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출자: 장원원 지도교수:이광혁 예로부터 한국은 문화와 역사, 언어 등 여러 면에서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옛날에는 중국의 한자를 직접 인용하여 한자를 공용어로 사용하 기도 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7201824
광주 :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24
학위논문(석사) --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 중국어학과 국제중국어교육 , 2025. 2
2024
한국어
광주
iv, 52p ; 26 cm
지도교수: 이광혁
I804:24014-20000086893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제출자: 장원원 지도교수:이광혁 예로부터 한국은 문화와 역사, 언어 등 여러 면에서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옛날에는 중국의 한자를 직접 인용하여 한자를 공용어로 사용하 기도 하...
제출자: 장원원 지도교수:이광혁 예로부터 한국은 문화와 역사, 언어 등 여러 면에서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옛날에는 중국의 한자를 직접 인용하여 한자를 공용어로 사용하 기도 하였다.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후에도 중국 한자는 널리 사 용되었으나 한국어와의 융합 및 동화를 거쳐 오늘날 한국어에 남아 있는 한 자의 뜻과 품사, 용법이 크게 변화하여 한중 동형이의한자어를 형성하고 있 다. 이러한 동형이의한자어의 존재로 인해 한국의 중국어 학습자들은 중국 어를 학습할 때 모국어의 영향을 받아 의미의 이해 오류 및 사용 오류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 쉽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신HSK5급대강』의 한중 동형이의이음절(同形 异义双音节)한자어를 비교 및 교육을 연구하고 한중 동형이의이음절한자어 의 어의(語义) 차이와 오류를 고찰하는 것이다. 아울러 조사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그에 맞는 교육방안을 설계하고자 하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 목적과 의미, 한중 양국 언어의 연구 현황 및 연구 내용과 운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선행 연구 고찰 을 통해 본 논문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공하자고 하다. 제2장에서는 주로 한국어 한자어의 출처와 한중 동형이의한자어의 차이를 생기는 원인을 밝히는 것이다. 한국 한자어의 출처는 중국 한자어, 일본 한 자어, 그리고 한국이 직접 만든 단어의 세 가지 측면에서 서술하고, 한중 동 형이의한자어에 차이가 생기는 원인을 언어, 역사, 사회, 심리 4가지로 나누 어 논술하자고 하다. 제3장에서는『신HSK5급대강』에는 두 가지 유형의 한중 동형이의한자어 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중에 첫째는 동형완전이의(同形完全异义)한자어이고 둘째는 동형부분이의(同形部分异义)한자어이며, 이 장은 내용은 두 가지 유 형의 동형이의한자어를 탐구하고 비교했다. 제4장에서는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설문지의 결과를 분석하고 비교했는 데, 그중에 설문지의 조사 대상은 한중 동형이의이음절한자어에서 가장 대 표적인 이음절 어휘 40개를 선정하여 많이 발생한 오류의 원인과 종류에 따 른 차이점을 분석한다. 『신HSK5급대강』의 동형이의이음절한자어의 조사 결과 및 데이트 분석을 탐색하고 분석하자고 한다. 제5장의 주요 내용은 동형이의한자어가 한국인이 중국어를 배울 때 미치 는 영향을 고찰하여 교육 전략을 도출하는 것이다. 한국인의 모국어는 한국 어이기 때문에 한국의 중국어 학습자의 모국어는 항상 중국어 학습에 영향 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중국어 학습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많은 오류 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신HSK5급대강』에 수록된 한중 동형이의이음절한자어를 바탕으로 비교 분석 및 조사연구를 통해 한중 동형 이의한자어의 잘못된 학습 방법 및 교육방안을 제시하자고 하다. 결론 부분은 한중 동형완전이의한자어와 한중 동형부분이의한자어를 비교 와 교육 연구의 역할을 총괄하고 관련된 연구를 전망하며,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동형이의한자어의 사용 오류를 줄일 수 있기를 바라다. 본 논문은 주로 종합분석법, 비교연구법, 조사연구법을 이용하여 한중 동 형이의 한자어에 대한 비교와 조사연구를 진행하며, 본 논문이 이전의 한중 동형이의한자어에 관한 비교와 교육 연구에 참고자료가 되기를 희망하며, 나중에 사람들이 이와 관련된 연구 방면에 참고 및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