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남 곡성군 장흥마씨 출토여복에 관한 연구 = Study on the Women`s Excavated Costumes of Jang-Heng Ma clan in Jeonnam Gokseo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03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광주, 전남지역에서도 많은 출토복식들이 출토되었으나, 그 동안의 분묘에서는 염습상태를 알 수 없이 의복만을 수습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처음으로 본 유물을 통해 완전한 형태의 의복...

      광주, 전남지역에서도 많은 출토복식들이 출토되었으나, 그 동안의 분묘에서는 염습상태를 알 수 없이 의복만을 수습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처음으로 본 유물을 통해 완전한 형태의 의복을 수습할 수 있어 염습상태를 알 수 있게 해 주었다. 습의로 사용된 복식의 종류를 살펴보면 바지 3, 치마 1, 저고리 4, 장의류 5(형태 파악이 어려우나 장의로 보이는 것 2점 포함), 버선 1, 습신 1 등 총 15종과 대렴금, 소렴금이 있다. 조선 초기 양식인 목판깃, 직배래, 개당고형과 합당고형 바지의 공존 출토, 안자락쪽을 향해 주름을 잡은 치마 등이 특징이다. 장의는 5점으로 모두 겉섶은 이중섶이고 안섶은 단일섶으로 된 장의의 전형적인 특징을 하고 있다. 저고리는 총 4점으로 소색무명홑저고리는 적삼으로 보이며 길이가 다른 옷에 비해 50cm로 짧았으며, 무와 곁무가 없었다. 평상시 입었던 옷이나, 습의로 사용해야 하므로 철저하게 장의나 저고리 등에서 고름과 동정은 모두 떼어서 없이 시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re were many costumes that were excavated in the tombs in Jeonnam Gwangju, only the clothings were excavated which were unable to define the state of shroud. The relics that were seen at the beginning made it available to collect a complet...

      Although there were many costumes that were excavated in the tombs in Jeonnam Gwangju, only the clothings were excavated which were unable to define the state of shroud. The relics that were seen at the beginning made it available to collect a complete form of costumes making it able to define how the dressing of the corpse was like. The clothing that were used in shrouds has 15 different types of clothing including three trousers, one skirt, four Korean jacket, 5 jangui (including two which can not be defined but appears to be jangui), Korean socks, one shoes, and also big bed clothes and small bed clothes. The unique things were Mokpan git, straight barae which were early Chosun type of clothing, opened and unopened pants, and skirts that were folded inside. The Jangui has five clothes and all the outer layers were double subed and all the inside layers were single subed which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a jangui. The korean jacket had 4 clothings in total and the Sosaekmyumyung korean jacket seemed to be Juksam and the length was short about 50cm compared to other clothings and there were no existence of Me and side Mu. It was used for casual clothing or shroud so the costumes were used without coat string and callar stri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실, "한국의 수의문화" 신유 2002

      2 광주민속박물관, "츨토유물" 광주민속박물관 2000

      3 박성실,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1992

      4 광주민속박물관, "광주·전남지역출토 조선중기 우리옷" 광주민속박물관 2000

      5 송미경, "18세기 여성 염습의(<한문>)의 일례에 관한 고찰 -안동권씨(1664~1722)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52 (52): 115-126, 2002

      6 이은주, "17세기 동래 정씨 <한문> 묘의 출토 복식" 한국복식학회 53 (53): 71-85, 2003

      7 이은주, "16세기 중엽 여성 염습의의 일례" (48) : 151-167, 1999

      8 송미경, "16세기 여성 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125-136, 2007

      1 박성실, "한국의 수의문화" 신유 2002

      2 광주민속박물관, "츨토유물" 광주민속박물관 2000

      3 박성실, "조선전기 출토복식연구" 세종대학교 1992

      4 광주민속박물관, "광주·전남지역출토 조선중기 우리옷" 광주민속박물관 2000

      5 송미경, "18세기 여성 염습의(<한문>)의 일례에 관한 고찰 -안동권씨(1664~1722)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52 (52): 115-126, 2002

      6 이은주, "17세기 동래 정씨 <한문> 묘의 출토 복식" 한국복식학회 53 (53): 71-85, 2003

      7 이은주, "16세기 중엽 여성 염습의의 일례" (48) : 151-167, 1999

      8 송미경, "16세기 여성 복식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학회 57 (57): 125-136,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4 1.0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