주의" 오름 2002

      27 유진오, "신고 헌법해의" 일조각 1957

      28 임지현, "서양의 지적 운동 Ⅰ" 지식산업사 2002

      29 권희영, "번역과 동아시아의 근대"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7

      30 김구, "백범일지" 돌베개 2000

      31 박찬승, "민족・민족주의" 소화 2011

      32 차기벽, "민족주의원론" 한길사 1990

      33 최대권, "민족주의와 헌법" 25 (25): 1984

      34 백낙청,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창작과비평사 1995

      35 권혁범, "민족주의는 죄악인가" 아로파 2014

      36 임지현,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소나무 2008

      37 이선민, "민족주의, 이제는 버려야 하나" 삼성경제연구소 2008

      38 이만열, "민족주의" 25 : 2003

      39 장문석, "민족주의" 책세상 2011

      40 박노자, "민족‘신화’ 넘어 국경없는 ‘계급연대’로 가자, 우리시대 지식논쟁 – 진보적 민족주의 유효한가" 한겨레신문

      41 오세탁, "문화국가원리의 실현구조" 5 : 1993

      42 백동현, "러ㆍ일전쟁 전후 ‘民族’ 용어의 등장과 민족인식 - 『皇城新聞』과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10) : 149-179, 2001

      43 김병구, "근대 계몽기 민족주의 형성의 아이러니 -신채호의 ‘국수(國粹)’ 이념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72 : 229-258, 2017

      44 류시조, "韓國 憲法上 의 民族國家의 原理" 한국비교공법학회 5 (5): 121-144, 2004

      45 Klaus Stern, "Das Staatsrech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Bd. I" 1984

      46 신채호, "20세기 신국민" 대한매일신보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소 KCI등재후보
      2009-03-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률행정연구소 ->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Law & Public Administration -> Legal Research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5 0.80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